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혼불>의 敍事原理와 民間信仰 (The theory of narrative and the folk belief in Honbu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09.10
34P 미리보기
&lt;혼불&gt;의 敍事原理와 民間信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28호 / 97 ~ 130페이지
    · 저자명 : 박대복, 이영월, 이영월

    초록

    최명희의 <혼불>은 매안 마을의 이씨 가문을 중심으로 한 고리배미․거멍굴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로, 민간신앙의 체현을 거듭 일깨우는 전통적인 한국인의 정서를 함유한 장편소설이다.
    본고는 <혼불>의 내재적 서사원리를 도출할 수 있는 근거로 작품 전체의 서사와 유기적 관계를 지니는 민간신앙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혼례청의 실타래’, ‘혼불과 吸月精’, ‘조개바위’의 세 모티프가 그것이다. 이 세 모티프는 전통적인 삶의 정신세계와 관련된 징후와 암시 그리고 계시 등의 형태로써 서사 전개의 중심축을 형성, 작품 전체를 이끌어가는 원천으로 파악되었다.
    혼례청의 실타래는 효원과 강모의 불행한 혼인을 예조하며, ‘혼불’과 ‘흡월정’은 청암부인에게서 효원으로 이어지는 실질적 가계계승을 암시한다. 또한 ‘조개바위’는 청암부인을 포함한 매안 이씨 가문의 흥망과 유기적 관계를 지니는 <혼불>의 서사원리가 된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혼불>의 서사원리는 고유의 민간신앙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그 연원은 대표적인 고전 대하장편소설인 <명주보월빙>에서도 찾을 수 있다는 것도 아울러 고찰하였다.
    <혼불>은 민족 고유의 서사전통과 사유세계를 현대소설에 형상화한 탁월한 작품이라 명명할 수 있다.

    영어초록

    Honbul, by Myung-Hee Choi, is deemd as a novel which enlightens repeated embodiment of folk belief and contains feelings of traditional Koreans. It gives a picture of lives of Lee's mainly in Goribaemi Geomeong-Gul, Mae-an Village.
    This report focuses on the folk belief which is closelylinked with the theory of narrative throughout the whole story. Such folk belief is deemed as evidence which could derive the theory of narrative which is immanent in 'HonBul'.
    Specifically, they are 'thread of Wedding agency', 'Honbul and Heupweoljeong' and 'Shell Rock'. These three motives seem to be important factors leading whole story as central part of development of story in a forms of signs, hints and apocalypse of human's internal mind.
    The thread of Wedding agency suggests unhappy marriage between Hyo-won and Kang-mo and 'Honbul' and 'Heupweoljeong' suggest inheritance of family which is linked from Madam Cheong-am to Hyo-won. Moreover, 'Shell Rock' implies a connection between rise and fall of Lee's, origin of Maean and the theory of narrative in Honbul. Such thory of narrative of is based on the folk belief and the origin of the same would be found in classic Myungjubowolbing as well.
    Honbul deserves to be named as outstanding work which illustrates Korean traditional narrative in modern no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