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日本 四國地域 朝鮮朝 前期 佛畵 調査 硏究 (A Study on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in Shikoku Area of Japa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08.06
33P 미리보기
日本 四國地域 朝鮮朝 前期 佛畵 調査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9호 / 57 ~ 89페이지
    · 저자명 : 정우택

    초록

    조선조 전기 불화는 불화연구의 필수적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거의 없으나 四國地域에는 22
    점이 전하고 있다. 四國地域불화는 여래, 지장보살도가 중심이며, 화풍상 寶珠寺의〈아미타팔대보살도〉
    처럼 傳統을 계승한 경우도 있으나 長壽院의〈석가설법도〉처럼 조선조 고유의 독자성을 지닌 불화가 대
    부분이다. 이러한 새로운 양식의 불화들은 17, 8세기로 계승되어 조선조 후기 도상의 범본이 되었다.
    四國地域불화는 發願者계층에 따라 작품의 화질은 물론 재료까지도 다르다는 점을 명확하게 인식시
    켜준다. 즉, 왕실관련 인물에 의하여 발원된 來迎寺〈아미타정토도〉는 바탕이 비단이고 묘선에 금을 사
    용하며 존상의 형상이 균형적이다. 이에 비하여 민간발원인 持福寺의〈지장시왕도〉는 바탕이 삼베이고
    묘선이 황토이며 신체표현에서 긴장감이 결여되었다. 또한 채색은 양자모두 二重彩色法을 사용하고 있
    으나 질감 등 완성도에서 차이가 뚜렷하다.
    四國地域조선조 전기 불화는 기록을 통하여 볼 때 대부분이 17세기에 일본에 유입되었으며, 수리 또
    는 元恩寺〈지장시왕도〉처럼 개채를 통하여 신앙의 대상으로 사용하였음도 추측 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지역 불화들은 눈 또는 의복의 특징적인 표현을 통하여 볼 때 원래 있던 장소가 전라 및 충청지역 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四國地域조선조 전기불화는 도상과 화풍에서 앞과 뒤시기를 연결하여 줄 뿐 만아니라 조
    선조 후기 불화의 특성을 밝히는 결정적 단서를 가진 중요한 연구대상임을 다시 일깨워 주었다.

    영어초록

    Buddhist paintings of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are essential for the diachronic study of
    Joseon Buddhist paintings. Unfortunately only a few are left in Korea but 22 paintings are found in
    Shikoku, Japan. These are mostly of Buddha and Ksitigarbha Bodhisattva. Whereas some of them, like
    The Painting of Amitabha with Eight Great Bodhisattvas in Hojuji, follow the stylistic tradition of the
    preceding periods, most of the others demonstrate the unique features of early Joseon Buddhist
    paintings, as shown in The Painting of Sakyamuni’s Sermon in Chojuin. This new style was
    succeeded by the later paintings during the 17th and the 18th centuries and became an iconographic
    model throughout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aintings in Shikoku clearly show that their quality, as well as painting materials, can show a
    wide vari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status of commissioners. For instance, The painting of
    Amitabha’s Pure Land of Raigoji, commissioned by a royalty, was painted on silk. In the work, lines
    were drawn in gold and each figure displays perfect proportions. On the other hand, The Painting of
    Kistigarbha and the ten-kings of hell in Jihukuji that was ordered by a private person was painted on
    hemp lines were pained in yellow earth and it generally lacks rigor and harmony in expression of
    figures’bodies. While the two paintings adopted the same double coloring method, they reveal a
    noticeable difference in texture and quality.
    Many records confirm that most of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Buddhist paintings in Shikoku came
    to Japan during the 17th century. Some of them seem to have been worshipped by local Buddhists
    after a repair or re-coloring, as in the case of the Painting of Kistigarbha and the ten-kings of hell in
    Ganojni. In addition, the unique features of eyes and garments of the figures in the paintings reveal
    that the paintings in Shikoku may have come from Jeolla and Chungcheong Provinces.
    In conclusio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Buddhist paintings in Shikoku take up an important
    position in study of Joseon Buddhist paintings as they hold important keys to identify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later paintings and bridge an iconographical and stylistic gap between the early
    and the later peri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