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구 문헌학적 연구방법론의 수용과 인도 불교학의 성립 (Expropriation of Western Philological Approach and Formation of Indian Buddhist Studie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09.12
36P 미리보기
서구 문헌학적 연구방법론의 수용과 인도 불교학의 성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24호 / 529 ~ 564페이지
    · 저자명 : 배상환

    초록

    본 논문은 언어학과 해석학을 통하여 형성된 서구 불교문헌학의 연구 방법론과 이를 통하여 형성되고 발전한 인도불교학의 성립을 살펴보았다. 서구 불교문헌학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는데, 하나는 필사본 연구와 번역이며 다른 것은 필사본 연구를 통하여 형성된 철학사적 연구이다. 서구에서 필사본 연구와 번역은 19세기에 접어들어서야 가능해 졌고, 그 중심에는 뷔르누프가 있다. 그는 당시 생소한 산스크리트 사본과 팔리어 사본을 문헌학적 연구 방법론을 통하여 비교함으로서 실질적인 서구 불교학의 창안을 이루어 냈다. 뷔르누프 이후 수많은 서구 불교학자들이 출현하게 되는데, 그 중에는 서구 유럽을 대표하는 리즈 데이비드, 레비, 뿌생, 프르찔루스키 등이 주목된다. 문헌학적 연구와 비교하여 철학사적 연구 방법론을 주도한 학자는 세나르와 올덴베르그가 있다. 세나르의 연구방법은 불교의 중심 주제들을 신화적인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였고, 반면 올덴베르그 철저하게 역사적, 사실적 관점에서 불교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 두 학자의 연구방법론을 통하여 서구의 근대불교학에서 많은 철학사적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막스 뮐러, 로젠베르그, 체르바츠키 등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음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서구문헌학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인도 근대불교학의 성립과 전개를 살펴보았다. 서구불교학의 근간이 산스크리트와 팔리어 필사본을 채집하고 편집하는 문헌학적 연구에 국한되었다면, 인도 근대불교학은 제역대조 교정본에 근거하여 텍스트의 교정연구에 보다 비중이 주어졌다는 것을 검토하였다. 또한 인도 근대불교학이 지역적인 특색을 가지고 서구불교학을 수용하였다는 것을 동인도, 서인도, 북인도, 남인도로 구분하여 각 지역의 불교학 연구 성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서구 불교문헌학에 토대를 둔 인도 근대불교학은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채택하여 서구 불교학이 이룩한 성과보다 교리적, 지역적, 철학적, 예술적 범주로 확대되었음을 고찰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figure of modern Buddhist study focusing on the western scholars, who have left representative study results in the field of Buddhist philology. In addition, it’s another purpose was to research the trend and category of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which was created through the effect of western Buddhist study.
    Western Buddhist study was the result of reflecting Buddhist study to philological and linguistic study, which was shown in the view of Orientalism. From another viewpoint, western Buddhist study was created by many dedicated works such as edition and translation of Buddhist text, publication of grammar book, writing of dictionary, reorganization of forgotten past age and creation of knowledge based on experimental verification for several centuries. Western Buddhist study can be explained by two viewpoints. One is philological study and another is philosophical study. For philological study, its decisive motive was prepared through the achievement of Burnouf in 1877. Through his achievement, critical view and comparison between Pali and Sanskrit literature were available in the study of western Buddhist philology. As kinds and volumes of Pali and Sanskrit literatures were enlarged, his successor had no choice but to major only one field or one language from the viewpoint of original text's criticism and interpretation. Therefore, except several extraordinary scholars, who read Sanskrit, Pali, Chinese and Tibetan sutras extensively, such as Levi, Poussin and Przyluski, the Buddhist scholars of the 19th century should devote themselves to Pali and Sanskrit philology. As a result, western Buddhist study was led to the study on grammar, vocabulary and philosophy naturally through philological methodology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such as nirvana and rebirth as well as the concept of Buddha were heterogeneously reflected to the western society.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showed more matured figure through the philological study achieved by western Buddhist study. From the aspect of study methodology, however, it is hard to deny that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has followed the achievement, which was produced by western Buddhist study for few centuries, as it was. In the other aspect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which had the local characteristic, experienced the historical process that it was developed from East and West India and then it was enlarged into North and South India.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which was originated from East India, has the meaning that it escaped from the step to adopt philological methodology of western Buddhist study and made Buddhist study as an independent study system.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deducted study achievement by focusing on interpretational study and introduction of Pali and Sanskrit literature, but it has made various efforts to restore original form of Sanskrit from Chinese or Tibetan sutra. And moreover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archived collect & translates Tibetan literature, establish the relation between Indian philosophy and Buddhism and display philosophy of Mahayana Buddhism by enlarging its denotation. In other words, it produced many achievements by enlarging the achievement of western Buddhist philology into doctrinal, regional, philosophical and artistic catego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