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가의 사운드스케이프와 붉은 소음의 상상력 -1960년대 소리의 문화사 연구를 위하여 (1)- (The Soundscape of Nation and the Imaginative Power of Red Noise - For the study of the literature history of the sound in the 1960s (1))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1.06
29P 미리보기
국가의 사운드스케이프와 붉은 소음의 상상력 -1960년대 소리의 문화사 연구를 위하여 (1)-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5호 / 283 ~ 311페이지
    · 저자명 : 임태훈

    초록

    이 글은 1961년에서 1968년 사이, 서로 얽히고 저항했던 세 개의 사운드스케이프에 대한 고찰이다. 우선 앰프村 건설사업과 프로파간다 그리고 ‘통금’을 통해 읽는국가의 사운드스케이프, 그리고 국가의 사운드스케이프의 균열을 따라 와동하는 ‘붉은 소음’, 마지막으로 국가와 근대의 ‘소리’에 불화하는 이들의 음향전(音響戰, sonic warfare)에 대해 분석한다. 이 연구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질문을 위한 탐구이기도 하다. 최인훈의 소설 「주석의 소리」(1969), 「총독의 소리」(1967~1968) 연작에서, 각각환상의 상해임시정부와 조선총독부 지하부의 해적방송을 듣는 청취자는 왜 '시인'으로 설정되어 있을까? 김수영은 이북방송을 또렷한 입체음으로 듣는 순간을 「라디오界」(1967)에 적었다. 반공주의가 기세등등한 박정희 정권의 남한 사회에서 ‘붉은 전파’의 월경(越境)이 시인에게 불러일으킨 상상력은 무엇이었을까? 그리고 신동엽은왜 라디오 DJ가 되어 자신의 목소리를 전파에 싣고 싶어 했던 걸까? 이 질문의 답을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1960년대 소리의 문화사 연구를 위한 첫 번째 작업을 시작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era between 1961 and 1968 in Korea was not only a period of political turbulence with The May Coup, the twists and turns on the Korean-Japanese Conference, and two sessions of Presidential Elections, but also was a period of unique role for change of media environment. In this period, radio broadcasts were provided nationwide for nationals beyond the limit of Seoul local influence formed during Japanese rule, and unlike in other countries, the establishment of radio broadcast scope exceeded the supply of radio devices nationwide. Such was an outcome of the amplifiers installing project executed as one of top priority projects of press policy immediately after the May Coup, and of course a plan for active utilization of radio broadcast as tool for propaganda. The government facilitated so that even the aged in remote villages can frequently hear how 'well' the regime is doing anything now. This project came to a standstill after 1968 when the initiative of media environment is passed on to television. By this period, radio was stabilized as a holistic media for nationals that any household in the nation kept at least one unit of it, but after all came to be left behind in prevalence due to the typical limitation of frequencies. The radio broadcast got on it track back to the experience of private sound from group hearing.
    In the meantime, even until mid-1970s, the broadcasting capacity of South Korea fell behind that of the North counterpart, and thus radio transgression was a usual occasion not surprising at all. The days when the North Korean broadcasts toward the South which was so-called the 'Red Noise' could be heard in quite clear quality was the 1960s. Listening to the 'Red Noise' was an act in violation of the Anticommunist Law. However, such North Korean broadcast was a covert media that enabled the people secluded in th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ruled by the Park Chung-Hee to imagine the other side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Red Noise' could be better heard during the night of curfew and was ever elevated to an experience that cannot be confessed rashly. The nights of the 1960s were just ironical. The nights were under curfew rather outspokenly by the soundscape of the government that instructed the nationals under the excuse of synchronization of physical rhythm. In the midst of all that, the 'Red Noise' that outreaches the truce line without getting any restriction across the atmosphere of silence raised vortices in the time by stirring up rebellious ideas to those who felt suffocating about the 'government' of Park Chung-Hee.
    This paper will examine the three soundscapes that resisted the time(1961-1968): the soundscape of the government which is reflected through amplifiers village construction project, propaganda and 'curfew'; the 'Red Noise' that stirs up cracks of the soundscape of the government; and lastly the sonic warfare of those that do not harmonize with the 'sound' of the government and modernity. The group of people surrounded by the three soundscapes were placed and raised in the seat of natinoals, but also they were set apart among themselves.
    This is specifically a query for the following questions: In Choi In-Hun's novels 「The Sound of President」(1969) and「The Sound of Governor-General」(1967~1968), why the listener of the pirate broadcast of the underground department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in Shanghai was set as 'poet' among others? Kim Su-Young put down the moments that he listened to the clear stereo sound of the North Korean broadcast toward the South in 「Radio Worl d」(1967). What imagination was it that the poet get from the transgressing 'Red Radio'in the South Korean society which was under the regime of Park Chung-Hee that maintained high anti-communism? And why was Shin Dong-Yeop so desirous of loading his own voice in the radio by becoming a disc jockey? This study intends to begin the first work for the study of the literature history of the 1960s sound through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answer to these ques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