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雲住寺 寺名과 千佛千塔의 구름 상징성 (Symbolism of Unjusa Temple and Thousand Buddha and Stup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8.06
36P 미리보기
雲住寺 寺名과 千佛千塔의 구름 상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36호 / 31 ~ 66페이지
    · 저자명 : 김기용, 민영순, 강성곤

    초록

    운주사는 다양한 형태의 많은 석불석탑이 배치되어 천불천탑의 사찰로 불린다. 하지만 언제, 누가 어떠한 성격과 목적으로 창건하였는지, 사명의 의미는 무엇인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雲住寺’는 고려시대 10세기에 창건되어 약 600년간 존속되다가 정유재란(1597년) 이후에 폐사되었다. 19세기 초반에 암자 규모의 약사전이 조성되었으나, 후반에 다시 폐사되었다. 20세기 초에 현재 위치에 불전이 세워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구름이 머무는 절’, ‘구름 속에 있는 절’로 해석되는 ‘雲住寺’는 정유재란 이후 폐사될 때까지 사용된 사명으로 보인다. 20세기 초에 현재의 사원 위치에 재창하면서 도선의 행주론이 반영된 한자가 다른 ‘運舟寺’ 사명 등이 사용되었다. 1980년대 발굴조사 이후에 ‘雲住寺銘’ 문자기와가 출토됨으로서 다시 ‘雲住寺’로 환원되었다.
    지역 주민들은 운주사를 천불천탑과 동명으로 인식하고 천불천탑으로 부르고 있으며, 이는 천불천탑이 구름의 상징성인 풍요와 다산이 함축되고 구름처럼 많은 석불석탑을 의미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구름처럼 다양한 천불천탑은 각각의 탑상이 구름의 상징인 하늘, 부처, 신선, 성신 등 신중(神衆)의 모임처가 된다. 운주사 사명의 의미는 물, 비와 관련된 구름신(雲神, 雲師)을 포함한 다양한 신중이 머무는 곳이며 하늘세계, 정토, 귀의처로서 상징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칠성바위, 와불, 원형다층석탑은 전통신앙인 칠성신앙의 상징물로 생각되며, 이에 따른 성신제례의 장소가 된다고 하겠다. 운주사는 전통신앙과 불교, 도교 등 다양한 종교가 결합되어 의례의식이 행해지는 성격의 사원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상징성이 운주사 사명에 함축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Because many different forms of stone Buddha and Stupa are placed in 'Unjusa', so it called temple of thousand Buddha and Stupa. But studies have not yet revealed when and who was established for what nature and purpose and meaning of temple name. ‘Unjusa’ is established in Koryu Dynasty in AD 10th and continued about 600 years and lost after Jeongyujaeran. Small temple was built in the early 19th century and a ruined temple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building was built at the current location in 20th century and it reached today.
    ‘Unjusa’ has been translated to ‘Cloud stay in temple’ and ‘Temple in cloud’ and it seems to have been called as the beginning to lost after Joengyujaeran. Early in the 20th century, temple was built again in current location and used ‘Unjusa’ name with diffrent Chinese character which is reflected in Dosun’s Haengju theory. In nineteen eighties, ‘Unjusawaeuncheonjo’ letter roof tile founded in excavation investigation and it changed to ‘Unjusa’ again.
    Keyword of name 'Unjusa' temple is cloud. Name of 'Unjusa' temple and thousand Buddha and Stupa were considered to be implied symbol of cloud. Meaning of thousand Buddha and Stupa is a lot of stone Buddha and Stupa like clouds. Each stone seems has meaning of various godness like sky which is Symbolism of sky, Buddha, taoist hermit, whaumsinjang, king, Buddha monk, ascetic and so on. 'Unjusa' which is symbol of cloud and staying many gods is symbol of cloud, place of sky which is many god stay and god mountain. It presumed to be in Giyang temple character which is combined religious ceremony which is tradition belief, Buddhism, Taoism. Especially Stone Buddha and Shrine, the Great Bear stone, lie Buddha and a seven-soried cylindrical stone Stupa which are main stone in 'Unjusa' are considered that symbol icon of the Great Bear religion which is our traditional fai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