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불복장의 특징과 형성배경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Backgrounds of Sacred Objects Stored in Buddhist Images of the Goryeo Perio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5.06
28P 미리보기
고려시대 불복장의 특징과 형성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86권 / 286호 / 31 ~ 58페이지
    · 저자명 : 정은우

    초록

    불복장은 불상의 몸 안에 들어 있는 물건이라는 뜻으로 고려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고려시대의 문헌 기록인 李奎報(1168~1241)의 「洛山觀音腹藏修補文幷頌」, 閔漬(1248~1326) 「國淸寺金堂主佛釋迦如來舍利靈異記」, 權近(1352~1409)의 「釋王寺堂主毗盧遮那左右補處文殊普賢腹藏」 그리고 남아 있는 작품을 통해 입증된다. 위의기록에는 腹藏이라는 명칭은 물론 腹藏物目과 그 의미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려시대의 사람들이 불상의 장엄함과 더불어 그 안에 복장물을 넣는 의식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복장물을 넣음으로서 얻어지는 공덕과 영험에 대한 인식을 가졌던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복장물 납입이 유행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그동안 고려시대의 불상에서 나온 복장물 사례는 약 10여건 정도 확인된다. 그 중 1346년 제작된 서산 문수사 금동아미타불상에서 나온 <彌陀腹藏入物色記>에는 복장물목이 자세하게 적혀 있으며 이는 고려시대의 불상에서 나온 물목과도 정확하게 합치되는 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최근 개봉된 통영 안정사 금동여래좌상을 통해 복장물이 불상에 안립된 순서라든지 복장물목 그리고 오방색과 방위 등이 정확하게 확인된 바 있다. 이는 이미 개봉된 다른 불상의 복장물과도 공통점을 보이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데, 즉 이러한 전통이 고려시대에 이미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불복장의 시원은 통일신라시대부터 이어진 탑 사리장엄구에서 나온 물목들과 유사성을 보이는 점에서 탑 사리장엄구에서 발전했을 가능성이 크며, 사찰에서 행해졌던 도량 의식과도 결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도량의식을 베풀면서 의식과 물목에 대해 매우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佛說陀羅尼集經』 12品, 「佛說諸佛大陀羅尼都會道場印品」에 나오는 도량의식과 유사성을 보이는 점이 주목된다. 특히 복장물의 핵심인 五寶甁이라든지 발원문의 축원순서, 시주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점 까지 비슷한데 이는 경전에 대한 이해 속에서 복장물이 성립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복장물은 도량을 청정하게 하는 결계의식에서 시작하여 이를 주도한 아사리에 의한 주문과염송, 장엄한 의식 속에서 영적인 종교적 신앙물로 부처의 몸 속에 안립된다. 불상 또한 복장물의 안립과 그 의식을 통해 비로소 생명력을 지니게 되는 것으로, 복장물은 그 시대의 불교 사상과 신앙은 물론 의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Bulbokjang (佛腹藏) refers to sacred objects stored inside Buddhist images. This tradition is known to have originated in the Goryeo dynasty. This practice is verified in a number of sources of the Goryeo dynasty: the Naksan gwaneum bokjang subomun byeongsong (洛山觀音腹藏修補文幷頌, Record and praise for repairing an Avalokiteśhvara at Naksansa by re-stocking objects inside it) by Yi Gyubo (李奎報, 1168-1241), the Gukcheongsa geumdang jubul seokgayeorae sari youngigi (國淸寺金堂主佛釋迦如來 舍利靈異記, Record on the numinous relics of the Śākyamuni Buddha in the golden hall of Gukcheongsa) by Min Ji (閔漬, 1248-1326), and the Seogwangsa dangju birojana jwaubocheo munsu bohyeon bokjang (釋王寺堂主毗盧遮那左右補處文殊普賢腹藏; Storing objects inside the Buddha Vairocana and the bodhisattvas Mañjuśrī and Samantabhadra of Seogwangsa) by Gwon Geun (權近, 1352-1409). The objects enshrined in Buddhist statues and their significance we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 sources. It suggests that the Goryeo people considered the magnificence of the Buddha statues as well as the rite of placing objects inside the statues as being highly important. They believed the act of inserting objects inside the Buddhas would accrue virtuous deeds and produce miracles.
    Approximately ten sets of sacred objects have been so far discovered in Buddhist statues of the Goryeo period. Among them, a gilt-bronze seated Amitābha Buddha made in 1346 at Munsusa in Seosan, yielded a record titled Mita bokjang immulsaekgi (彌陀腹藏入物色記, Record of the list of objects stored in the Amitābha Buddha), which describes in detail objects inside in the Buddha and exactly conforms to the objects found inside other Goryeo-period Buddhas. Also, a gilt-bronze seated Buddha at Anjeongsa in Tongyeong, which was recently examined, confirms the order of the installation of sacred objects inside the Buddha statute, a list of the objects, the colors of the five directions (center, north, south, east, and west), and a direction. This is significant in that these objects share common characteristics with those from other Buddhas previously studied. In other words. This show that the tradition of including sacred objects inside the Buddha’s body had been well-established in the Goryeo dynasty.
    The practice of installing sacred objects inside Buddhist statues probably originated from the adaptation of a magnificent container preserving the relics of the Buddha in a pagoda, since such articles display similar features of those from relinquaries of pagodas dating back to the Unified Silla period. There is also a high possibility that the articles were combined with the rite of Bodhi-mandala (a sacred place where the manda [essence] of enlightenment is present and practiced) performed at a Buddhist temple. The account of the chapter All Buddhas’ Great Dhāraṇīs and Objects to Be Used for the Rite of Bodhimandala(佛說諸佛大陀羅尼都會道場印品) of the Tuoluonijijing (陀羅尼集經), elaborates on the rite of Bodhi-mandala and the list of objects to be used for it, highlighting that the ritual and the objects show similar characteristics-in particular, including the emphasis on the five treasure bottles that are the most important objects retained in the body of the Buddha,directions for the order of reciting the written prayer, and the importance of a donor, or the act of a person who makes offerings to a Buddhist monk or a temple. Thi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act of placing sacred objects inside the Buddha wa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Buddhist scriptures.
    Sacred objects as spiritual and religious articles are enshrined inside the Buddha sculpture in a solemn rite where an ācārya (teacher) recites a mantra and sutra, where the ritual begins with drawing a boundary (to eradicate obstacles to the practice of the Buddhist way) to clean the sacred place for attaining enlightenment. While the placement and separation of sacred objects inside the statue through a ritual bring vitality to the Buddha, the sacred objects included inside the statue are materials of importance in studying the ritual as well as Buddhist fai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