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정환의 번역작품 연구 - 「귀먹은 집오리」와 「불노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f Bang Jeong-Hwan's translated work - Focuced on Deaf duck and Firework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7.04
31P 미리보기
방정환의 번역작품 연구 - 「귀먹은 집오리」와 「불노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18권 / 1호 / 203 ~ 233페이지
    · 저자명 : 박종진

    초록

    본고에서는 방정환 번역작품 「귀 먹은 오리」 「불노리」의 일본저본을 새롭게 밝히고 문장을 비교분석했다. 두 작품 모두 일본아동문예잡지 『긴노후네』수록작품으로 잡지에서는 ‘동화’라는 장르명이 붙었다. 「귀먹은 오리」는 이야기성이 강조된 동화이고, 「불노리」는 소년의 슬픔을 사실적으로 서술한 소년소설이다.
    1920년대를 전후해서 아이들에게 예술적인 동화·동요를 주기 위해 창간되기 시작한 것이 일본아동문예잡지들이다. 일본 유학을 통해 ‘아동문예잡지의 황금기’를 목격한 방정환은 『어린이』지를 구상하면서 이런 잡지들을 두루 참고했을 것이다. 잡지들 가운데 특히 『긴노후네』에 대해서는 뚜렷한 친연성을 확인할 수 있다. 『긴노후네』는 창간시 부터 ‘어린이를 위한 잡지’임을 표방하고, 예술성을 추구하면서도 ‘동화를 읽는 가운데 저절로 깨닫는 교육성’을 중시했다. 방정환은 『긴노후네』의 편집철학에 공감하며 수록텍스트를 번역했다.
    ‘동화’라는 용어와 개념은 근대 일본을 통해 수입된 용어였지만, 1920년대는 일본에서도 ‘동화’의 개념은 여전히 설화의 재화를 중심으로 한 ‘오토기바나시’와 뚜렷한 차별점을 확보하지 못했다. 방정환은 ‘동화’ 「聾の家鴨」를 ‘동화’ 「귀먹은 집오리」로 옮기고, ‘동화’ 「花火」를 ‘소년애화’ 「불노리」로 구분 지어 번역했다. 일본에서 ‘동화’라는 넓은 장르명으로 분류되어 있던 작품들을 서사의 길이와 내용, 그리고 구성에 따라 다른 장르명을 붙여 성격을 명확히 구분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original scripts and comparatively analyzed the sentences in the translated scripts of two literary works translated by Bang Jung-Hwan, Deaf duck and Fireworks. Both literary works were originally published in Kinnohune, children's literary magazine, under the genre category of 'children's story(童話)'. Deaf duck is an allegory with good story setting, and Fireworks is boyhood novel with a realistic description of a boy's sorrow.
    In the 1920s, the Japanese children's literary magazine were published to provide artistic children's stories and children's songs. Bang Jeong-Hwan, who observed 'the golden age of the children's literary magazines' in Japan, is assumed to take consideration of those magazines upon his establishment of Eorini. Among the Japanese magazines, it is clear to see a connection between Kinnohune and Eorini. From its publication fo the first issue, Kinnohune promoted itself to be 'the magazine for children', focusing on 'the educational qualities from naturally learnt lesson's while pursuing artistry at the same time. Bang Jeong-Hwan, deeply inspired by the editorial philosophy of Kinnohune, translated the works from the magazine.
    Although the term and the concept of the '童話' came from Japan, there was no distinctive feature in the concept of the 'children's story' Japan, in the 1920s, that distinguished it from 'Otogibanasi' the folk tales. Bang Jeong-Hwan translated and introduced Dowa「聾の家鴨」as Dong hwa Deaf duck, and Dowa Hanabi into boyhood novel(少年哀話) Fireworks. Through the different categorized of literary works by the length, contents, and structure of a story that were originally categorized under the widely comprehended genre of 'children's story'. It seems to be an intention to re-contextualize the genre by the classified level of stories to provide literary amusement to various targets of the read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