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론송』의 「관사견품」 연구 – 불일불이와 불상부단의 논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Mūlamadhyamakakārikā’s 27th Chapter, dṛṣṭiparīkṣā nāma saptaviṃśatitamaṃ prakaraṇam - Focusing on Argumentation of neither Sameness nor Difference and neither Eternality nor Annihilation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4.02
29P 미리보기
『중론송』의 「관사견품」 연구 – 불일불이와 불상부단의 논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109호 / 67 ~ 95페이지
    · 저자명 : 최용권

    초록

    중관학파의 시조인 용수(龍樹, Nāgārjuna, ca.150-250)는 붓다의 중도 사상을 계승했다. 붓다가 모순 대립하는 문제인 십난의 사견을 무기로 물리쳤다면, 용수는 자성을 전제하는 4구 형식의 사견을 귀류법으로 논파했다. 용수는 『중론송』 제27장 「관사견품」에서 과거세의 나와 현재세의 나, 현재세의 나와 미래세의 나, 아뜨만(ātman, 我)과 취해진 것(upādāna, 取)의 불일불이와 윤회하는 중생세간의 불상부단을 논증한다.
    우선 3-8송에서는 나의 과거세에 대한 사견 중 제1구를 논파함으로써 과거세의 나와 현재세의 나의 불일 그리고 아뜨만과 취해진 것의 불일불이를 논증한다. 9-12송에서는 나의 과거세에 대한 사견 중 제2구를 논파함으로써 과거세의 나와 현재세의 나의 불이를 다루고, 과거세의 나와 현재세의 나의 불일불이의 논증을 완성한다. 제13송에서는 3, 4구까지 확장하여 나의 과거세에 대한 4가지 사견을 모두 논파한다. 제14송에서는 나의 과거세에 대한 사견과 똑같은 구조로 논파되는 나의 미래세에 대한 사견을 다룬다. 그리고 세간의 항상성(śāśvata, 常住)과 무상성(aśāśvata, 無常)에 대한 사견을 다루는 15-20송에서는 과거세의 천신과 현재세의 인간 둘의 불일불이 그리고 윤회하는 중생세간 하나의 불상부단을 논증한다. 마지막으로 세간의 유한성(antavat, 有邊)과 무한성(anantavat, 無邊)에 대한 사견을 다루는 21-28송에서는 온들의 상속, 취하는 자(upādātṛ, 取者), 취해진 것과 관련한 사견을 논파함으로써 역시 중생세간의 불상부단을 논증한다.

    영어초록

    The founder of the Madhyamaka school, Nāgārjuna inherits the Buddha’s Middle Way (madhyama-pratipad) thought. Whereas the Buddha defeats wrong views of the ten antinomies by silence (avyākṛta), Nāgārjuna confutes wrong views of four padas which presuppose inherent nature (svabhāva) by indirect reduction (prasaṅga). Nāgārjuna argues neither sameness nor difference of past self and present self, present self and future self, ātman and appropriation (upādāna) and neither eternality nor annihilation of transmigratory living thing’s body (loka) in the 27th chapter of Mūlamadhyamakārikā, Dṛṣṭiparīkṣā nāma saptaviṃśatitamaṃ prakaraṇam.
    First, in verses 3-8, he argues non-sameness of past self and present self and neither sameness nor difference of ātman and appropriation by confuting first pada of wrong views on self’s past. In verses 9-12, he deals with non-difference of past self and present self by confuting second pada of wrong views on self’s past. And he completes argumentation of neither sameness nor difference of past self and present self. In verse 13, he confutes all of four wrong views on self’s past by expanding to the third pada and the fourth pada. In verse 14, he deals with wrong views on self’s future which is confuted by same way with wrong views on self’s past. And in verses 15-20 dealing with wrong views on eternality (śāśvata) and impermanence (aśāśvata) of living thing’s body, he argues neither sameness nor difference on both of past god and present person and neither eternality nor annihilation on one of transmigratory living thing’s body. Finally, in verses 21-28 dealing with wrong views on limitation (antavat) and infinity (anantavat) of living thing’s body, he argues also neither eternality nor annihilation of living thing’s body by confuting wrong views associated with the series of aggregates proceeds, appropriator (upādātṛ), appropri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