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태준의 ‘붉은 광장’: 해방기 소련여행의 지형학 (The ‘Red Square’ of Lee Tae-jun: The Morphology of the Soviet Travelogues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6.11
35P 미리보기
이태준의 ‘붉은 광장’: 해방기 소련여행의 지형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러시아연구 / 26권 / 2호 / 35 ~ 69페이지
    · 저자명 : 김진영

    초록

    1920년대 중반 이후 좌·우로 양분화되기 시작한 소련 담론은 해방기에 이르러 노골적인 이념전쟁으로 전개되었는데, 소설가 이태준의 1946년 소련방문 기록은 여행기를 매개로 한 남·북 이념대립의 단초를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해방기 소련여행기의 원형이라 할 이태준의 <소련기행>을 중심으로 조선의 문인들이 구성해낸 소련 담론의 공통 주제들을 짚어보고 있다. 해방이 가져다 준 ‘신흥’의 열기는 세계대전의 승리와 복구 작업에 한창이던 소련의 활력에 조응하는 것이었고, 방문하는 측과 환대하는 측 모두 미래를 향한 확신으로 일치된 집단 도취적 분위기에서 여행은 행해졌고 기록되었다. 이태준이 보고 감탄한 것은 망막을 뛰어넘어 뇌리에 비친 개념의 투시도였으며, 그 기록은 아직 완성되지 않은 유토피아-소련과 유토피아-조선의 미래를 앞당겨 선험하고 확신한 관념의 청사진으로 읽혀진다. 논문은 네 파트로 나뉘어, 해방기의 소련 열풍, ‘붉은’ 미학의 의미, 시베리아 유토피아니즘, 소련의 새 인간 타이프에 대한 인상을 심도 있게 다룬다. 해방기 소련여행의 맥락과 의의는 앙드레 지드의 1936년 소련여행, 그리고 1896년 조선왕조 사절단이 기록한 첫 러시아여행과의 비교를 통해 보다 명료히 드러나게 된다.

    영어초록

    In Korea the discourse on the USSR had been dichotomized since the mid-1920s, and by the time of the post-liberation period it evolved into a verbal battlefield of two antagonistic ideologies. Novelist Lee Tae-jun’s travel account on the visit to the USSR in 1946 became the object of heated public dispute and triggered the war of ideology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in the form of the Soviet travelogues. This article outlines the common themes of the Soviet travel discourse which Korean writers, including Lee Tae-jun as a leading figure, constructed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The zeal of ‘new-rising’ felt in Korea right after the liberation corresponded to the energy of victory and rebirth surging up in the Soviet society after the War. The visitor and the visited were both full of enthusiasm for the future. What Lee Tae-jun saw and admired was a projective picture of his own belief in the forthcoming utopias of the USSR and Korea, which he readily pre-saw and pre-experienced in theory rather than in reality. The article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discussing the Soviet rush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the nature of the ‘red’ (i.e. ‘beautiful’ in Russian) aesthetics, Siberian utopianism, and the impression of the new Soviet man. Two travel accounts of André Gide and the account of the 1896 mission of the Chosun Dynasty are compared in the course of discu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러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