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미 대둔사(大芚寺)의 근대기 불화(佛畵) 연구 (Study on Buddhist Paintings of the Early Modern Period at Daedun Temple in Gumi-Cit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2.03
25P 미리보기
구미 대둔사(大芚寺)의 근대기 불화(佛畵)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98호 / 115 ~ 139페이지
    · 저자명 : 신광희

    초록

    경상북도 구미시 대둔사(大芚寺)는 1920년에 <석가설법도>와 <십육나한도>, <치성광여래도>, <독성도>, <산신도>를 제작, 봉안했다. 이 불화들은 기존의 연구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작품군으로, 필자는 본고를 통해 그 양상과 의미를 조명해 보았다. 대둔사 불화들은 ‘선행 도상(圖像)의 변용’ 혹은 ‘추가’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양화법(西洋畵法)도 구사되어 있다. 발원 시주자로는 상궁(尙宮)과 풍양조씨(豐壤趙氏) 일가 등 세도가(勢道家)와 비구니 스님들이 참여했다. 제작 화사(畵師)는 총 4인인데, 그중에서도 특히 고산축연(古山竺衍)과 금명운제(錦溟運齊)가 주도적으로 그렸다. 화풍의 분석을 통해 볼 때, 축연이 <십육나한도>, <치성광여래도>, <산신도>를 주관했으며 운제는 <석가설법도>와 <독성도>를 주관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둔사의 불화 불사는 당시 이 절의 주지(住持)이자 화주(化主)였던 초암세복(草庵世復)이 이끌었다. 그는 화승으로서 활약이 컸던 인물이기도 한데, 그의 행적을 살펴본 결과, 기존에 그는 세도가들이 시주한 불화를 주로 제작했으며 축연 및 운제와도 화연(畵緣)이 깊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둔사 불화는 시주자의 모연(募緣)에서부터 불화의 제작에 이르기까지 모두 세복의 역할이 지대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을 종합해 볼 때, 1920년작 대둔사의 불화들은 당시 발원 시주자, 화사들의 동향과 제작 양상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작품군이라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Buddhist Paintings - including, Shakyamuni Preaching, The Sixteen Arhats of Engjinjeon Hall, Tejaprabha Buddha Preaching, Doksung, Solitary Saint, and Mountain Gods of Samsunggak Hall - were created in 1920 at Daedun Temple of Gumi-City, Kyungsangnamdo Province. They exhibit various characteristic stylistic features, such as the transformation and overlap of iconographies, addition and harmony of motifs, and realism through western painting style. Appreciated by the court ladies, Sanggung and Pungyang-jo Clan, and Buddhist nuns, the paintings were created by four monk artists. Among the painters, Chukyun (Kosandang) and Unje (Kummyungdang) were most prominent. Following analysis of the painting styles, it was determined that Chukyun painted the Sixteen Arhats, Tejaprabha Buddha Preaching, Sansin, the Mountain God and Unje painted Shakyamuni Preaching and Doksung, Solitary Saint. The Buddhist paintings of Daedun Temple were supervised by Sebok (Choamdang), the head of the temple and the overseer of this activity. Upon examining his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he produced Buddhist paintings commissioned by ruling classes, and that he had a deep relationship with Chukyun and Unje. The patrons and painters of the Daedunsa Buddhist paintings also confirmed that Sebok wa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ose who had previously interacted. The Buddhist paintings produced in 1920 in Daedun temple provide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the trends of patrons and painters at that time. In addition, iconography and style also provide important insight into the production aspects of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