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1987> 속 제노사이드를 통해 바라본 회색지대와 민중의 반딧불 (The gray zone and the people's fireflies seen through the genocide in the movie <1987>)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5.03
40P 미리보기
영화 &lt;1987&gt; 속 제노사이드를 통해 바라본 회색지대와 민중의 반딧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영화연구 / 18권 / 1호 / 223 ~ 262페이지
    · 저자명 : 이명보

    초록

    영화 <1987>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벌어진 이후, 진실을 은폐하기 위해 조직적이고 잔인하게 움직이는 독재 정권과 이를 저지하고 진실을 파헤치려는 다양한 인간군상과의 대립을 밀도 높게 그린 영화이다. 무엇보다 영화에서 구현되는 군사 정권의 처리 방식은 지배 세력의 집요한 주민 계층화 과정을 거쳐 정치‧경제적 반대자들을 억압하고 주민학살을 위한 준비 작업을 이룬다. 그리고 학살의 흔적을 은폐하거나 조작하는 등의 과정은 마치 ‘에릭 와이츠’가 정립했던 단계적 메커니즘을 방불케 한다.
    또한 가해자의 입장으로만 일관했던 박처원이 실은 시대가 만들어낸 괴물임과 동시에 피해자였음이 드러나게 된다. 이는 레비가 주장했던 회색지대 안에 고립된 인물을 통해 무고한 희생과 시대의 비극을 만들어낸 악마는 다름 아닌 전체주의적 정치 체제였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이러한 독재와 야만적 폭력에 대항하는 시민들의 저항은 마치 위베르만이 강조했던 반딧불의 미광을 대변한다. 영화 속 반딧불 이미지는 소외된 공동체의 파괴와 자본주의와 파시스트 세력 하에서 대안 방식에 대한 은유로, 반딧불은 압제력에 직면한 작고 연약한 생명, 저항 및 자유의 징후를 나타낸다.
    이에 본고는 영화 속 악역들의 성향과 행동의 개연성을 통해 그들을 동기화하도록 만드는 이데올로기를 살펴보고, 이로 인해 벌어지는 일련의 비인간화와 정당화로 재현되는 제노사이드의 성향을 파악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악역이 처한 시대상과 개인의 전사를 통해 선과 악에 대한 단순한 이분법적 도덕 판단을 넘어당시 시대상과 악인에 대해 성찰하고, 이러한 독재 정권에 맞서는 시민들의 저항 이미지를 통해 영화가 전하고자 했던 주제적 함의를 고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film <1987> is a film that densely depicts the conflict between the dictatorship that systematically and cruelly moves to conceal the truth after the ‘Park Jong-cheol torture death incident’ and the various human groups that try to stop it and uncover the truth. Above all, the way the military regime deals with the situation as implemented in the film is through the persistent process of stratifying the population by the ruling power, suppressing political and economic opponents, and preparing for the massacre of the residents. And the process of concealing or manipulating traces of the massacre is reminiscent of the step-by-step mechanism established by ‘Eric Weitz.’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Park Cheo-won, who had consistently taken the position of the perpetrator, was in fact a monster created by the times and a victim at the same time. This suggests that the devil that created innocent victims and the tragedy of the times through the isolated figures in the gray zone that Levy argued was none other than the totalitarian political system. And the resistance of the citizens against this dictatorship and barbaric violence represents the faint light of the firefly that Hubert Hubert emphasized. The image of fireflies in the film is a metaphor for the destruction of marginalized communities and alternative methods under capitalism and fascist powers. Fireflies represent small and fragile lives, signs of resistance and freedom in the face of oppression.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ideology that motivates the villains in the film through the probabilities of their tendencies and actions, and identify the tendency of genocide that is reproduced as a series of dehumanizations and justifications that occur as a result. Furthermore, we seek to reflect on the times and villains of the time through the villains’ era and their personal struggles, beyond the simple dichotomous moral judgment of good and evil, and to elucidate the thematic implications that the film intended to convey through the images of citizens’ resistance against this dictator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