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론학의 不二中道와 원효의 無二中道 고찰 (The study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iddle way as the non-duality in the study of the three treatises and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7.08
22P 미리보기
삼론학의 不二中道와 원효의 無二中道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50권 / 27 ~ 48페이지
    · 저자명 : 김영미

    초록

    삼론학에서의 不二中道와 원효의 無二中道 차이점을 고찰하겠다. 삼론학에서는 진제와 속제를 無有, 空有, 眞俗 등으로 표현한 후, 진제도 아니고 속제도 아님을 불이중도라고 한다. 초중이제는 有를 속제로 하고 空[無]을 진제로 하지만, 공에 집착할 경우 ‘非空非有’를 새로운 진제로 제시한다. 이 非空非有를 집착하면 有ㆍ空, 非空非有까지 모두 속제로 격하시킨다. 다시 ‘非空非有 非不空非不有’를 제3의 진제로서 제시하는데, 제3중이제의 진제에 집착할 경우에는 ‘有ㆍ空ㆍ非空非有’의 3구와 ‘非空非有ㆍ非不空非不有’의 1구를 모두 속제로 격하시킨다. 이 四句에 대한 부정으로 제4의 진제가 제시되는 것이 사중이제설이다. 결국 삼론학에서는 앞에서 眞으로 삼은 것을 俗으로 돌리고 또 다시 眞을 내세운다. 진제ㆍ속제ㆍ불이중도의 세단계가 무한반복 할 수 있는 ‘삼각형의 변증법적인 체계’를 보인다. 삼중이제설까지는 무한반복을 하지만, 사중이제설에서는 더 이상 반복을 하지 않으며 言亡慮絶로 끝을 삼는다. 그러나 원효의 무이중도처럼 다시 순환하는 논리체계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큰 차이점이 있다.
    『금강삼매경론』에서 원효는 속제를 일체세제법인 변계소집성으로, 진제를 시각의 원성실성으로, 속제중도는 의타기성으로, 진제중도는 본각의 원성실성으로, 속제중도와 진제중도가 둘이 없음을 무이중도라고 상정한다. 무이중도는 진제중도와 속제중도의 거래가 자유로운 ‘원과 같은 순환구조’를 보인다. 원효는 특이하게 속을 보내고 진을 드러내어 이제를 융합함을 보여, 억지로 버리는 부정이 아닌 자연스럽게 ‘긍정’으로 이끌어낸다. 무이중도는 원효의 깨달음 경지로 진제중도는 진여의 근본인 체상이고, 속제중도는 진여를 근본으로 한 작용이다. 원효는 초지 이상의 수행계위에 있으므로 선정과 교화가 둘이 아님을 무이중도로 상정한 것이다. 신삼론학에서 부분적으로 받아들인 약경이제설의 깨달음은 진제이고, 원효의 깨달음 경지는 진제중도이므로 경지의 깊이가 다르다. 여기에 원효는 진제중도와 속제중도가 둘이 없는 무이중도까지 상정한 것이다. 불이중도는 경지가 아닌 대법이고, 무이중도는 경지가 핵심이므로 큰 차이를 보인다. 대법으로 상정된 논리인 불이중도와의 뚜렷한 차이점을 보이는 무이중도는 진속의 이제와 중관ㆍ유식까지 총괄적으로 아우르는 원효의 독창적인 체계를 보인다.

    영어초록

    I’ll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iddle way as the non-duality in the study of the three treatises and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In the study of the three treatises, the absolute truth and the conventional truth are mentioned as non-being and being, emptiness and existence, truth and convention etc and the middle way of not being dualistic extreme is manifested as not being either the absolute truth or the conventional truth. In the one level of the twofold truth, being is the conventional truth and emptiness is the absolute truth. However, if you are attached to the emptiness, ‘neither emptiness nor existing’ is presented as the new kind of the absolute truth. If you are again attached to neither emptiness nor existing as principle law, everything, neither emptiness nor existing as well as existence and emptiness is downgraded to the conventional truth and the third absolute truth can be supposed as ‘neither emptiness nor existing, neither non-emptiness nor non-existing.’ If you are attached to the absolute truth of the three levels of the twofold truth, three phrases of ‘existing·emptiness·neither emptiness nor existing’ and a phrase of ‘neither emptiness nor existing, neither non-emptiness nor non-existing’ are illustrated as the fourth absolute truth. After all, the study of the three treatises applies the negative dialectic which turns the absolute into the conventional and repeats the cycle. The study embodies ‘the dialectical system of the triangle’ that limitlessly iterates the three stages of the absolute truth, the conventional truth and the middle way as the non-duality.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Wonhyo illustrated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as five stages by employing unique terms: the conventional truth is parikalpita-svabhāva, that is, all teaching of the conventional truth, the absolute truth is pariniṣpanna-svabhāva, that is, initial enlightenment,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conventional truth is paratantra-svabhāva,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is pariniṣpanna-svabhāva, that is, original enlightenment and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is the stage at which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conventional truth and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coexist. The system of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is using ‘the structure of circulation like a circle.’ Wonhyo peculiarly dispatched the conventional truth, revealed the absolute truth and melted the twofold truth, which made it possible to naturally derive the result of ‘affirmation’, not forcibly abandoning negation.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is Wonhyo’s stage of enlightenment stage.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is the ultimate substance, that is, the foundation of thusness and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ntional truth is the action that has the foundation of thusness. Since Wonhyo achieved the bodhisattva stages of practice beyond the ground of joy, he introduced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as the stage of enlightenment. Wonhyo wrote in his latter days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the middle way as the non-duality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and its system and foundation are original in Korea, which cover the twofold truth of the truth and convention, Madhyamaka, and Yogâcā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