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감브랜딩의 Visual Identity 확장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f Visual Identity Extension Presented by a Branding through Touch, Taste, Smell, Sight & Sound.)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2.07
13P 미리보기
오감브랜딩의 Visual Identity 확장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10권 / 51 ~ 63페이지
    · 저자명 : 김정연, 이하나

    초록

    현대 소비자들은 자신의 총체적 경험이나 주관적 만족감을 위해 소비를 하며 이러한 소비자를 중심으로 기업의 브랜딩이나 마케팅 전략들이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오감을 통한 감성적 소비 경험을 창출하기 위해 브랜드 체험 공간을 제공하는 브랜드를 본 논문에서는 오감브랜딩이라 정의하였다.
    오감브랜딩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브랜드 체험 공간 속에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와 결합한 프로모션을 통해 기능적 ‧상징적 만족감과 더불어 체험적 만족감 제공을 추구하고 있다. 다양한 매체와 공간의 개념이 일반화 되어 가는 오늘날의 기업 환경 속에서는 확장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매체와 공간속에서 유연하게 적용 가능한 기업의 정체성을 하나로 통합시킬 수 있는 Visual Identity(이하 VI)의 필요성은 절실하다. 그러나 과거의 VI는 단편적인 기업의 이미지를 대내‧외적으로 보여주는 표현요소를 정리하고 규칙에 대한 정의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확장성이나 유연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오감브랜딩이 소비자의 체험을 통한 브랜드인지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제공하는 브랜드 체험 공간인 리테일 샵(Retail Shop)과 팝업스토어(Pop-up store)를 중심으로 VI기본요소가 공간 그래픽 표현요소를 통해 어떻게 확장되어 사용되어지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 문헌연구과 선행연구를 통해 첫째, 오감브랜딩의 감성마케팅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둘째, VI의 공간표현의 적용과 확장성의 개념 및 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공간그래픽 요소를 분석하였다. 비교연구에서는 오감브랜딩 중 다양한 문화마케팅을 펼치는 스포츠 브랜드 3개의 브랜드체험공간을 선정하여 VI의 기본디자인 시스템이 공간그래픽 요소를 통해 어떻게 확장되어지는 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브랜드 체험 공간 제작 시 유연성과 확장성을 기반으로 다변화하는 시대에 기업의 정체성을 제고할 수 있는 VI 의 기본디자인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실무적 정보를 제공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디자이너들이 브랜드 통합 이미지 구축을 위해 VI기본디자인 시스템을 공간속에서 어떠한 공간그래픽 요소를 통해 시각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영어초록

    Corporate Branding and Marketing strategies have been developing recently to respond to the growing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 modern consumers . To adapt to these recent changes, this thesis defined “ Five senses branding”, which can tap the emotions of consumers through an overall brand experience space. Five Senses branding pursues functional, symbolic satisfaction, and experience satisfaction that can create a variety of entertainment from the experience of the product or service from a promotion. The multimedia and the concept of the "space" are now widely-spread. This kind of business circumstance requires Visual Identity (VI) that can consolidate the corporate identity based on the expandability with flexibility and applicability. Most of the studies for VI only suggests the fragmentary corporate images that only had expression element cleanup and rule definitions. However, according to the study, there is still a big lack for expandability and flexibility as of now.
    Hence, I would like to analyze how to apply for the expended space of VI base element from the brand experience space as named retail zone and pop up store which can maximize the brand recognition from the consumer's experience. The methods of research are reference research & advanced research.
    At first, I analyze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an emotional marketing of 5 sense branding. Secondly, I also determined space graphic elements for an application of space expression and the meaning of expandability.
    In this case of comparison study, I chose 3 sports brand experience space which can find the culture marketing. And I figured out how to create the branding and expend from the space graphic element. The result of study provides the information of brand experience space that can create the brand identity from the basic element design system of VI. In addition, I also suggest the insight of visualization from the space graphic element to create the images of brand consolidation from the space of VI basic design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