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석집첩』 수록 17~18세기 普賢寺 僧碑와 불교계 승비 건립의 변화 (Buddhist memorial stones of Bohyeonsa in GeumseokJipcheop and the change of making Buddhist memorials in 17th~18th centur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3.08
44P 미리보기
『금석집첩』 수록 17~18세기 普賢寺 僧碑와 불교계 승비 건립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100호 / 45 ~ 88페이지
    · 저자명 : 정병삼

    초록

    『金石集帖』 226책 중에 현재 전하고 있는 것은 220책이다. 『금석집첩』에 수록된 101종의 불교 자료 중 현재 전하는 것은 88종이다. 『금석집첩』을 통해 새롭게 알려진 불교자료는 모두 10종이며, 이밖에 11종은 탁본 자료로서 처음 알려진 것들이다. 88종의 불교 자료 중에 절반에 가까운 41종이 35인의 승려들의 생애를 기록한 僧碑이다. 17세기부터 『금석집첩』이 1차 제작될 무렵인 1760년까지 건립된 승비는 90기인데, 이들 중 普賢寺에 건립된 것이 17기이고, 13기가 白華庵 楡岾寺 乾鳳寺 등 금강산 사찰에 건립되었다. 남쪽 사찰로는 大興寺에 7기, 美黃寺에 2기가 건립되었다. 이들 사찰에 건립된 39기의 승비는 이 시기에 보현사와 대흥사가 불교계 활동의 중심에 서 있었음을 말해 준다.
    90기의 승비 중에 『금석집첩』에 채집 수록된 것은 41기이다. 이들은 모두 해당 승려의 僧系를 찾을 수 있을 만큼 두드러진 활동을 보인 승려들의 생애를 담고 있다. 41기 중 보현사의 승비가 15기로서 절대적으로 많고, 유점사와 백화암에 각 4기, 건봉사와 深源寺에 각 2기 등 금강산 일대의 사찰을 중심으로 강원도에 12기가 건립되었다. 경기도는 2기, 경상도는 表忠祠 2기 등 5기이고, 전라도는 3기, 황해도와 함경도는 각 2기이다.
    41기의 승비는 浮休系 3기를 제외하고 모두 淸虛系 승려들의 비문이다. 『금석집첩』 수록 승비를 통해 청허계 중에서 四溟派가 금강산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法脈을 계승하며 활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靜觀派는 여러 지역으로 분산되어 활동하였고, 逍遙派는 대흥사에서 강학을 주도하는 한 흐름을 이루었음을 보여 준다. 鞭羊派는 18기나 되는 가장 많은 자료가 수록되었는데, 같은 편양파 중에서도 계열에 따라 다른 활동 무대를 가졌음을 승비들은 보여주고 있다. 편양-楓潭義諶-月渚道安-雪巖秋鵬을 계승하는 문도들은 보현사에서 대를 이어 활동하며 다른 어떤 계파보다 중추적인 위상을 확립하였다. 풍담-월저-설암은 보현사와 대흥사를 모두 근거로 삼아 활동을 펼쳤다. 이들 월저 계열이 풍담-月潭雪霽-喚醒志安-虎巖體淨-蓮潭有一로 계승되는 법맥과 함께 대흥사를 불교계 제일의 講學 도량으로 이끌었으며, 여기에 소요파의 醉如三愚-華岳文信-雪峰懷淨 계열이 합세하여 대둔사가 18세기 후반 불교계의 중심을 이루었음을 『금석집첩』의 비문이 확인해 준다.
    이처럼 『금석집첩』에 수록된 승비 자료는 17~18세기 불교계의 변화 추이를 여실하게 보여주는 불교사적 의의를 갖는다. 특히 편양파 승려들이 보현사와 대흥사에서 중첩되는 활동을 보이다가 점차 대흥사 중심의 면모를 보이는 것을 『금석집첩』의 비문은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자료적 의의가 크다.
    『금석집첩』을 통해 처음으로 소개되는 승비 자료는 승비 제작의 추이를 보여준다는 의미도 갖는다. 18세기에 건립된 雪巖秋鵬⋅雲坡義俊⋅碧虛圓照⋅天然智圓의 4인의 비문이 이를 대표한다. 설암의 비는 4기나 건립되었지만 『금석집첩』에 수록된 보현사비(1708년)가 가장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운파의 비(1728년)는 편양파에 속하지만 풍담과 다른 계열인 운파의 생애를 소략하게 기록한 간단한 비문이다. 벽허의 비(1746년)는 대사의 행적 자체에 대한 부분은 매우 소략한 내용이다. 이는 보현사 승려들의 활동이 불교계에서 점차 위축되던 분위기를 반영한다. 천연의 비(1753년) 또한 소략하다. 다만 천연의 비문을 통해 보현사에서 설암 계열이 세 사람이나 활동하며 종풍을 계승한 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의미가 있다.
    이처럼 18세기 보현사의 새로 소개된 승비들은 비문의 내용이 점차 소략해지고 활동상을 구체적으로 알기 어렵게 되는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 『금석집첩』에 수록된 승비들은 17~18세기 불교계의 변화 추이를 일목요연하게 그대로 보여준다는 불교사적 의의를 갖는다.

    영어초록

    Among the 226 books of GeumseokJipcheop, 220 are currently delivered. There are 88 kinds of Buddhist data currently. There are 10 data of Buddhist materials newly known through the GeumseokJipcheop, and 11 other types are the first known rubbing materials.
    Of the 88 Buddhist data, 41 are memorial stones for 35 monks. The Buddhist memorial stones built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count up to 140, until 1760, the period of collecting GeumseokJipcheop, are 90. Among them, 17 were built at Bohyeonsa, and 13 were built at Geumgangsan Temple, including Yujeomsa, Baekhwaam, and Geonbongsa. As for the southern temples, 9 were built in Daeheungsa and Mihwangsa. The 39 Buddhist memorial stones erected in these temples indicate that Bohyeonsa and Daeheungsa were at the center of Buddhist activities during this period. Among the 90 Buddhist memorial stones, 41 were collected and included in the GeumseokJipcheop. All of the 41 contain the lives of monks who showed outstanding activities. Of the 41, Bohyeonsa's ascendancy is 15, and 12 were built in Gangwon-do. Gyeonggi-do has 2, Gyeongsang-do 2, Jeolla-do 3, and Hwanghae-do and Hamgyeong-do have 2.
    The Buddhist memorial stones of GeumseokJipcheop tells us that among the Cheongheo lineage, the four branches are continuously inherited and active at Geumgangsan. It shows that Jeonggwan branch was dispersed into various regions, and Soyo branch was a trend that led the lecture at Daeheungsa. The largest number of data were included, with 18 pieces of Pyeonyang branch, and the monks show that among the same two-sided schools, they had different stages of activities depending on the series. Pungdam-Weoljeo-Seolam who inherited Pyeonyang, worked for generations at Bohyeonsa, establishing a pivotal status than any other branch. Pungdam-Woljeo-Seolam carried out activities based on both Bohyeonsa Temple and Daeheungsa Temple. These Weoljeo series led Buddhist streams along with Pungdam-Weoldam-Whanseong -Hoam-Yeondam. They joined with Soyo branch, and led Daeheungsa as the most active temple.
    As such, the monument contained in the GeumseokJipcheop has a Buddhist historical significance that shows the trend of change in the Buddhist community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In particular, the inscription of GeumseokJipcheop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learly shows that Pyeonyang branch show overlapping activities at Bohyeonsa and Daeheungsa, and gradually show the central aspect of Daeheungsa.
    Seolam Chubung, Unpa Euijun, Byeokheo Wonjo, Cheonyeon Jiwon, the newly introduced memorial stones of Bohyeonsa in the 18th century show the situation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inscription are gradually abbreviated and it is difficult to know the details of the activity. In addition, the Buddhist memorial stones contained in the GeumseokJipcheop have the significance of clearly showing the trend of change in the Buddhist community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