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금강산 권역의 사찰 현황과 불교사적 의미 (The Current Status of Buddhist Temples in the Modern Mt. Geumgang Area and Their Meaning of Buddhist Histor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2.12
32P 미리보기
근대 금강산 권역의 사찰 현황과 불교사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75호 / 109 ~ 140페이지
    · 저자명 : 김성연

    초록

    이 글은 근대 금강산 사찰들의 수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유람록과 각종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그 현황을 정리한 것이다. 먼저 조선 후기의 관찬지리지에는 대략 30개소 정도의 사찰이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양반 사대부들의 유람록을 보면, 100개 이상의 사암(寺庵)이 금강산에 존재했다고 한다. 이러한 차이는 일정한 규모와 전통성을 지니고 유지·관리되었던 사암과 단지 수행을 위한 기도처 정도의 암자들로 시기에 따라 존폐를 거듭했던 정황들이 합쳐져 각기 찬술 목적에 따라 다르게 반영된 까닭이다.
    근대 금강산 사찰의 현황은 19세기 말과 일제강점기의 두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9세기 말은 두 편의 금강산 유람록을 바탕으로 했는데, 두 기록에서도 금강산의 사찰은 대략 30개소 정도가 유지되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존 사암들의 존폐 정황과 승려에 대한 인식 등이 서술되어 있어 금강산 불교의 변화상을 유추하는데 도움이 된다. 일제강점기에는 금강산 사찰들의 본산인 유점사가 발행한 자료들과 교단 중앙에서 발간한 자료에서 보이는 사찰 통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들 자료에서는 대략 35~39개 정도의 사찰이 유지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역사성, 전통성을 간직한 금강산의 사찰들은 일제강점기에 관광지로 개발되면서 근대성의 표상이자 민족 정체성을 지닌 곳으로 변화하였다. 일제의 간섭과 통치 속에서 민족적 자립과 자각을 요구하는 민족성 고취의 대상으로 인식되기도 했던 것이다. 그리고 남과 북으로 분단된 오늘날에는 통일의 물고를 틀 중요한 매개 역할이 되기도 한다. 이미 금강산 관광이 시도되면서 남과 북의 협력으로 신계사가 복원되기도 했다. 남과 북의 정치적 문제와는 별도로 역사와 전통을 공유하고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금강산 사찰에 불교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ummarizes the information based on travel records and various statistical data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buddhist temples in the modern Geumgang Mountain area. According to the official geography bo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 can see that there were about 30 buddhist temples. However, it is said that there were more than 100 temples in the travel records written by the aristocrats.
    This difference is because the number of temples was recogn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publication, the government data recorded temples with a large size and tradition, and the travel records of the aristocrats recorded all small hermitages.
    In this article, the current status of temples in the modern Geumgang Mountain area was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colonial period. The current situatio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as examined through two travel record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about 30 temples. In addition, the travel records described the images of temples and monks, which helped to examine the changes in Buddhism in the Mt. Geumgang area. Yujeomsa Temple, which was the headquarters of temples in the Mt. Geumgang a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published various data to report to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we can grasp the current status of the temples through it. These data indicate that about 35 to 39 temples were located in the Mt. Geumgang area.
    The historical and traditional temples of Mt. Geumgang became a symbol of modernity as they were developed as a tourist destin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On the other hand, Mt. Geumgang was recognized as a place to represent the independence and identity of the nation in the intervention and rule of Japan. Today,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Korea, the temples of Mt. Geumgang can serve as the key to reunification. Singyesa Temple in Mt. Geumgang has already been restored through cooperation of both sides. Both South and North Korea share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Mt. Geumgang. Therefore, the temples of Mt. Geumgang have Buddhis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they can lead to future-oriented cooperation for reunification of both sid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