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머신러닝을 활용한 설문조사 불성실응답 판별 (False Responses Detection of Survey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0.06
9P 미리보기
머신러닝을 활용한 설문조사 불성실응답 판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22권 / 3호 / 1013 ~ 1021페이지
    · 저자명 : 권민수, 최승배, 강창완

    초록

    최근 많은 기업에서 적은 비용과 짧은 조사 기간으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조사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선호함에 따라 온라인 서베이 플랫폼 시장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조사의 단점인 낮은 데이터의 신뢰도는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실태이다. 본 연구에서의 목적은 인터넷 설문조사에서 불성실 응답자를 판별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보이기 위해 간단한 시뮬레이션과 실제 적용사례를 수행하여 머신러닝 기법 중 ANN 모형과 SVM 모형을 고려하여 불성실 응답자의 판별 예측력을 비교해 본다. 실제 적용사례에서는 불성실 응답자를 판별할 수 있는 변수로서 응답소요시간, 응답시간, 성별, 연령, PC, Mobile, 부정응답횟수를 고려하였고, 본 연구에서 적용된 데이터는 부산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10대 이상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데이터이다. 분석결과, 간단한 시뮬레이션에서는 ANN 모형과 SVM 모형은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제 적용사례에서는 참값을 모르기 때문에 예측력 측면에서 어느 모형이 좋고 나쁨을 논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차선책으로 두 모형의 결과와 주관식의 내용을 고려하여 판단했을 때, 테스트 데이터에서 SVM 모형이 ANN 모형보다 예측력의 측면에서 우수함을 보였다.

    영어초록

    As an increasing number of businesses prefer services that enable them to conduct surveys on a reasonable and effective basis at lower costs and over a shorter period of time, online survey platform markets are growing. However, data reliability, one of the shortfalls in online survey, is yet to be addre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methods to identify unreliable respondents in online survey. In order to demonstrate the possible application of the method presented herein, we will run simple simulation and look into actual cases of application. And then we will compare judgement predictability by considering two machine learning methods: ANN model and SVM model. For the variant in identifying unreliable respondents, we took into account time taken to respond, responding time, gender, age, PC, mobile, and the number of false answers in the actual applications. The data applied in this study is the survey data on residents in their teens or older in Busan. The analysis found that the simple simulation did not demonstrate special difference between ANn model and SVM model. However, it is early to determine which model is better in terms of predictability since true values are unknown in actual application. Therefore, after considering the results from the two methods and the contents of subjective questions as an alternative, SVM model was better at predicting than ANN mod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