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명희 『혼불』의 서사 구조 특성과 하이퍼텍스트성 (A Study on Narrative Link Structures at Honbul and Hypertextualit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5.09
25P 미리보기
최명희 『혼불』의 서사 구조 특성과 하이퍼텍스트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62호 / 249 ~ 273페이지
    · 저자명 : 윤영옥

    초록

    『혼불』은 서사단위들의 연결이 분기와 회귀, 혹은 분기를 중첩하다가 회귀하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결구조는 삽입되는 서사단위, 즉 관련된 일화나 구체적인 사례, 혹은 특정 대상에 대한 정보나 지식이 주요 이야기선에서 일탈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혼불』에서 삽입되는 서사의 부분들이 주요 이야기선에서 일탈하는 것은 서사가 인물들이나 사건과 직접적인 연결에서 멀어지는 탈신체화를 발생시킨다. 탈신체화는 동일성의 원리가 적용되는 비유(은유나 알레고리 등)의 성향과 순수지식정보특성을 갖는다. 전자의 경우에는 인물이나 사건의 전개과정에 대하여 독자에게 일정한 메시지를 반복·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인물이나 사건과 직접적인 연계성이 느슨해져서 텍스트의 파편화를 발생시키고, 서사의 진행을 느리게 하며, 서사의 응집력을 떨어뜨린다. 독자가 서사의 주요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식 정보를 건너 뛰어 읽는다든가(생략), 아니면 지식 정보가 제공되기 이전으로 피드백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주요 이야기선과 파편화된 서사 단위를 따로 분리하고 파편화된 단위들을 동일성에 의한 은유적 연결이나 일정한 사건에 대한 참조 기능으로서 환유적 연결이 모두 가능하다. 즉 파편화된 서사단위들은 분기와 연결, 즉 절합(articulation)이 더욱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야기는 비선형적인 구조로 전개되며, 독자는 서사의 마디를 다양한 연결(linking)을 통해 선택적으로 읽는 역동적 읽기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조는 잠재적으로 전자 매체의 연결 시스템과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다. 이른바 하이퍼텍스트성을 부분적으로 갖게 되는 것이다. 유사한 일화들의 연결과 특정 지식정보의 제공은 소설텍스트를 다른 문화텍스트로 전환하거나 확장할 수 있도록 하여, 『혼불』의 서사텍스트를 텍스트 내부와 외부로 분리·접합이 가능하도록 해줄 것이다.
    즉 『혼불』의 분열적 구조는 새로운 전자매체에 적응하는 문자서사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혼불』은 인쇄된 서사물이면서 전자 매체의 잠재성을 지닌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connectivity pattern of narrative units in Honbul have structures as ‘branching off―return’, or ‘branching upon branching―return’. The narrative units inserted in connecting structures had deviated occasionally from main storylines.
    Under similar conditions, such deviations generated disembodiment of narrative units. These were shown through figurative expressions by the principles of sameness, or as units to provide knowledges and informations.
    In these cases, relations of connectivity between narrative units and characters or events decreased. In particular, the more superposition of branchings for presenting knowledges and informations, the less its’ connectivity. As a result, it brought about fragmentation of texts and weakened cohesiveness of the narratives.
    When the stories were developed, fragmented narrative units freely made branching, linking and articulation. The story unfolded by nonlinear structures, and the reader could read the texts selectively through varied linking ways of narrative units.
    These linking structures of Honbul had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those of electronic media. Because they were in written texts, its’ hypertextualities were partial and latent. Honbul is not only a printing text but has potential as an electronic tex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