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阿彌陀佛五十菩薩像에 대한 硏究 - 四川地域의 像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age of Buddha Amitabha with Fifty Bodhisattvas”: Focusing on Examples from Sichuan Region in Chin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6.03
30P 미리보기
阿彌陀佛五十菩薩像에 대한 硏究 - 四川地域의 像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89권 / 289호 / 187 ~ 216페이지
    · 저자명 : 김은아

    초록

    阿彌陀佛五十菩薩像은 天竺의 鷄頭摩寺에 있던 五通菩薩이 淨土에 태어나길 원하는 중생들을 위해 安樂界의 阿彌陀佛에게 불의 형상을 청한 전설에 근거하고 있다. 중국 唐代에 제작된 아미타불오십보살도상은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연꽃줄기로 연결된 연화좌 위에 다양한 포즈를 취하는 보살상을 배치하고 있다.
    당대 사천지역에서는 초당에서 성당에 이르기까지 아미타오십보살도상이 많이 제작되었다. 특히 현재로서는 가장 이른 시기에 확인되는 아미타불오십보살상이 현존하고, 지속적으로 제작된다는 점에서 아미타불오십보살도상을 이해하기 위해 사천지역 상들의 전개과정과 제작배경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초당대, 성당이후의 아미타불오십보살도상을 나누어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사천지역에서는 현존하는 작품 중에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梓潼縣 臥龍山 千佛岩 第3號龕(貞觀8年, 634) 뿐만 아니라 線陽市 碧水寺 第19號龕(貞觀年間, 627-649), 巴中市 通江縣 千佛崖(龍朔3年, 663) 등의 초당대 작품들이 다수 확인된다. 둘째, 돈황석굴 및 용문석굴의 아미타불오십보살도상은 초당대에 이미 서방정토변 또는 다른 존격과 결합하면서 도상의 변용이 일어나고 있는 반면, 사천지역에서 이러한 변화는 성당 이후에 확인된다.
    첫 번째 사천지역에서 당 초기의 상들이 유행하고, 또 그 제작이 지속되는 이유로는 『續高僧傳』, 『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의 기록을 근거로 수말당초의 복잡한 사회적·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장안 보다 사천지역에서 안정적으로 유행할 수 있었다고 보았다. 또한 두 번째, 다른 지역 보다 다소 늦게 오십보살상을 서방정토변에 응용하고 있는 것은 사천지역 불교문화의 고립적이고 독립적인 특징에 그 원인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미타불오십보살도상에 표현된 ‘山岳’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여 梓潼縣 臥龍山 千佛岩 第3號龕, 線陽市 碧水寺 第19號龕등 당 초기 사천지역에서 확인되는 ‘山岳’은 설화를 극적으로 표현하는 효과적인 모티브라는 점을 강조하는 동시에 나아가 『續高僧傳』의 「釋慧海」傳을 근거로 이 모티브가 아미타신앙의 ‘觀行과 見佛’이라는 종교적 실천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모티브였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용문석굴에서 다른 존격과 결합한 오십보살상은 이러한 종교 실천적 관점에서 접근했을 때 이해될 수 있다고 보았다. 한편, 성당 이후 아미타신앙에 대한 관행은 智顗나 善導, 慧日을 거치면서 사바세계에 현현하는 아미타불보살의 견불에서 서방정토로의 왕생, 여기에 필요한 서방정토에 대한 관행으로 전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아미타불오십보살도상에 표현된 오십보살상은 서방정토와 결합하게 되고, 이후 점차 산악의 표현과 함께 사라져 갔다고 보았다.

    영어초록

    The “Image of Buddha Amitabha with fifty Bodhisattvas” is based on a legend that Wutong bodhisattva at Kukkutarama Monastery in India asked the Buddha Amitabha to provide an earthly image of himself for the sake of living beings in the world of suffering who wished to be reborn in the Pure Land. Carvings of the image produced during the Tang dynasty(618-907) are composed of the Buddha Amitabha seated in the center and surrounded by bodhisattvas sitting in various positions on lotus flowers, which are all connected to the same stem. Many carvings depicting the image were produced in the Sichuan region during the early and high Tang periods. Given that the earliest carving exists in the region, and that the image was consistently produced in the same province, examining the development and background of the Sichuan carvings is vital in our understanding of the icon.
    By examining the images, this study confirms the following facts. First, a number of carvings created during the early Tang survive in Sichuan region. They include the one from the niche no. 3 at Qianfo Cliff of Mt. Wolong in Zitong County(dated to 634 C.E.), the earliest extant carving, and those in niche no. 19 at Bishui Temple in Mianyang(627-649) and at Qianfo Cliff in Tongjiang County, Bazhong(663). Second, while the same image made in Dunhuang and Longmen Caves changed from the early Tang by combining with images of the Western Paradise or other images, carvings in the Sichuan region display such changes only after the high Tang period.
    I argue in this paper that the reason why such carvings remained popular and were continuously produced in Sichuan in the early Tang period is related to the complex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during the Sui-Tang transition, which made Sichuan region more stable than Chang'an in the production of Buddhist images based on records from Xu gaoseng zhuan(續高僧傳) and Da Tang da Ci'ensi sanzang fashi zhuan(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 I also pointed out that the relatively late application of the Image of Buddha Amitabha with fifty Bodhisattvas to the representations of Western Paradise lies in the isolated and independent nature of Buddhist culture of the Sichuan region.
    Finally, I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the mountain motifs in the Image of Buddha Amitabha with fifty Bodhisattvas. I emphasize that the mountain images found in early Tang works in Sichuan region such as those of Qianfo Cliff at Mt. Wolong and Bishui Temple in Mianyang are an effective motif for dramatic expression of the legend. I also suggest that this was an important motif that maximized the religious practices of guanxing(觀行, contemplation) and jianfo(見佛, seeing the Buddha) based on the biography of Huihai in Xu gaoseng zhuan. I propose that the Image of Buddha Amitabha with fifty Bodhisattvas combined with other images at Longmen Caves can be understood when approached from this religious angle. Meanwhile, the emphasis in the Amitabha cult envisioned by Zhiyi, Shandao and Huiri changed from jianfo to guanxing, which is necessary to the reborn in the Western Paradise after the high Tang. I suggest that due to this change in the cult the Image of Buddha Amitabha with fifty Bodhisattvas came to be combined with images of the Western Paradise and gradually disappeared along with the mountain motif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