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전반佛畵의새로운동향과畵僧의입지: 서울安養庵의佛畵를중심으로 (New Buddhist Painting Trends of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Changing Status of Buddhist monk Painters: The Case of Paintings in the Collection of Anyangam)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0.06
31P 미리보기
20세기전반佛畵의새로운동향과畵僧의입지: 서울安養庵의佛畵를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66권 / 266호 / 189 ~ 219페이지
    · 저자명 : 최엽

    초록

    20세기 전반은 대한제국기에서 일제강점기로 이어지는 격변의 시기로 전통과 새로운 문화가 혼재되어 나타나는 시기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해 이전 시대와는 다른 새로운 경향의 불화들이 제작되기 시작한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 동대문 밖 安養庵의 불화들을 중심으로 20세기 전반 불화의 특징과 불화의 제작자인 畵僧들의 입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19세기 말 서울·경기 지역 佛事의 주된 시주층은 왕실 세력이었다. 반면, 20세기 들어 약화된 왕실 세력을 대신해 민간 세력들이불사를 후원하였는데, 안양암은 민간이 주축이 되어 창건한 대표적인 사찰이다.
    안양암의 불화들은 대체로 창건 초기에는 19세기 말 수도권 지역에서 제작되었던 불화들에 의거해 제작되었으나, 1910년 이후 본격적으로 새로운 도상과 기법을 수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즉, 당시 民畵혹은 道釋人物畵의 도상을 수용하거나 현실감 있는 소재를 도입하는 등 쉽고 설명적인 도상으로 대중들의 공감을 얻는 결과를 가져왔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1920년대에는 19세기 말의초보적인 입체감의 표현에서 벗어나 보다 자연스런 질감과 입체감의 구현이 가능해지는데, 이처럼서양화풍의 능숙한 구사는 국내로 유입되는 서양문물의 접촉이 대중에게 확대되고, 해외로 시찰,혹은 관광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는 현상과도 일치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보수적이고 전통적 성격이 강한 종교화에서 새로운 도상과 기법을 추구하는 것은 결코 쉬운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전에 비해 다양한 불화들이 출현하게 되는 것은 20세기 초 본격적으로 승려들의 都城入城禁止法이 해제되면서 승려들의 전반적인 지위 향상이 이루어지는 것과도 연관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여건하에서 역량 있는 화승들은 당시 시대상황에 따른 다양한 외적 자극을 보다 자유롭게 불화에 반영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시도를 모색하였으며, 그 결과물들이 주목할 만한 성과를 가져왔음에 틀림없다. 近代期에 해당하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전반에이르는 시기의 불화의 양은 매우 압도적이며, 이는 동아시아에서는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다. 도상의 정통성 문제와 안료와 표현기법상의 질적 저하로 인해 근대 불화가 전반적으로 평가절하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보다 다양한 시각과 다양한 방법론으로 근대 불화의 가치를 재인식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early 20th century was a turbulent period of Korean history which saw the demise of the short-lived Great Korean Empire, followed by the start of colonial rule by Japan. A time ripe with profound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this period was characterized by the co-existence of tradition and new cultural elements brought from the outside world. Changes sweeping the Korean society of the early 20th century were not without consequences for Buddhist paintings.
    Buddhist paintings in styles previously unseen started to be produced around this time. This paper explores features characterizing early 20th-century Korean Buddhist paintings and changes occurring in the status of Buddhist monk painters, by examining paintings housed in Anyangam, a Buddhist hermitage located outside Dongdaemun of Seoul. Up until the late 19th century, main donors and sponsors for Buddhist temples based in Seoul and the Gyeonggi-do region were members of the royal house. Once into the 20th century, however, with the weakening of the royal house’s influence, Buddhist temples of this area relied increasingly on private donors for their upkeep. Anyangam is a typical example of such Buddhist temples founded through private sponsorship.
    Most paintings housed in Anyangam, dating from its early years, are paintings created in the capital area, during the later part of the 19th century. On the other hand, later paintings dating from 1910 and thereafter are works characterized by new iconographic contents and techniques which set them apart from those from previous eras. Paintings from this period, for instance,borrowed new iconographic elements from folk paintings and Taoist figure paintings or integrated familiar and more realistic images into traditional Buddhist iconography, resulting in a new, more accessible and explanatory iconographic program, having a broader public appeal. Meanwhile,starting from the early 1920s, Buddhist paintings of Anyangam became more natural in their expression of spatial depth, in a visible departure from their predecessors of the late 19th century where this skill was still at a rudimentary level, at the same time as showing a greater ability to translate the textures and feel of different materials. This improving mastery of techniques that are of Western origin is clearly not unrelated to the increasing contact with Western cultural elements seen in this period. More Koreans traveled abroad as well around this time.
    Given the steadfastly conservative tendency of religious paintings, innovative attempts such as introducing new iconographic elements and techniques must not have been easy. The fact that such bold changes were nevertheless implemented in Buddhist paintings from this period could be explained in part by the enhanced social status of Buddhist monks since the repeal of the law banning entry to the capital city for Buddhist monk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changing social perception of Buddhist monks, in turn, could have created an environment in which capable Buddhist monk painters could freely embrace various external stimuli and inspirations to transform and enrich Buddhist painting. These innovative attempts, besides, led to some remarkable accomplishments with high artistic merit. The decades betwee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were a period of prolific production as well. No other country in East Asia produced Buddhist paintings, during this period, in quantities. Korean Buddhist paintings from the turn of th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ies have, however, been long considered inferior to their predecessors, precisely on the account of their unorthodox iconography and the untraditional pigments and techniques used in their creation. This, however, seems a rather rigid and reductive way of judging an entire period in Buddhist painting. The new approaches fashioned in this period deserve to be re-examined under a new light and their significance has to be re-asse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