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왕부지 『周易外傳』의 无妄卦 풀이와 道·佛 兩家 비판에 대한 고찰 (A Study of Wang Fuzhi’s Commentary on Mumanggoe无妄卦 and Criticisms of Taoist and Buddhist in Juyeokoejeon 『周易外傳』)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1.12
32P 미리보기
왕부지 『周易外傳』의 无妄卦 풀이와 道·佛 兩家 비판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 / 56호 / 149 ~ 180페이지
    · 저자명 : 김진근

    초록

    본 논문에서는 왕부지의 『周易外傳』에 드러난 无妄卦 풀이의 함의를 분석하고, 아울러 그가 이 풀이를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는 그의 氣一元論에 대해 논구해 보았다. 본 논문은 먼저 왕부지의 무망괘 풀이를 다루되, 그가 무망괘의 괘상을 바탕으로 하여 ‘있음’과 ‘생함’, ‘길러냄’ 등의 의미를 끌어내며, 아울러 이를 ‘참됨’ㆍ‘망령됨 없음’ 등과 연관 지어 논하는 것을 다루었다. 이는 유가를 긍정의 논리로써 뒷받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논문에서는 『周易外傳』의 풀이에 드러나 있는 道ㆍ佛 兩家에 대한 비판을 다루었다. 이들 兩家가 자신들은 없음[無]의 차원에 설정하고는 유가는 있음[有]의 차원에 있다고 보아서 卑下ㆍ조롱하는 것이 잘못이라고 함을 논하였다. 왕부지는 사실 이들이 이 세계에 대해서 잘못 보았다는 것이며, 그래서 이들이 오히려 망령되었다고 함을 구명하였다. 이는 왕부지의 이들 양가에 대한 비판, 즉 부정의 논리로써 유가를 옹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들이 왕부지의 기일원론에 의하여 了然하게 뒷받침됨을 논하였다. 왕부지는 太虛 속에서 음기ㆍ양기 두 氣가 상호 유기적 작용을 통해 거대한 조화[太和]를 이루며 無始無終으로 본체와 객형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라 하고 있다. 말하자면 인간의 감각 능력으로서 있다고 보이는 차원[明]과 인간의 감각 능력을 넘어서는 차원이어서 없다고 여겨지는 차원[幽]이 모두 氣 하나의 세계로 환원된다는 것이다. 氣는 이들 두 차원을 관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없음[無]이란 없이 세계는 모두 있음[有]으로 환원되며, 만물은 없음[無]과 있음[有] 사이가 아닌 어둠[幽]과 밝음[明] 사이에서 明滅한다는 것이 된다. 이것이 천지만물의 끊임없는 생겨남에 의해서 징험된다는 것이다. 또한 이것이 ‘망령됨 없음’의 실상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들 양가는 이를 제대로 보지 못하고 오히려 없음[無]을 전제로 유가는 있음[有] 차원에 있다며 비판ㆍ조롱하니 이들이 오히려 망령됨 속에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왕부지의 이러한 无妄卦 풀이가 궁극적으로 유학의 본령을 회복하고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것으로 재정립하고자 하는 『周易外傳』의 취지를 잘 살려내고 있다고 보고 논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tried to reveal the covert meaning of Wang Fuzhi’s commentary on mumanggoe 无妄卦 and criticisms of Taoist and Buddhist in Juyeokoejeon 『周易外傳』. In addition, I discussed his gi monism 氣一元論 which supports this commentary. In the beginning, I examined Wang Fuzhi’s commentary on mumanggoe 无妄卦 in the perspective of ‘existence’, ‘producing’ and ‘breeding’ with regards of how to be ‘real’ and ‘non-irrationality 无妄’ based on pattern of mumanggoe 无妄卦. These support Confucianism with positive logic. Moreover, I dealt with Wang Fuzhi’s criticism of Taoism and Buddhism. Wang Fuzhi thought these two schools of study--Taoism and Buddhism have a major drawback, because they believe Confucianism is in the existence dimension 有, while their philosophy is in the nonexistence dimension 無. Wang Fuzhi argued that this misbelief was triggered by their wrong perspective of views. And, this led Wang Fuzhi to have an idea that they are irrational. This indicated that Wang Fuzhi supported Confucianism by rejecting Taoism and Buddhism with negative logic. Lastly, I demonstrated that these arguments from Wang Fuzhi was seamlessly supported by gi monism 氣一元論. Wang Fuzhi asserted that we are living in the world where the eumgi 陰氣 and yanggi 陽氣 are harmoniously interacting and come and go endlessly in the great emptiness 太虛. In a word, the lightness dimension 明 which is visible and the darkness dimension 幽 which is invisible on a human being’s sense ability coalesce into one in the great emptiness 太虛. Because the gi 氣 is traveling these two dimensions constantly. Therefore, the world becomes a existence dimension on the whole. So there are no nonexistence in the great emptiness 太虛. And, every existence will be existed and disappeared like blinking lights between the lightness dimension 明 and the darkness dimension 幽, not between the existence dimension 有 and the nonexistence dimension 無. These were experienced by the constant becoming of the everything under the sun. This indicated the true meaning of ‘non-irrationality 无妄’. Hence, the criticism of Confucianism from Taoism and Buddhism that Confucianism is in the existence dimension 有 rather than the nonexistence dimension 無 should converge to the fact that actually Taoism and Buddhism are irrational. This study indicated that, eventually, the purpose of Juyeokoejeon『周易外傳』 which is recovering the original meaning of Confucianism and responding to calls from times is well described in Wang Fuzhi’s commentary on mumanggoe 无妄卦.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