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이론 쉬바파의 쉬바 개념 고찰 - 『쉬바수트라』 1장 1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cept of Śiva of Advaita Śaiva – Focused on Śivasūtra Ⅰ.1.)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2.04
28P 미리보기
불이론 쉬바파의 쉬바 개념 고찰 - 『쉬바수트라』 1장 1송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요가학회
    · 수록지 정보 : 요가학연구 / 27호 / 9 ~ 36페이지
    · 저자명 : 심준보

    초록

    본 연구는 불이론 쉬바파의 철학적 문헌 전통의 최초 문헌인 『쉬바수트라』의 1장 1송 “의식이 진아이다(caitanyātmā)”라는 게송의 의미를 크세마라자(Kṣemaraja)의 주석, 비마르시니(Vimarśini)의 내용에 따라 고찰하였다. 또한 쉬바교가 불이론 쉬바파의 전통에 도달하는 역사를 간략히 정리해서 제시하였다.
    리그베다에서 루드라로 나타나는 쉬바는 폭풍과 질병의 신으로서 흉폭한 성격을 가진 신이었으나 점차적으로 그것으로부터 인간과 가축을 지켜주는 신으로 전화하고, 마침내 『마하바라타』의 시기에 오면 인격적 유일신으로 등장한다.
    쉬바교는 베다의 가치를 지키는 푸라나 쉬바교와 비베다적 의례를 행하던 푸라나 쉬바교로 대분되어 발전하는데 후자는 고행자 중심의 격외의 길(Atimārga)과 재가자를 포함한 만트라의 길(Mantramārga)로 나누어진다. 만트라의 길은 다시 이원론을 주장한 사이바싯단타와 불이론을 주장한 불이론 쉬바파로 나누어진다. 불이론 쉬바파의 교설은 9세기 카쉬미르 지역의 브라만 재가자들에 의해 철학적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그 첫 저작이 바로 『쉬바수트라』이다.
    『쉬바수트라』가 의식(caitanya)를 진아(ātman)로 주장한 것은 샹키야나 베단타에서 진아로 주장되던 푸루샤와 브라흐만과의 차이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푸루샤나 브라흐만은 불변하는 실재로 규정되어 변화하는 현상과 관계를 가질 수 없는 난제를 가지고 있다. 『쉬바수트라』의 진아, 즉 쉬바는 현상세계를 창조하는 의식으로서 현상을 초월한다. 즉 푸루샤나 브라흐만과 동일하게 현상세계의 존재처럼 대상화될 수 없는 “보는 자”로서 절대적인 주체이다. 그러나 쉬바는 샹키야의 프라크리티나 베단타의 마야와 같은 다른 원인 없이 스스로가 분열하여 현상을 창조하고 그것을 의식하는 의식이다. 그러므로 모든 현상세계는 쉬바이고 쉬바는 어떤 다른 원인이나 제약 없이 자기가 자기 존재의 원인인 존재이다. 이런 쉬바의 특성을 자유(自由, svātantrya), 혹은 자존(自存)이라고 한다. 프라크리티나 마야에 의해 완전성이 제한되는 푸루샤나 브라흐만을 넘어서서 쉬바가 진정한 진아로서 불이론 쉬바파에서 주장되는 것은 바로 이 자유 때문이다. 이 자유가 바로 의식(caitanya)이고 진아(ātman)이고 쉬바라는 것이 『쉬바수트라』 1장 1송의 의미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sidered the meaning of the first song of Śivasūtra, "the Consciousness is the Self(caitanyātmā)" in accordance with Ksemaraja's commantary, the Vimarsini. In addition, the history of Śaivism before the tradition of Advaita Śaiva was summarized and presented briefly.
    Śiva, who appears as Rudra in the Ṛgveda, was a violent god of storm and disease, but gradually changed to a god who protects humans and livestock from storm and disease, and eventually emerged as the one and only God and a personal God in the Mahābhārata.
    Śavism largely divided into Puranic Śavism, which protects the value of Vedas, and non-Puranic Śavism, which used to practice non-Vedic rituals, and the latter was divided into Outer Path(Atimārga), which opened to ascetics only, and Path of mantras(Mantramārga), which included not only ascetics but also Brahman householders who worshiped Śiva.
    The Path of Mantras was again divided into Śaiva-siddhānta, who argued for dualism, and Advaita Śaiva, who argued for non-dualism. The doctrine of Advaita Śaiva was developed philosophically by Brahmins in Kashmir in the 9th century, and Śivasūtra is the first work at that time.
    In Śivasūtra, the reason that the Absolute Conciousness(caitanya) was defined as the real Self(Ātman) is for revealing the difference of Śiva from Puruṣa and Brahman, who were claimed as the real Self in Sāṅkhya and Vedānta.
    Puruṣa and Brahman have the difficulty of not being able to relate to the phenomenal world that changes constantly, because they are defined as an immutable reality.
    Śiva, the true Self of Śivasūtra, transcends the phenomenon world as the Consciousness that creates it. In other words, like Puruṣa and Brahman, Śiva is absolute subject as "viewer" that cannot be objectified like an existence of the phenomenon world. However, Śiva is the Consciousness that creates the phenomenon world by dividing itself without any other cause, such as prakṛti of Sāṅkhya and māyā of Vedānta. Therefore, all existence of the phenomenon world is Śiva, and Śiva is the one who is the cause of his existence without any other cause or restriction as like prakṛti or māyā.
    This characteristic of Śiva is called the absolute freedom(svātantrya) or “uncreated”. Beyond Puruṣa and Brahman, whose completeness is restricted by prakṛti and māyā, it is because of this absolute freedom that Śiva is defined in Advaita Śaiva as the true Self. This Absolute freedom(svātantrya) is called the absolute Consciousness(caitanya), the true Self(ātman), and Śiva in Śivasūtra Ⅰ.1. and Advaita Śaiv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요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