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전통 붓 제작기법의 역사와 전승 양상 (A Study on the history and Transmission Aspect of Chinese Traditional Brush making Technique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4.02
39P 미리보기
중국 전통 붓 제작기법의 역사와 전승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43권 / 89 ~ 127페이지
    · 저자명 : 박창선

    초록

    인류의 역사는 문자와 기록의 역사라고 한다. 인류는 문화와 역사를 기록하기 위해 붓을 제작하고 발전시켜 왔다. 중국에서 처음 만들어지기 시작한 붓은 문화와 문물 교류를 통해 점차 한국과 일본까지 전파되어 그 형태와 제작 기법이 발전되었다. 한국에서는 황모필(黃毛筆)을 제작하는 기법에 이어 털을 마른 상태의 털로 붓을 제작하는 건식(乾式) 제작 기법으로 발전되었으며, 중국에서는 빠르고 효율적으로 붓을 제작하기 위하여 털을 물에 적신 털로 붓을 제작하는 습식(濕式) 제작 기법을 현재까지 발전시켜 왔다.
    현재 한국의 붓 연구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분야이다. 현재 국내의 붓에 관한 연구는 초기 연구 단계로, 한국의 전통 붓 제작 기법 정도의 연구에만 한정되어 있을 뿐 동아시아 범주의 연구는 진행되고 있지 않다. 이에 붓이 처음 만들어지기 시작한 중국의 붓 제작 기법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중국의 고서(古書) 및 붓에 관한 연구물들을 정리하고 종합ㆍ분석하여 붓의 초기 형태와 제작 기법의 역사를 고구하는 것도 필요한 상황이다.
    중국의 붓 제작기법을 살펴보면 가장 원시적(原始的)인 제작기법으로 대나무 위에 단순하게 털을 감싸주고 칠(漆)을 사용해 고정을 시켜주는 곤찰식(捆紮式) 기법과 대나무를 파내고 붓촉을 만들어 끼워서 고정시키는 납입식(纳入式) 기법이 있다. 또 대나무를 더 깊이 파내어 붓촉을 실로 묶어주고 더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심납식(深纳式) 기법과 붓대의 끝을 네 부분으로 가르고, 붓촉을 넣어 붓대 겉에 실을 묶어 더 단단하게 고정시켜주는 협납식(夹纳式) 기법이 있다. 이 기법들이 시대를 거치면서 점점 개량(改良)되고 발전한 것이다. 중국은 현재 대부분 산탁필(散卓筆)의 습식(濕式) 제작 기법을 사용하여 여러 형태의 붓을 만들고 있으며, 윗세대의 스승으로부터 전승받은 기법을 그대로 이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중에서 가장 먼저 붓이 만들어지고 발전한 중국의 붓의 역사와 사례를 종합하고 문헌자료 및 붓에 관한 연구자료를 통하여 중국 붓의 초기 형태와 제작 기법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중국의 현지 조사를 통하여 근ㆍ현대 붓 제작 기법의 세부적인 전승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붓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East Asia, people recorded human culture and history with brushes. As culture and history got to be recorded, brushes not only played a role of a simple tool to record them but also expanded into a tool to be able to express them. As people’s mental factors and wisdom got to be recorded and there were many things which can be expressed, brushes got to get deeply involved with the development of study and art of each country and played a role of making each culture colorful and rich. Accordingly, brushes were recognized as a simple tool to record culture, mental and symbolic significations were added to them.
    Brushes have a very rich history as a tool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There was a complex and long process until brushes were invented, which is the civilized result obtained through human practice. After a basic form of Chinese brushes was decided, various reforms and development were still done. Brushes have continued to be improved to meet demands shown in national culture over time. This change of brushes enabled people to express works of art and records more delicately and played an sgnificant role of leaving developed works of art. Change of rich culture and the history of records by period could be more specifically checked through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brushes.
    Production techniques of brushes include the most primitive Gonchalsik, Napipsik, Simnapsik, and Hyeopnapsik which were gradually developed in the form of Pijubeop, Jeonjibeop, and Santakbeop. All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brushes in the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are developed and transmitted based on Santakbeop.
    Brush crafts villages were created in each country due to culture to study excellent production techniques of brushes under teachers and produce them by cooperating with one another. Xuancheng and Huzhou were famous for brushes in China. Korea transmits the production techniques focusing on a technique of writing brushes made of goat hair, the dry production technique. But China mostly makes various forms of brushes using a wet production technique.
    People have been making more advanced brushes by studying materials and production techniques to express new thoughts and rituals well. New techniques were popular for each period, and techniques developed in the next generation were passed down. It was also passed down through exchanges between countries, and new production techniques were created in the passed down countries. In this trend, craft production techniques have been trasmitted until 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