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효불교의 불일불이적不一不二的 철학체계- 금강삼매경론을 중심으로 (Wonhyo Buddhism's Nondual Philosophical System - Focused on the theory of Vajra Samadhi Sutra)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3.12
25P 미리보기
원효불교의 불일불이적不一不二的 철학체계- 금강삼매경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62권 / 4호 / 165 ~ 189페이지
    · 저자명 : 이현중

    초록

    이 논문에서는 금강삼매경론을 중심으로 원효불교의 철학체계가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원효의 세간과 출세간을 둘이 아니게 사는 무애자재한 삶에는 다양한 주장과 다툼을 화쟁하고, 통섭할 수 있는 철학체계가 있다.
    원효의 화쟁철학, 통섭철학은 대승기신론과 금강삼매경를 바탕으로 전개된다. 그의 철학체계가 체계적으로 드러나는 전적은 금강삼매경론이다. 그는 금강삼매경의 정설분을 구성하는 육품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여 자신의 철학체계를 드러낸다.
    그가 육품을 이해하는 철학체계는 견상귀본, 종본기행, 쌍현귀기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일심의 개합開合이다. 그는 물건적 관점에서 성性과 상相의 이원적 구조를 중심으로 견상귀본에서 시작하여 종본기행을 거쳐서 쌍현귀기에 이르는 일심의 개합을 통하여 금강삼매경을 이해한다. 견상귀본은 일심의 합合이며, 종본기행은 일심의 개開이다. 따라서 쌍현귀기는 일심의 개합을 통하여 일미, 일도를 나타낸다.
    원효는 쌍현귀기를 사건적 관점에서 종요宗要로 나타낸다. 사건의 측면에서 쌍현귀기는 종본기행과 견상귀본을 함께 드러냄, 동시에 드러냄이다. 쌍현귀기는 견상귀본과 종본기행이 일심, 일미, 일도를 나타내는 두 측면임을 뜻한다.
    일심의 개합을 통하여 나타내는 쌍현귀기는 일각이다. 종본기행이 구경각, 본각이 나타난 시각이라면 견상귀본은 불각에서 본각이 나타난 시각이다. 따라서 쌍현귀기는 불각과 본각, 구경각이 하나인 시각임을 나타낸다.
    쌍현귀기를 통하여 드러나는 지금 여기의 삶은 종본기행의 측면에서는 본각이 드러난 시각이며, 견상귀본의 측면에서는 불각과 본각이 둘이 아닌 시각이다. 따라서 매 순간의 삶은 본각과 불각이 하나인 시각이다.
    지금 여기의 삶의 본체가 부처이자 본각이고, 작용이 보살이자 시각이며, 현상이 불각이자 중생임을 나타내는 개념이 일미, 일각이다. 그것은 지금 여기의 삶이 그대로 서로의 생명 나눔인 하화중생이자 본각의 드러남인 상구보리임을 뜻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hilosophical system of Wonhyo Buddhism, focusing on the theory of Vajra Samadhi Sutra(金剛三昧經論). Wonhyo's life has a philosophical system that can reconcile and synthesize various claims and disputes.
    Wonhyo's philosophy of reconciliation and integration is based on the Daeseung GiShintheory(大乘起信論), and the Vajra Samadhi Sutra(金剛三昧經). His philosophical system is systematically revealed in the theory of Vajra Samadhi Sutra. He analyzes the six products that constitute the main part of the Vajra Samadhi Sutra’Jeongsulbun(正說分)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reveal his philosophical system.
    His philosophical system for understanding the six products of Jeongsulbun(正說分) is the opening and closing(開合) of the one mind(一心) based on gyen sang gwibon(遣相歸本), jong bon gihaeng(從本起行), and sang hyeon gwiki(雙顯歸起). From a material point of view, he understands the Vajra Samadhi Sutra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ne mind, starting from gyen sang gwibon, going through jong bon gihaeng, and arriving at sang hyeon gwiki, centered on the dual structure of nature(性) and form(相).
    Gyen sang gwibom is the combination of the one mind, and jong bon gihaeng is the opening of the one mind. Therefore, sang hyeon gwiki shows ilmi and ildo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ne mind.
    Wonhyo shows sang hyeon gwiki as jongyo(宗要) from a situational point of view. From the perspective of an event, sang hyeon gwiki is the simultaneous revelation of jong bon gihaeng and gyen sang gwibon. Sang hyeon gwiki means that gyen sang gwibon and jong bon gihaeng are two aspects that show ilsim, ilmi, and ildo.
    Sang hyeon gwiki, which is shown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ne mind, is ilgeuk(一覺). If jong bon gihaeng is sigeuk(始覺), the original awakening(本覺) that appears, then gyen sang gwibom is the time when the original awakening appears from the unenlightened state(不覺). Therefore, sang hyeon gwiki shows the time when the unenlightened state, the original awakening, and the sigeuk are one.
    Ilmi and ildo show that the life here and now is the Buddha and the original awakening in terms of the substance(本體), the bodhisattva and the sigeuk in terms of the function(作用), and the unenlightened state and the sentient being in terms of the phenomenon(現相). It means that the life here and now is both the sharing of each other's lives, the salvation of the world(下化衆生), and the manifestation of the original awakening(上求菩提).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