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유사의 고구려 불교사 서술과 그 한계 (Some problems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Goguryeo Buddhism in Samgukyusa)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8.06
44P 미리보기
삼국유사의 고구려 불교사 서술과 그 한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30호 / 5 ~ 48페이지
    · 저자명 : 정호섭

    초록

    고구려의 불교사와 관련하여 삼국유사 편찬자들의 관심은 주로 중국으로부터 불교전래에 있어서의 고구려의 선구적 역할과 고구려 멸망기 도교에 반대하고 이후 신라와 백제의 불교발전에도 기여하였던 보덕을 주로 주목한 것 같다. 또한 아육왕과 관련하여 신라뿐만 아니라 고구려도 불교와 깊은 인연이 오래되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들과 함께 신라 불교에 대한 지나친 중시는 삼국유사 속에 그려진 고구려 불교사를 살펴볼 때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다.
    고구려의 불교사와 관련하여 삼국유사의 기록은 너무나 소략한 편이다. 삼국유사에는 고구려 불교를 한 단계 발전시킨 것으로 여겨지는 義淵 등 많은 고구려 승려들에 대한 내용도 수록되지 못하였다. 때문에 고구려 불교사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살피지도 못한 한계가 있다. 국내외 고승전류에서 확인되는 이들 승려들에 대해 삼국유사 찬자들은 삼국 불교 다시 말하면 해동 불교의 전개와 발전과는 상관없는 존재들로 인식한 듯하다. 그러나 많은 고구려의 승려들이 중국, 일본, 신라, 백제 등에서 활동한 내용들이 여러 문헌에도 확인되는데, 이들은 동아시아 불교 발전에 참여하고 일정부분 공헌하기도 하였다. 한국 고대에 있어서도 이주는 매우 보편적인 것이었고, 구법이나 전법을 위해 동아시아 속에서 활동한 많은 승려들의 모습도 찾아진다. 또한 고구려 불교사와 관련한 여러 승려들이 여러 고승전 등에 수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 불교의 흐름 속에서 함께했던 고구려 불교사의 틀 속에서 설명되지 못한 한계도 가지고 있다. 고구려는 중국과 근접한 지리적인 이점으로 당시 유행하던 새로운 사상적 조류가 곧바로 전해졌고, 다양한 계통의 사람들이 이주하여 다종족 국가를 이루면서 성장하였다. 때문에 고구려 불교도 동아시아 불교로서의 보편성을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보편성은 중국에서 활동하였던 다수의 고구려 승려들의 전기가 고승전을 비롯한 여러 문헌에 수록되도록 한 힘이었다. 향후 고구려 불교사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아울러 고구려 불교가 가지는 동아시아에서의 위상을 좀 더 명확하게 구명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authors of Samgukyusa had mainly focused on Monk Bodeuk when they edited the history of Goguryeo Buddhism section. Monk Bodeuk played a critical role in introducing Buddhism to Goguryeo from China and its popularization, and subsequently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Silla and Baekje Buddhism, while hampering the spread of Taoism. In addition, the link of Goguryeo to King Asoka was highly emphasized as well as that of Silla. Overemphasis on the Buddhism of Silla appeared to have constrained them to document Goguryeo Buddhism in Samgukyusa. Articles on the Buddhism of Goguryeo are oversimplified. Samgukyusa lacks records of many Buddhist monks including Monk Euiyeon, who transformed practices of Goguryeo Buddhism. The authors of Samgukyusa dismissed many Goguryeo monks recorded in other Korean and foreign document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authors did not regard them as significant figures, who were crucial to development of Haedongbulgyo(Buddhism of the East of the Sea). However, deeds of many Goguryeo Buddhists, who worked in China, Japan, Silla and Baekje, are recorded in various historical documents. It is certain that they played an active role in development of East Asian Buddhism and contributed to its spread. Migration was very common in ancient Korea. Many monks, who were engaged with salvation and missionary works across East Asia, are acknowledged. In addition, Buddhist monks, who were closely related to the Goguryeo Buddhism in various ancient documents, were not appropriately documented or fully appreciated under the frame of the movement of East Asian Buddhism.
    New ideologies, popular at that time, were directly introduced to Goguryeo due to its geographic location being close to China. Goguryeo had developed into a multi-ethnic country formed by heterogenous groups of people with various ethnic origins. The fact that Goguryeo had the universality as East Asian Buddhism, became the background for publishing various Goguryeo Monks’ biographies in various documents. In future, it is required to review systematically Samgukyusa exhibiting the fragments of Guguryeo Buddhism, various historical records, and material data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Goguryeo Buddhism as well as to distinguish its place and status in East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