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네덜란드 미술에 나타난 빵의 사회사 : <뿔피리를 부는 제빵사>를 중심으로 (A Social History of Bread in the Seventeenth-Century Dutch Art: Focusing on A Baker Blowing His Hor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3.08
29P 미리보기
17세기 네덜란드 미술에 나타난 빵의 사회사 : &lt;뿔피리를 부는 제빵사&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27권 / 259 ~ 287페이지
    · 저자명 : 김소희

    초록

    본 연구는 현존하는 여덟 개의 <뿔피리를 부는 제빵사> 작품이 산발적으로우연히 등장한 것이 아닌 서로 유기적인 영향관계를 주고 받으며 생산된 하나의도상으로 살펴보았다. “뿔피리를 부는 제빵사” 그림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그림에 나타나 있는 다양한 빵들을 성만찬을 의미하는 종교적 상징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뿔피리를 부는 제빵사” 도상이 유독 17세기중후반 네덜란드에서 생산된 사실에 주목하고, 그 이유를 동시대 네덜란드인들의일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던 빵의 생산 및 공급 그리고 유통과정에서 찾고자한다. 여기에는 빵이 당대 네덜란드인들의 식생활 뿐 아니라 그들의 경제생활 더나아가 국가경제 전체에 어떤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한다.
    주로 풍속화의 전통으로 해석되었던 “뿔피리를 부는 제빵사” 그림은 본 연구에서 풍속화와 초상화 두 장르가 혼합한 도상으로 다루어졌으며, 이제까지의 연구에서 미흡했던 초상화로서의 가능성이 적극적으로 제기되었다. 제빵사의 초상화또는 화가의 자화상으로 생산된 <뿔피리를 부는 제빵사>의 시대적 배경에는 제빵사의 경제적 여유와 사회적 지위상승 그리고 제빵사를 영혼의 양식을 공급하는고귀한 직업으로 승화시킨 칼비니즘의 영향이 있다.
    제빵사들이 부를 축적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국가가 나서서 빵의 생산과 공급을 철저하게 관리해준 덕분이었다. 17세기 네덜란드의 제빵사들은 길드에 속해야만 빵을 팔 수 있었고 각 제빵사들의 빵 만드는 법은 외부인들에게 절대로 공개되지 않았다. 동시에 당시 네덜란드인들은 세금을 내지 않고는 빵을 먹기가 힘들었다. 이런 이유로 개인의 집에 오븐을 설치하는 것은 금지되었고, 빵은 꼭 관헌들에게 세금을 내는 합법적인 제빵사에게서만 살 수 있었다. 이렇게 17세기 네덜란드는 직업으로서 빵 굽는 사람을 보호하는 동시에 단속하기 위해 매우 엄격한규정을 제정하였다.
    17세기 네덜란드인들에게 빵은 그들의 식생활 뿐 아니라 그들의 다양한 직업과도 관련이 있었으며 빵의 생산과 유통과정에 개입한 국가의 권위와 통제를 상징하기도 한다. 빵의 생산과 유통에 붙는 세금은 국가의 경제를 지탱하고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재원이었으며, 동시에 국민들을 엄격하게 관리함으로써 국가의 질서를 세우기 위한 효과적인 방편이었다. 빵가격은 변동이 심한 곡물가격과 빵의크기에 따라서 엄격하게 결정되었다. 네덜란드정부는 평상시에 빵의 공식적인 무게와 가격을 고정시켰는데, 이는 다른 음식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유일한 관리방식이었다. 따라서 동시대 네덜란드인들에게 빵은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과 관리체계를 통해서만 그들의 입에 넣을 수 있는 음식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본연구에서 다룬 <뿔피리를 부는 제빵사> 그림에서 풍성하게 차려진 다양한 빵은경제적인 풍요와 정치적인 안정을 의미한다. 여러 가지 다양한 음식 중에서도 빵이 이러한 의미를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한다는 점에서 <뿔피리를 부는 제빵사> 그림에서 빵은 당시 네덜란드의 물질적 풍요뿐만 아니라 국가의 번영과 안녕을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eight different works of the same title A Baker Blowing His Horn in order to prove that they are not separate works which incidentally shared the common subject matter, but concurrently derived from the same iconographic tradition that arose in the late seventeenth-century Netherlands. Most studies on these works have tended to see various breads portrayed in them as the religious symbol of the Eucharist. In opposition to this dominant view,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iconography of the horn-blowing baker appeared specifically in the mid-to-late seventeenth-century Netherlands, and suggests that the genesis of the iconography be sought in the institution of brea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which made decisive influence on daily lives of the Dutch at the time. This suggestion also obliges us to reconsider the extent to which bread played its part not only in the Dutch dietary lives but also in their economic activities and the overall national economy.
    Although the paintings of “A Baker Blowing His Horn” have been interpreted mainly in line with genre painting, this study maintains that they bear the imprint of portrait as well as genre painting. So it probes the possibility that the paintings were designed as a portrait in the first place.
    Viewing the paintings as a portrait of a baker or that of a painter himself, one is led to see that during the period when the works were produced in Netherlands, bakers enjoyed higher social status and economic stability while Calvinism esteemed bread-making as a holy occupation that provides spiritual food for the people.
    The bakers of the period were able to amass wealth thanks to the Dutch government that kept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bread under tight control.
    The bakers of the seventeenth-century Netherlands needed guild membership to get licensed to sell bread and their recipe for bread was absolute secrecy to outsiders. At the same time, the ordinary Dutch were required to pay taxes to have bread. It was not allowed for individuals to build ovens in their houses: they had to purchase bread from licensed bakers who paid their own taxes to government officials. As such the strict state regulations were implemented to control as well as protect those who baked bread.
    Bread, as the most important diet of the seventeenth-century Dutch, also contributed to creating diverse jobs and symbolized the authority and power of the state government. The taxes imposed o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bread provided the government with an important source of revenue and an effective measure to tighten national discipline by rigidly controling the citizens' lives. Bread price was determined depending on bread size and constantly fluctuating grain prices. In peace time the Dutch government fixated the official weight and price of each bread: such method was not applied to the management of other foods. Therefore, the Dutch could obtain bread only through the comprehensive state intervention and management system. Consequentl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feasts of abundant breads depicted in these works of “A Baker Blowing His Horn” mean the Netherlands's economic wealth and political stability. Given that bread, rather than other kinds of foods, most effectively conveyed the meanings, the paintings of “A Baker Blowing His Horn” should be considered to signify the state's material wealth and national prospe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