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畵僧 色敏과 그의 佛畵 (Monk Painter Saekmin and His Buddhist Painting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07.12
23P 미리보기
畵僧 色敏과 그의 佛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29호 / 127 ~ 149페이지
    · 저자명 : 김창균

    초록

    화승 ‘색민’은 ‘穎案’과 ‘義謙’의 제자로서 전라남도 곡성 도림사 신덕암 명부전의「地藏十王圖(1741년)」를 시작으로 장성 백양사 극락전의「阿彌陀後佛圖(1775년)」에 이르기까지 약 34년간에 걸쳐 首畵員 및 동참화원으로서 본격적인 활동을 해왔음은 물론, 불상의 조성과 개금(鍍金)도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불화 및 불상조성과 개금에 이르기까지 폭 넓은 활동력을 보인 ‘색민’은 세 개의 法名과 堂號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 변화를 알아본 결과 ‘色敏’은 1740년대에 사용하고, ‘色旻’은 1750년대와 1760년대에 사용되었으며 ‘嗇旻’은 1757년과 1775년에 걸쳐 쓰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당호 역시 세 가지로 ‘白月堂’ ‘白月大師’ ‘白月大宗師’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법명 앞에 붙여지는 소임(직책)은 ‘良工’ ‘畵工’ ‘金魚’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활동시기는 ‘영안’과 ‘의겸’을 수화원으로 모시던 1740년대와 수화원을 맡아 조성을 주도한 1750-60년대, 장성 백양사 극락보전의「아미타후불도」를 중심으로 한 1770년대 등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740년대를 20대로 본다면 1750-60년대는 30-40대의 왕성한 활동기로, 그리고 1770년대는 그만의 세계를 형성하는 50대의 만년기로 설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확인된 ‘색민’의 작품은 모두 6건 21점이며 주제별로 분류해보면 掛佛畵 3점, 後佛畵 2점, 七星圖 1점, 地藏十王圖 및 地藏菩薩圖 2점, 十王圖 및 使者圖 12점, 現王圖 1점 등으로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群圖形式과 다르게 제자상의 숫자가 줄어들고, 등장인물들을 생략하여 간략화 되는 등 구도상의 새로운 특징을 보인다. 인물의 형태는 턱이 갸름한 둥근 형태에 뺨이 도톰한 긴 얼굴에 높은 코와 작은 입을 하여 달라짐을 볼 수 있다. 색채 또한 적색․녹색과 흰색(粉)을 많이 가미한 청색이 주를 이루는 경우와 밝고 명랑한 적색․녹색․청색을 채용한 경우, 그리고 거의 대부분에 걸쳐 다홍빛의 적색과 연녹색 위주에 채도를 낮춘 청색을 제한적으로 사용한 경우 등 세 가지 흐름을 보여준다. 특히 백양사「아미타후불도」를 통하여 화면의 구성 및 인물의 형태, 색채 등 모든 면에서 완숙미를 잘 보여주고 있어 그의 만년기 작품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화승 ‘색민’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초년기인 1740년대는 ‘영안’과 ‘의겸’의 영향이 강하고, 중년기인 1750년대 이후부터 1770년대인 만년기까지는 그의 본격적인 화풍을 보여주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이 외에도 화승 ‘색민’은 불상조성과 개금에도 역할을 맡음으로써 彫刻僧으로서의 위치 또한 밝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전하는 자료가 충분치 못하고 그의 내력이 명확하지 않아 활동시기를 분명하게 밝히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고 하겠다. ‘색민’에 대한 연구는 추후 자료의 발굴과 문헌자료가 보완된 이후 보다 본격적으로 진행토록 하고, 다만 앞으로의 연구 진행에 작은 디딤돌이나마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영어초록

    Monk painter “Saekmin(色敏)” learned from “Yeongan(穎案)” and “Euigyeom(義謙),” and as the chief court painter and an associate court painter he drew Buddhist painting for around 34 years from the Ksitigarbha Boddhisattva painting (地藏十王圖, 1741) in the Myeongbu Hall at Sindeok‐am of the Dorim‐sa Temple in Gokseong, Jollanam‐do to the Amitabhamain platform painting (阿彌陀後佛圖, 1775) in the Amitabha Hall at the Baekyang‐sa Temple in Jangseong. He also led the erection and gold mending of Buddhist statues. “Saekmin,” who was involved in broad artistic activities from the creation of Buddhist paintings and statues to gold mending, used three Dharma names(法名) and pseudonyms(堂號). That is, “Saekmin(色敏)” was used in the 1740s, “Saekmin(色旻)” in the 1950s and 1960s, and “Saekmin(嗇旻)” in 1757 and 1775. He also used pseudonyms “Baekwoldang(白月堂),” “Baekwoldaesa(白月大師)” and “Baekwoldaejongsa(白月大宗師)” interchangeably, and the titles used in front of the Dharma name were various including “Yanggong(良工),” “Hwagong(畵工)” and “Geumeo(金魚).” On the other hand, the time of his activit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1740s under “Yeongan” and “Euigyeom” as the chief court painter; the 1750s‐1760s acting as the chief court painter; and the 1770s when he drew the Amitabhamain platform painting in the Amitabha Hall of the Baekyang‐sa Temple in Jangseong. Assuming that he was in his 20s in the 1740s, the period of the 1750s‐1760 is considered his golden days, and the period of the 1770s would be his later years.
    Until now, 21 works in 6 places have been identified as his works, and they are categorized by theme into 3 banner Buddhist paintings(掛佛畵), 2 Buddhist platform paintings(後佛畵), 1 Big Dipper painting(七星圖), 2 Ksitigarbha Ten-Kings and Ksitigarbha Boddhisattva paintings(地藏十王圖 및 地藏菩薩圖), 12 Ten-Kings and Messenger paintings(十王圖 및 使者圖) and 1 Hyeonwang painting(現王圖). Different from the typical style of group paintings(群圖形式) in the Chosun Dynasty, his paintings show new characteristics such as a reduced number of disciples and simplified character images. Figures drawn in his paintings had a slim and round chin, a long face with chubby checks, a high nose and small mouth. His use of colors shows three tendencies: red, green and blue mixed with white (powder); bright and light red, green and blue; and crimson red and light green along with the limited use of blue of low chroma. In particular, the Amitabha platform painting at the Baekyang‐sa Temple shows mature beauty in all aspects including composition, the form of figures and color, suggesting his artistic tendency in his later yea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monk painter “Saekmin” as presented above, his artistic style was strongly influenced by “Yeongan” and “Euigyeom” during the early period in the 1740s, and his own style was observed from the 1750s in his middle years of his life to the 1770s in his later years. Besides, we found his position as a monk sculptor who played a role in the creation and gold mending Buddhist statues. Nevertheless, this study had a limitation in clarifying the specific time of his activities due to lack of extant records about him. I hope that further research on “Saekmin” may be continued as additional materials become available and this study may be used as a stepping stone for future research on hi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