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경리 『토지』와 최명희 『혼불』을 통해 고찰한 한국의 음식문화 (A Study on Food Culture of Korea in Park, Kyeung-lee's 『Toji』 and Choi, Myeung-hyee's 『Honbul』)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5.04
35P 미리보기
박경리 『토지』와 최명희 『혼불』을 통해 고찰한 한국의 음식문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58호 / 257 ~ 291페이지
    · 저자명 : 우수영

    초록

    본 글의 목적은 박경리『토지』와 최명희 『혼불』의 서사에 등장하는 한국의 음식문화를 어떻게 의미화 시킬 것인가에 두었다. 두 작품에서는 음식문화와 관련된 서사가 비중 있게 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주목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글에서는 두 작품의 서사를 통하여 한국의 음식문화를 의미화하고자 시도하였다.
    최명희 대하장편소설 『혼불』에서는 매안 이씨 핏줄 지키기를 위협하는하층 민중들의 음식문화를 파악할 수 있으며, 하층 민중들이 상층 주체를비난하고 몰락을 예언하는 지점에서 하층 민중들의 음식문화가 작동하고있다. 나아가 『혼불』의 상층 주체 매안 이씨들은 음식문화를 통해 구분짓기를 하고 있다. 『혼불』의 서사를 통해보면, 당시 조선 상층 주체들이 보여주는 한국의 음식 문화는 죽은 조상을 추모하기보다 예의와 격식에 의해차려진 제사상에 더 의미를 두며 이분법을 발휘하고 있는 향벽설위(向壁設 位)로 의미화 되고 있다.
    박경리 대하장편소설『토지』의 주인물 최서희는 평사리 토지 되찾기 과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자신을 도와 줄 연대를 형성한다. 바로 이 지점에서상층 주체들의 민중관을 통하여 하층 민중들의 음식문화가 드러나고 있다.
    또한 전쟁이 확대되는『토지』의 후반 서사에서는 조선의 젊은 생명을 향한밥먹이기가 한국 고유 사상 동학(東學)의 향아설위(向我設位)로 연결되어 의미화 되고 있다.
    결국, 박경리『토지』와 최명희『혼불』의 대서사를 통하여 죽은 사람을위한 예(禮) 향벽설위와 살아있는 민중들이 음식의 주체가 되는 즉 ‘나’와조상, ‘나’와 세계가 한 생명이 되는 항아설위가 한국의 음식문화 저층에작동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what the identity is in food culture of Korea that is suggested through Park, Kyeung-lee's 『Toji』 and Choi, Myeung-hyee's 『Honbul』, and to what its semantic mapping is pointing in each narration. A comparative research between『Toji』and 『Honbul』 has been discussed with the focus on Jongbu(宗婦) consciousness, traditional rite, family-history novel type, and changing femininity. The semantic mapping related to Korean food is importantly appearing in two works. Yet, the attention to this has rarely paid. Accordingly, this study developed a consideration on what the food culture of Korea is that is being embodied according to the central axis of narration in Park, Kyeung-lee's 『Toji』 and Choi, Myeung-hyee's 『Honbul』 and on what it activates and how it is signified.
    In Chapter 2, it grasped Choi, Myeung-hyee's 『Honbul』 by having the central axis of narration as preserving blood in the head family house of the Maean Lee clan, and Park, Kyeung-lee's『Toji』by having the central axis of narration as regaining land for the House of Choi Champan(崔參判宅) in Pyeongsa-ri that was lost by Jo Jun-gu. Hence, it analyzed which meaning the Korean food is deriving in the central axis of its narration. In 『Honbul』, it examined that the solidarity of blood is being festivalized through the devotion and the complexity in Korean food of appearing in a wedding scene of Gangmo and Hyowon, which is a ritual for proceeding with keeping blood of the head family. Additionally in 『Toji』, it could know that Seo Hui, who succeeded to her father Chi Su's idea of the populace, is proceeding with forming the power of solidarity who will help herself while distributing crops in a storeroom of the House of Choi Champan.
    In Chapter 3, it discussed about the food culture of Korea that is positioned at the point of inflection in the central axis of the narration as saying of regaining land in Pyeongsa-ri of 『Toji』, and of preserving blood in the Maean Lee clan of 『Honbul』. In the narration of 『Honbul』, it figured out the food culture of Korea that is situated at the point of inflection to keep blood as the central axis. It was understood in a part of predicting a collapse while the main agents of the lower class criticize the main agents of the upper class, which aim to distinguish own sphere with food, through food. In 『Toji』, another solidarity is proceeding with being made while Seo Hui, who went a long way for recovering the land for the House of Choi Champan in Pyeongsa-ri, comes back to her hometown Pyeongsa-ri. The food culture of Korea is being positioned just at the point of its inflection. In regaining the land of Pyeongsa-ri, young people in Joseon are placed at the point of inflection that advances to the solidarity of the people in Joseon, which supports the young life in Joseon.
    In Chapter 4, it was concerned about as which meaning a situation of Korean food culture can be valued that was discussed in the narrations of 『Toji』 and 『Honbul』. This worry was led to a work of valuing the food culture of Korea through the Dong-hak thought(東學思想), which is being newly recognized as a root of Korea's life thought while being recently expanded an interest in environment and life. Especially in the food culture of Korea here, it paid more attention to at which context the food is situated, than food itself. Accordingly, the food culture of Kore, which was considered through the narrations of 『Toji』 and 『Honbul』, was elicited to have been able to be divided into Hyangbyeokseolwi(向壁設位) in the main agent of differentiating in the upper class, and Hyangaseolwi(向我設位) of advancing to feeding the young life in Joseon.
    The aspect in the food culture of Korea, which was shown in the narrations of 『Toji』 and 『Honbul』, could be ultimately found in Hyangbyeokseolwi(向壁設位) of distinguishing, which tries to proceed with keeping blood, and Hyangaseolwi(向我設位) of advancing to the joint life in the whole people of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