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페이스 브랜딩 평가를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pace Brand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3.04
10P 미리보기
스페이스 브랜딩 평가를 위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3호 / 415 ~ 424페이지
    · 저자명 : 박영채, 김주연, 장영호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기업들이 고객에게 브랜드와 그 정체성을 알리는 데 사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스페이스 브랜딩이다.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구매가 온라인으로 전환하며 오프라인 공간에서는 브랜드 경험이 이루어지기에 고객의 체험과 경험을 제공하는 스페이스 브랜딩에 무게가 실렸다. 그러나 무분별하게 생겨나는 시대적 단순 유행과 감성에 치우쳐 브랜드의 이미지 확립에 실패하는 등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페이스 브랜딩 평가를 위해 스페이스 브랜딩 관련 선행연구 분석 및 평가 지표 구축 후 사례 분석에 기반하여 스페이스 브랜딩 관점에서 브랜드의 취지와 가장 맞는 공간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스페이스 브랜딩과 같은 개념을 갖고 있는 개념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개념을 이해하고 정립하여 구성요소와 특성을 도출한다. 둘째, 평가 항목을 정리하고 같은 개념의 키워드를 연결하여 관계를 정립한다. 셋째, 도출한 구성요소로 4군데를 선정하여 사례를 분석하였다. 넷째, Pugh Concept Test 평가를 진행하여 각 사례에 기준을 대입하여 평가를 진행하고 수치를 계산한다. (결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한 구성요소로 사례 분석을 진행한 결과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매장은 젠틀몬스터로 나타났다. 젠틀몬스터는 스페이스 브랜딩을 통해‘안경’에서 ‘아이웨어’로 인식 자체를 탈바꿈하며 선도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적립하였다. 애플스토어는 일관된 스페이스 브랜딩 요소로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여 단순성이 높게 나타났다. 스타벅스는 커피를 판매하는 공간이 아닌 ‘제3의 공간’으로 브랜드 자체를 ‘상품’화하여 스페이스 브랜딩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현대카드는 스페이스 브랜딩을 통해 ‘금융업’에서 ‘세련됨’으로 기업의 이미지를 탈바꿈하는 데 성공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스페이스 브랜딩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상승시킨 공간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소비 형태가 변화하여 오프라인에서의 경험과 브랜드 가치 전달에 더 주목되고 있다. 둘째, 문헌조사를 통해 도출한 키워드는 선도성, 단순성, 화제성, 의외성 4가지로 함축할 수 있었다. 셋째, 사례 조사와 평가 지표를 통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젠틀몬스터가 스페이스 브랜딩의 성공사례로 나타났지만, 단순성에서는 미흡한 점수가 나타났다. 넷째, 기업들은 브랜드의 이미지와 가치를 함축하도록 공간을 계획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공간을 통해 브랜드를 직접적으로 체험하게 하고 각인시킬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스페이스 브랜딩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더 나아가 스페이스 브랜딩은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상업 공간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닌, 공공의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공공시설, 공공공간 등 여러 곳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Space branding is the most effective way for modern companies to communicate their brands and identities to customers. As purchasing shifts from offline to online, space branding has become important in providing customers with experiences and creating brand experiences in offline spaces. However, problems have arisen, such as the failure to establish a brand image owing to excessive and simplistic trends and sensi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ost appropriate space for a brand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branding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space branding, establishing evaluation indicators, and conducting case studies. (Method)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s on the concept of space branding, the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were derived. Second,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organized, and relationships were established by connecting keywords related to the concept. Third, four locations were selected as case study examples,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derived components. Fourth, a Pugh Concept Test evaluation was conducted, and calculations were made based on the criteria applied to each case. (Result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with the components derived through the previous study analysis, Gentle Monster had the highest score. Gentle Monster has accumulated a leading brand image by transforming its perception from "glasses" to "eyewear" through space branding. The Apple Store immediately delivers the brand image to the user with a consistent space branding element, resulting in simplicity. Starbucks did space branding by turning the brand itself into a "product" as a "third space" rather than a space for selling coffee. Finally, Hyundae Card succeeded in transforming its image from the “financial industry” to “sophisticated” through space branding. (Conclusions) This study investigated spaces that increase the value of a company through space branding.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type of consumption has changed from offline to online, drawing more attention to offline experiences and brand value delivery. Second, the keywords derived through the literature search can be summarized into four categories: leadership, simplicity, topicality, and unexpectedness. Third, Gentle Monster was the most successful case of space branding based on the case studies and evaluation indicators; however, it showed insufficient scores for simplicity. Fourth, companies believe that by planning spaces that encapsulate the image and value of their brands, they can directly imprint their brands on consumers. This study proposed evaluation indicators that can be used in future space branding. Furthermore, space branding can be applied not only to commercial spaces for profit, but also to public facilities and spaces for the public’s benef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