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 南山 七佛庵 불교조각과 石經片으로 본 통일신라의 불교신앙과 의례 (Buddhist Art, Stone Sūtras, and Buddhist Practices at Chilburam Hermitage, Gyungju in the Unified Silla Period)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8.08
52P 미리보기
경주 南山 七佛庵 불교조각과 石經片으로 본 통일신라의 불교신앙과 의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29호 / 303 ~ 354페이지
    · 저자명 : 하정민

    초록

    경주 남산에 위치한 칠불암은 통일신라기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항마촉지인의 본존불을 중심으로 하는 마애삼존불과 그 앞 방형석주의 사면불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사면불 중 동면에 약합을 든 약사불이 등장하여 학계의 큰 주목을 받아 왔다. 그런데 이곳 칠불암에서는 종래 잘 알려진 위의 불교 조각뿐 아니라, 석판에 불교 경전의 원문을 새긴 석경편이 함께 발견되었다. 이 석경편들은 『金剛般若波羅密經』(鳩摩羅什 譯, T.235, K.0013)과 『藥師琉璃光如來本願功德經』(玄奘 譯, T.450, K.0177)의 전체를 여러 석판에 나누어 새긴 것으로, 그 파편 중 일부가 전하는 것이다. 이 석경편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그 존재에 대해 간단히 언급할 뿐, 그 기능 및 조성요인, 관련 불교의례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진 바 없다.
    본 연구는 칠불암 석경편을 상세히 분석하여, 석경과 불교조각의 배치 및 장엄 방식, 불교 조상과 석경과의 관계, 당시 불교신앙과 의례에서의 활용 등을 고찰한다. 칠불암에 조성된 불교 조상 중에서 약사불을 중심으로 하는 석주의 사면불은 『금강경』과 『약사경』 석경과 긴밀히 연관되어, 약사신앙이 중심이 되는 불교의례를 위해 함께 계획되고 조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불교 신도들은 동면에 약사여래가 크게 조각된 사면불을 右繞하면서 예경하고 『약사경』과 『금강경』의 독송을 행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칠불암 석경편들의 존재는 8세기 통일신라시대 불교도들이 불교신앙 및 의례에 불교 존상에 대한 예경과 더불어 불교 경전을 활용한 송경의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했을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는 소중한 예이다.

    영어초록

    At the Chilburam Hermitage 七佛庵 site located on Mt. Namsan, Gyeongju, there are seven Buddhist sculptures: four Buddhas on a four-sided stone pillar, and a Buddha triad which is behind the stone pillar. Carved on a large stone wall, the Buddha triad consists of a Buddha seated with his right hand in bhumisparsha mudra, or earth-touching gesture at the center and two bodhisattvas standing on the Buddha’s both sides. Four Buddha images are carved on the four respective sides of the stone pillar. On the east side of the pillar, the Buddha who sits holding a wish-fulfilling jewel 寶珠 is presumably the Bhaiṣajyaguru, the Medicine Buddha. These seven Buddhist images have been studied as representative Buddhist sculptures from the eighth century of the Unified Silla Period. Besides these Buddhist sculptures, five pieces of stone slabs carved with Buddhist sūtra texts were also found at the site. The texts for the stone sūtras were drawn from the Sūtra of Merits and Virtues of the Past Original Vows of Medicine Master Vaidurya Light Tathagata 藥師琉璃光如來本願功德經 translated by Xuanzang 玄奘 in 650 C.E. and the Diamond Perfection of Wisdom Sūtra 金剛般若波羅蜜經 translated by Kumārajīva 鳩摩羅什 in 402-412 C.E. These stone sūtras found at the Chilburam site have been mentioned in several studies, but little has been studied on their religious motivation, function, and related Buddhist practices.
    This study examines these Buddhist stone sūtras and sculptures, and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t sculptures and stone sūtras, their uses in the Buddhist rituals and practices, and the ways in which they were placed. It also suggests that the Buddha images which were carved on the four sides of the pillar that has Bhaiṣajyaguru Buddha at its center, and the stone sūtras were planned and created together for an important Buddhist practice at the site in which the Bhaiṣajyaguru Buddha was worshipped as the center of Buddhists’ religious faith. At this site, Buddhists most likely worshipped the Buddhas on the four sides, and special religious focus was laid on Bhaiṣajyaguru Buddha at the east side of the pillar, as they circled clockwise around the stone pillar, reciting the two Buddhist sūtra texts which were carved on stone slabs likely placed on the sides of the four-sided pillar, enhancing the Bhaiṣajyaguru Buddha cult. The presence of the stone sūtras at the Chilburam demonstrates that the eighth century Buddhists in the Unified Silla not only worshipped Buddhist sculptures, but also recited the Buddhist sūtra texts which were carved on the stone slabs and displayed around the pillar in their Buddhist faith and pract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