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불교사의 호국 사례와 호국불교 인식 ("Buddhism's Guarding the Country"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and the Korean People's Perception of such 'Buddhist Role in Protecting and Saving the Countr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2.06
31P 미리보기
한국불교사의 호국 사례와 호국불교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각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각사상 / 17호 / 43 ~ 73페이지
    · 저자명 : 김용태

    초록

    본고에서는 한국불교사에 나타난 호국의 사례와 호국불교 인식을 신라, 고려와 조선전기, 조선후기로 나누어 살펴보고, 각각의 특성을 시대성의 발현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먼저 신라의 호국사례는 고대적 호국신앙의 발양이라는 측면에서 불국토와 호국사찰, 호국법회와 의례, 호국신앙으로 유형화하여 해당 사료를 검토하였다. 다음 고려는 불교국가로서의 특성을 전제로 승려의 전쟁 참여, 불교의례의 국가적 설행, 호국신앙과 불교의 습합, 국난 극복을 위한 기원과 대장경 조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전기의 경우에는 불교를 비롯한 전통적 호국신앙 및 관념의 지속과 변화를 사례를 들어 설명하였다. 조선후기는 임진왜란의 승군 활동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는데, 유교사회의 시대성에 부합하는 충의의 실천을 통해 불교가 존립할 수 있었음을 살펴보았다. 호국불교라는 개념은 식민지 전시체제, 해방 후 국가민족주의의 고양이라는 근현대의 상황 속에서 대두한 것이지만, 한국불교사의 전개과정에서 호국불교의 전통은 오랜 기간 지속되어 왔다. 다만 각각의 시대적 함의와 특징이 다르므로 시대성에 입각한 차별화된 이해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cases in which Buddhist people or values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security of the country, or in which Buddhism was deemed crucial in protecting or saving it. Also examined are the people's views of the “Buddhist role” in the issue of defending the country, which slightly differed from time period to time period, as from Shilla to Goryeo, or from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period to the latter. All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seem to have been reflecting the aspects of all the respective time periods.
    First, regarding the Shilla dynasty period, in which an ancient form of a religious philosophy (with Buddhist colors and tone) to 'save-the-country' emerged for the first time, relevant sources are examined to reveal three important aspects: A) The "Buddhist Land" concept and all the Buddhist temples which were designated as crucial monasteries for their roles in saving the country, B) Buddhist Ceremonial gatherings and ritual codes related to the Saving-the-Country philosophy, and no other than C) the Saving-the-Country religion.
    Next, regarding the period of Goryeo, which was a Buddhist country, many aspects including the Buddhist monks' participation in the war efforts, the dynastic Buddhist rituals and events that were overseen by the state and the government, the merging of Buddhism and the Save-the-Country religion, and the people's hope for overcoming dynastic crises through the creation of Grand Collections of Buddhist Sutras, are all examined.
    Then regarding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dynasty, examined are both the continuation as well as changes that happened to not only Buddhist traditions but also ‘Saving-the-country’ sentiments, while the Buddhist army members' fight against the Japanese troops during the war in the 1590s is examined for the Joseon's latter half. It seems that Buddhism was able to survive the Joseon period by prioritizing the values of the era, which were loyalty and justice.
    The concept of “Guarding-the-Country Buddhism” was created during the modern period, in the wartime mobilization phase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also during the promotion of state-generated Nationalism throughout the country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Yet the Buddhist tradition of contributing to the safety and welfare of the society had always been an important part of the Korean Buddhist history. Surely, the actual meaning and characteristics they had changed by the passage of time, so an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Buddhism and the part it played in service of the country, would only be possible by taking that point into accou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각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