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상과 기억의 불협화음: 시와 철학의 불화에 대한 하이데거적 해법 (The Dissonance of Imagination and Memory: Heidegger’s Solution to the Discord between Poetry and Philosoph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2.09
28P 미리보기
상상과 기억의 불협화음: 시와 철학의 불화에 대한 하이데거적 해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98호 / 177 ~ 204페이지
    · 저자명 : 김동규

    초록

    본 논문은 상상과 기억의 지평에서 시와 철학의 관계에 대한 하이데거적 견해를 재구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시와 철학은 쉽게 화해할 수 없는 사이였다. 플라톤에 따르자면, 시와 철학은 ‘오래된 불화’ 속에 있었다. 플라톤에서 헤겔에 이르기까지 줄곧 철학자들은 시로부터 ‘진리(알레테이아의 기억)의 주도권’을 탈취하려했다. 진리를 둘러싼 정쟁의 결과로 나온 것이 바로 플라톤의 ‘시인 추방론’과 헤겔의 ‘예술의 종언 테제’다. 그에 반해 하이데거는 시와 철학의 공속 관계를 주장하면서, 불화를 ‘창조적인 차이 생성’으로 전환시킬 것을 피력한다. 다시 말해서, 매번 시와 철학이 상대에게 이질적이고 창조적인 언어를 구사함으로써 감추어진 존재를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시와 철학의 관계에 관한 성찰은 전통 철학을 비판하고 새로운 철학적 사유의 지평을 모색하려는 일환에서 나온 것이다. 그런데 하이데거는 시와 철학의 차이를 밝히는 과정에서 이미지가 시에게 필수조건인 반면, 철학적 사유는 이미지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이런 구분을 통해서 므네모쉬네의 후손인 시인이 가졌던 기억의 권능을 사유에 귀속시킨다. 대신에 시인에게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상상을 귀속시킨다. 요컨대 후기 하이데거는 시에 상상을, 사유에 기억을 귀속시킨다. 겉보기에 이것은 전통 철학자들과 유사한 입장이다. 다만 상상이 거짓의 원천이 아니라 기억의 불가피한 동반자로서 진리의 원천이며 기억과 상상이 내밀한 공속관계에 있다고 생각한 점에서 하이데거는 이전 철학자들과 구분된다. 결론적으로 하이데거에게 상상과 기억, 시와 철학은 ‘불-협화음’을 내는 가운데에서만 존재의 진리를 드러내는 현존재의 이원적인 최고 심급을 뜻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will be devoted to an effort to reconstruct Heidegger’s viewpoint about the rapport between poetry and philosophy in the epistemological horizon of the imagination and the memory. Historically there was “an ancient quarrel between philosophy and poetry.” Philosophers (from Plato to Hegel) have tried to wrest the hegemony of the truth from poets all the time. As a result of these tries, Plato’s poet- banishment theory and Hegel’s These, i.e. “the end of art” were set forth. In contrast Heidegger claimed to convert “that quarrel(διαϕοϱά)” into the creative difference becoming, holding the belonging-together relation (Zusammengehörigkeit) between poetry and philosophy. According to P. Ricoeur, there is “a formidable aporia” between imagination and memory. I think that Heidegger sought a solution to this aporia within the horizon of the relation between poetry and philosophy. According to Heidegger, poetry has images, whereas philosophical thinking ought not to depend on images. Image is necessary condition for poetry, but it is a necessary evil for philosophical thinking. And Heidegger ascribes memory to the thinking. Originally the privilege of memory had poets, who were under the aegis of menemosyne(memory goddess). After Socrates sacrifice, philosophers encroached on poets privilege. At any rate, Heidegger ascribes the memory to the philosophical thinking, and the imagination to the poetry. Seemingly this viewpoint is analogous with traditional philosopher’s. But Heidegger is different from other traditional philosophers, insofar as the imagination is not the resource of the falsehood, but that of the truth, and it is in the close, inevitable, mutual relation with the mem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