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장소 브랜딩 프레임워크 (Place Branding Framework with Transmedia Storytelling)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9.12
12P 미리보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장소 브랜딩 프레임워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17권 / 4호 / 119 ~ 130페이지
    · 저자명 : 박신희, 장동련

    초록

    현재 우리는 끊임없는 뉴미디어의 출현과 연결, 융합과 확장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초연결적 디지털 환경에서 살아간다. 이 연구는 장소 브랜딩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로, 다양한 차원의 컨버전스 경향 중에서 문화적 컨버전스로 범위를 제한하여 연구하였다.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작동 요소와 참여자 간의 관계성을 고찰하였고, 국내·외의 진화된 장소 브랜딩의 사례 중 Co-design 요소를 통해 참여자와 상호 호혜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된 장소 브랜딩을 살펴보고, 각각의 사례에 대한 적용 유형과 작동방식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맥락적으로 연결하여 장소 가치와 비전을 창출하는 유형은, 이야기를 공유하고 전달, 확장함에 있어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으로 이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총체적 스토리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이 연구는 최종적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장소 브랜딩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여 융합 문화를 이끄는 장소 브랜딩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더불어 이 연구는 연구자의 선행 연구에서 전하고자 하는 미래지향적 장소의 재현 방식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통해 분석하여 보완한 연구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Currently, we live in a hyper-connected digital en- vironment where endless emergences and connections, convergence and expansion occur constantly. Here, this is a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place branding and transmedia storytelling, which is limited in scope to cultural convergence among trends of various dimensions.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elements of transmedia storytelling and the participants from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co-design's elements of domestic and foreign evolved place branding were reviewed to closely identify mu- tually beneficial place branding, and to identify the type of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each case. As a result, the type that creates place value and vision by contextually connecting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is a method of inducing and apply-ing active participation of users for creating the holistic approach in sharing , transmitting and expanding a story through various media platforms. Finally, this paper proposes a place branding fram-work using transmedia storytelling by applying the co-design method in linking the value of transmedia storytelling and place,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place branding that leads the convergence culture. In addition, this study complements the in- depth analysis through the transmedia storytelling of the future oriented representation of the researchers' previous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랜드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