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주별산대놀이>의 공손어법과 불공손어법의 문화적 의미 ((Im)Politeness's Cultural Meaning of Yangju Masked Dance Play)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3.06
43P 미리보기
&lt;양주별산대놀이&gt;의 공손어법과 불공손어법의 문화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27호 / 327 ~ 369페이지
    · 저자명 : 주현식, 이상란

    초록

    연행 장르인 <양주별산대놀이>의 독특성을 조망하기 위해서는 연행 현장에 밀착하여 연행자와 청관중이 함께 형성하는 상황적 의미를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상술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를테면 청관중의 수용 맥락 속에서 연행자들이 발화하는 언어 형식이라든지, 동작이나 음악 같은 비언어적 채널들의 전달 경로들에 대한 문화사적 성찰은 연행 장르인 <양주별산대놀이>의 특성들을 새롭게 조망하고 사유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을 유념하면서 공손어법과 불공손어법을 중심으로 <양주별산대놀이>의 ‘연행문법’에 담긴 문화적 의미를 살펴보려 한다.
    <양주별산대놀이>의 공손함의 에토스는 직접적 요청의 수행동사로 이어지는 담화적 배열 등과 함께 격식 있고, 일방향적이며, 특수함의 직(直)의 제스처가 취해지고, 사회적 정체성을 지표화하는 음악이 연주되는 가운데 감각적으로 구성된다. 반면 불공손함의 에토스는 병행구문 등 유희적 언어들의 사용과 함께, 자유롭고, 쌍방향적이며, 전국적인 곡(曲)의 제스처가 취해지고, 신체적 가소성을 지표화하는 음악이 결합하는 가운데 감각적으로 구성된다. 공손한, 불공손한 어법이 발화되는 경우, 심미적으로 보다 고양된 장면이 설정돼, 관객이 연행 현장에 참여할 수 있는 여지가 높아진다. 이러한 <양주별산대놀이>의 구술연행문법은 조선 후기의 사회문화적 상황을 상동적으로 형상화한다. 다시 말해서 공손함과 불공손함을 이루는 감각적 요소들은 문화적 행위의 한 단위인 문화소로서 체면을 구성하는 바, 더 큰 문화 단위인 의료 시스템, 상업 시스템, 식생활 시스템 등 조선 후기 관념적 차원의 문화적 활동 등을 권위적으로, 탈권위적으로 구조화하게 된다. 해서 보수와 혁신의 기운이 팽팽한 긴장 관계를 이루었던 조선 후기의 역사적 상황을 재맥락화하는 중요한 연행적 표지로서 <양주별산대놀이>의 공손한, 불공손한 어법이 가지는 문화적 의미를 본고는 보여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논의는 탈춤 연행의 미학적 차원에 포섭된 사회문화적 차원을 중층적이고도 다층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로서 의의를 가질 것이라 사려된다. 언어학적, 동작학적, 민족음악학적, 문화학적 차원 등 융복합적 관점에서 탈춤의 연행문법을 정리해보는 일은 굿 기원설이나 민중 계층 성장론의 당위론적 시각 하에 전개되어 온 탈춤 연행 연구에 또 다른 방향을 마련하는 유용성을 가진다.

    영어초록

    In order to study distinctiveness of Yangju Masked Dance Play as performative genre, it is necessary to do as in-depth analysing of a situational meaning that performers and audiences make together at performance site. For example, a cultural perspective about linguistic forms or nonverbal channels like gesture and music provides Yangju Masked Dance Play's research with a new perspective. Bearing these points in mind, this paper will study cultural meaning of Yangju Masked Dance Play's oral performative grammars with (im)politeness as the center.
    In Yangju Masked Dance Play, politeness is sensuously made up a direct request's discourse, bound-unidirectional-particular gestures, and musics standing for a social identity. On the other hands, impoliteness is sensuously made up a playful discourse strategy like parallelism, free-bidirectional-global gestures, and musics standing for a physical plasticity. In both cases, audiences become participants, because of aesthetically elevated situations arising from uttering (im)politeness. Therefore, Yangju Masked Dance Play's oral performative grammars homonymously figure sociocultural conditions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That is, sensitive factors as (im)politeness's constituent make up faces as a unit of cultural activity, i.e. 'cultureme', and faces authoritatively or deauthoritatively structure intelligible cultural activity like medical, commercial, food life system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So, as a cultural meaning, (im)politeness of Yangju Masked Dance Play recontextualizes historical conditions of the late Chosun Dinasty which conservatism and progressive ideas continue the strained relations.
    As a result, this paper will have significances in that it attempts to variously understand sociocultural aspects of Korean Masked Dance Play's aesthetics. To linguistically, kinesically, ethnomusically, culturologically analyse oral performative grammars will provide us with useful research perspectives, because the earlier studies on Korean Masked Dance Plays have focused on ritual hypothesis of the origin of it or realism study about growth of the people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