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장 안적사 석조석가여래삼존불좌상 연구 (A Study on the Stone Seated Sakyumuni Buddha Triad Statues of Anjeoksa Temple in Gijang Province)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2.08
41P 미리보기
기장 안적사 석조석가여래삼존불좌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 수록지 정보 : 항도부산 / 44호 / 217 ~ 257페이지
    · 저자명 : 이희정

    초록

    안적사(安寂寺)는 범어사의 수사찰로, 기장군 장산의 북쪽 연봉 앵림산(鶯林山)에 위치해 있다. 의상대사 창건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존하는 대부분의 유물은 임진왜란 이후 조성된 것들이다. 그중에서도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조석가여래삼존상(이하 안적사 상)은 17세기에 제작된 상임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도 근대기 작품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를 통해 1654년 조각승 나흠이 만든 것임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근대기 불상으로 추정하게 된 것은 1919년에 완호와 시찬에 의해 행해진 수리로 인한 것임을 밝힐 수 있었다.
    안적사 상의 원작자인 나흠은 조선후기 17세기 최고(最古)의 불석제 불상인 양산 원효암 석조약사여래좌상을 조성했는데 원래 통도사에 봉안되었던 상이다. 지금까지 이 상 이외에 그의 다른 제작 사례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안적사 상이 나흠의 작품임을 확인하게 된 것은 본 연구의 성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런 과정을 통해 통도사와 안적사 상 이외에 범어사 나한전 석조석가여래삼존상이 나흠이 조성한 불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상은 안적사 상과 대동소이한 조각적 특징으로 1919년 수리 이전 안적사 상의 원형을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무엇보다 본 연구에서 17세기 후반 대표적인 석조조각승인 승호(勝浩)와 경옥(敬玉)라 한다면 17세기 전반의 대표적인 석조조각승은 나흠(懶欽) 그리고 동시기에 활동한 영이(靈賾)였음을 밝힐 수 있었다는 점도 주요한 내용이다.

    영어초록

    Anjeoksa Temple, a branch temple of Beomosa Temple, is located at Aengrim mountain which belongs to northern mountain range of Jangsan mountain in Gijang province. In 661(1st year of Munmoo King), prominent buddhist monks, Weonhyo and Yisang found a group of nightingales blocking their way when they arrived near Jangsan during their religious training. Recognizing auspicious atmosphere nearby, they decided to build underground cave and started to practice religion. Current Anjeok Temple is same place where they built underground cave. Even though, there are no remains of that time, buddhist statue is still preserved in Daewoong-jeon after Korea-Japan War in 1492.
    Until quite recently, this statue was known to have been built in modern times, however, this research showed that sctupture monk named Naheum made the statue in 1654. This fallacy regarding the time of sculpture resulted from the repair work executed by sculpture monk Wanho and Shichan in 1919. The two sculpture monks mainly having worked around Gyeongsang Province, sculptured and painted many statues and buddhist painting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aster pieces is breaking typical style and reflecting the outcomes of their own personal religious training and experiences based on tradition. The original sculptor Naheum also made the sitting stone Buddha at Weonhyo-am in Yangsan City which is the oldest stone Buddha statue made of zeolite stone .Even though there has been no other statue found made by Naheum, it is quite meaningful that the staute at Anjeok Temple is made by Naheum through this study. Furthermore, by the comparison of two stone statues at Anjeok Temple and Weonhyoam, we can find out that the statue in Nahan-jeon at Beomeosa was made by Naheum and also confirmed the original shape of the statue in Anjeok Tem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항도부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