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佛頂心陀羅尼經』의 간행과 판본 분석 (Publication of Sūtra of Great Dhāraṇī of the Uṣṇīṣa-cittā and Analysis of its Goryeo Edition)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3.08
54P 미리보기
고려시대 『佛頂心陀羅尼經』의 간행과 판본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59호 / 183 ~ 236페이지
    · 저자명 : 안휘섭

    초록

    불정심다라니경의 판본과 간행에 대하여 선행연구와 실물조사를 통하여 중국판본 및 한국의 기관 소장 자료들을 살펴본 결과 대체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불정심다라니경의 성립은 중국 당대에 이루어진 것으로 위경에 속하며 그 체제는 3권 1책이나 3권은 각각 그 서명이 수록내용에 따라 달리 표시되었다.
    둘째, 중국에서는 돈황, 서하, 투루판에서 발견된 한문본 및 서하문 자료 등이 있고 특히 요 나라, 금 나라 때에는 경당(經幢; 경전을 탑형식의 돌에 새긴 조형물)의 형식으로 11-12세기에 석각이 유행되었다.
    셋째, 한국에서는 12세기(1150년, 1156년, 1166년)의 다라니의 총지집(摠持集; 다라니를 종합적으로 모은 책) 형태 자료에서 ‘불정심진언(佛頂心眞言)’으로 주문(呪文)이 실담자로 수록되어 있다. 이 자료들은 해인사 비로자나불 불복장에서 나온 것이며 1156년, 1166년본은 47장의 구성으로 ‘존심(存心)’과 ‘언평(彦平)‘이 각기 새긴 다라니이다. 이 중 법수사 자화(法水寺 資華)가 발원한 범서총지집이 있으며 1150년의 판본은 옛 평양의 광제포(廣濟鋪)에서 사원(思遠)에 의해서 교정되고 발원하여 간행된 것이다.
    『고려사(高麗史)』 등의 기록에 전쟁 등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하고 천재지변, 재앙으로부터 나라의 안녕을 기원하는 불교 행사로서 불정심도량(佛頂心道場)이 13세기부터 자주 열렸다. 책의 형식상 3권의 형태는 주로 13세기 초반부터 나타나고 현존하는 자료는 대부분 수진본으로 휴대용이며 이는 당시 몽고와의 전쟁, 무신의 난 등 신변의 안전을 바라는 목적이라 볼 수 있고 이러한 배경에는 당시 밀교의 유행으로 민중들의 복을 기원하는 신앙이 반영된 것이다.
    넷째, 경전의 제목의 3권 각각 다르며 각 권에서의 그 표기 또한 시대별, 판본별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책의 구성은 상권이 관음보살이 석가모니불에 서원하면서 이 다라니의 공덕을 열거하고 있고, 중권은 이 경을 늘 몸에 지니고 외우고, 공양함으로서 얻어지는 공덕과 보호를 언급하였고, 하권에서는 4가지의 영험한 사례를 들어 이 다라니의 공덕을 수록하였다. 즉 이 다라니를 통하여 전생의 죄를 소멸시키고, 여자가 남자로 태어날 수 있으며, 병을 낫게 하고, 악을 물리치고, 여자 잉태하여 순산할 수 있으며, 산모를 보호하고, 극락왕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생의 어려움을 없애준다는 내용이다.
    다섯째, 이 다라니경은 3권본 뿐만 아니라 고려시대부터 낱장의 형태로 주문(呪文)만을 새겨 유통시켰으며 주로 조선 후기에 민간의 수요에 부응하여 각 사찰에서 판각하였다. 전 시대를 통하여 이 呪文의 표기는 한문음, 실담자, 한글음이 필요에 따라 선별적으로 기록되었고 그 표기의 양식도 合字, 倂記, 句節表示, 長短音, 聲調表示 등이 판본에 따라 다르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의 고려시대 『佛頂心陀羅尼經』의 성립과 간행, 시기별, 지역별 판본 등에 대하여 현존의 판본과 기록을 통하여 정리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Chinese edition and records of a Korean institu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actual examination of the Sūtra of Great Dhāraṇī of the Uṣṇīṣa-cittā. In conclusion, following points have been discovered.
    First, the Sūtra of Great Dhāraṇī of the Uṣṇīṣa-cittā is categorized as Wigyeong(僞經) as it was established during the Tang Dynasty and its structure follows three volumes and one edition; different signatures were marked according to content of each volume.
    Second, there are Chinese character editions and Seoha editions discovered in Dunhuang, Xia, and Turpan. In particular, Gyeongdang(經幢; a sculpture with engraved scripts in a tower-style stone) style was popular in the 11th and 12th centuries during the Liao Dynasty and Jin Dynasty.
    Third, in the 12th century (year of 1150, 1156, and 1166) of Korea, Jumun(呪文) of ‘Buljeongsimjineon(佛頂心眞言)’ in Dharani Chongjijip(摠持集; compiled edition of Dharanis) is listed in Siddam characters. These records were discovered in Vairocana Buddha statue in Haeinsa Temple and the editions of the year of 1156 and 1166 consist of in 47 chapters engraved by ‘Jonsim(存心)’ and Eonpyeong(彦平)’, respectively. Among these editions, there is Beomseo Chongjijip prayed by Jahwa(資華) of Bupsoo Temple(法水寺) and the edition in 1150 was corrected and published by Sawon(思遠) in Gwangjaepo(廣濟鋪), a place where old Pyeong was.
    According to 『History of Goryeo(高麗史)』, Buljeongsimdoryang(佛頂心道場) was held frequently as a Buddhist event to protect the country from war and natural disasters. Three volumes structure can be witnessed in the early 13th century and most of the existing books are designed with portability. It is suggested that these books were created to hope for safety from the war against Mongolia and the military coup. Such practice reflects the background of the time, when esoteric Buddhism was popular among public.
    Fourth,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re are small-sized books created based on the Goryeo editions to treat and prevent individuals’ disease, disasters, and bad luck. In 1485, the royal kingdom published a woodblock edition with a plaque based on the edition of Ming Dynasty of China for the well-being of the royal family and prosperity of the descendants. During this time, Eonhae edition was printed with Eulhae metal type. This edition was published until the 17th century with slight variations in a myraid of local temples. However, the style on Eonhae portion remained the same.
    Fifth, the titles of the three volumes of the scripture are different and the marks in each volume appear differently by periods and editions. The first volume lists the virtues of Dharani as Avalokitesvara Bodhisattva pledges to Sakyamuni Buddha; the second volume mentions the virtues and protection gained by memorizing and offering this scripture all the time; and the third volume includes Dharani’s virtues with four spiritual examples. In other words, it includes stories about people eliminating their sins from their previous lives, woman born as a man, healing diseases, defeating evil, getting pregnant, protecting mothers and living in paradise through Dharani.
    Sixth, this Dharani was engraved and distributed not only in three volumes but also in the form of a single sheet with Jumun(呪文) since the Goryeo Dynasty, and was mainly engraved at local temples in response to the demand of the private secto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the time goes by, Hanmuneum, Siddam character, and Hangeuleum were selectively applied to Jumun(呪文) as needed and its writing styl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Hapja(合字; combined characters), Byeonggi(倂記; write both Hangeul and Hanja character sounds in orderly manner), Gujeolpyosi(句節表示; read by character segments), Jangdaneum(句節表示), Seongjopyosi(聲調表示; high and low character sounds) varied by the editions.
    This study organized the 『Sūtra of Great Dhāraṇī of the Uṣṇīṣa-cittā(佛頂心陀羅尼經)』 by its establishment, publication, period, editions by regions based on the records and the existing edition of it.
    As this scripture was created and distributed as Wigyeong(僞經) in China, it is essential to compare and analyze its background and purpose with other Wigyeong. However, this study was only able to examine this Wigyeong with its edition.
    In a myriad of preceding studies, there have already been several studies on comparison and distribution of the edition in 1485 with Chinese editions with a focus on Panhwa(圖像). To conduct a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t can be acknowledged that textual bibliographic approach(校勘學的) of the main content in comparison with the words of Buddha(眞言), which this study was not able to cover thoroughly, and systematic bibliographic approach(體系書誌學的) in terms of edition examination, which this study focused on, must be combined to draw an all-inclusive understanding of this scripture.
    In the future, supplementary research on this subject and ideological influences such as esoteric religion on people will be required to complete this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