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세불의 형식과 개념 변화 (The Study on the change of the Forms and Conceptions of Samsebul(Three Buddha)of Joseon Dynas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08.06
28P 미리보기
삼세불의 형식과 개념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9호 / 91 ~ 118페이지
    · 저자명 : 이용윤

    초록

    본 글은 조선시대 삼세불의 형식과 개념에 관한 연구이다. 삼세불은 삼불의 구성이 다양하여 그 범주
    와 개념을 규정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글에서는 석가불, 아미타불, 약사불의 삼세불 외에도 비로자나
    불을 주불로 하는 삼불, 그리고 근래에 주목받기 시작한 석가불, 아미타불, 미륵불로 구성된 삼불을 삼세
    불로 보고, 삼세불의 형식과 개념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석가불, 아미타불, 약사불의 삼세불은 조선 초기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조선 후기에는 삼세불의 전형
    으로 자리하였다. 조선 후기에 이 형식이 유행하게 된 배경에 대해 필자는『供養儀文』에 수록된「別祝上
    作法」에 주목해 보았다. 三殿下의 壽福을 삼세불에 연결하여 축원을 드리는 이 의식은 왕실이 사찰을 지
    속적으로 보호하고 후원하는 명분이 되었고 삼세불 신앙이 유행하는 배경이 되었다고 본다.
    비로자나불을 주불로 하는 삼세불은 좌우 여래에 따라 다시 비로자나불, 아미타불, 미륵불로 구성된
    삼세불과 비로자나불, 아미타불, 약사불로 구성된 삼세불로 나누어진다. 이 형식은 고려 말부터 조선 중
    기까지 제작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삼세불은 주불이 비로자나불인 관계로 삼신불 혹은 삼신삼세불로 해
    석하기도 하지만, 삼불상의 존명과 경천사지 10층석탑(1348년) 1층 탑신 현판,「 기림사 사적기」등에 의
    거해 삼세불임을 확인해 보았다.
    석가불, 아미타불, 미륵불의 삼세불은 고려 말부터 조선 중기까지 조성되었다. 이 형식의 가장 이른 예
    는 고려 말에 판각된〈금강반야바라밀다심경〉(1363년)의 변상도에서 찾을 수 있다. 변상도에서는 삼불을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적 삼세불로 설명하고 있다. 이밖에 학림사 보광전 삼세불 기록(1459년)에서는 삼
    불을 시간뿐만 아니라 사바세계(靈山), 극락세계, 용화세계로 서술하고 있다. 이 두 자료는 이 삼세불이
    시간과 공간을 함유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삼세불의 개념이 시간적 삼세불에서 공간적 삼세불로 전환하
    는 것이 아닌 단계적인 변화를 거쳤음을 보여준다.
    고려 말과 조선 초기에 등장하는 다양한 형식의 삼세불은 중국에서 연원하였다. 기존 학설에 따르면,
    삼세불은 크게 시간적 삼세불과 공간적 삼세불이란 개념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에 더하여 본 글에서는 석
    가불, 아미타불, 미륵불을 시공간을 함유한 삼세불로 새로 분류하고, 시간적 삼세불과 공간적 삼세불의
    도상과 개념 변화의 실마리를 중국 삼세불에 비로자나불(노사나불), 아미타불, 약사불이 등장하는 시기
    의 사상적 변화와 연결하였다. 시간적 삼세불에서 공간적 삼세불로의 변화는 매우 점진적으로 일어났으
    며, 그 변화에는 당시에 유행한 사상과 신앙이 크게 작용하였다. 필자는 그 변화를 이끌었던 원동력을 여
    래가 가진 多重的성격이라 보았다. 즉, 삼세불 중 성격이 모호하거나 점차 신봉되는 예가 적어진 여래는
    114
    새롭게 유행하는 유사한 성격을 가진 여래로 대체되고, 새로 등장한 여래는 다른 여래와 결합해 또 다른
    변화를 유도하면서 시간적 삼세불과 전혀 다른 공간적 삼세불로 변화되었다고 보았다.
    중국에서는 북제 이후 수, 당대를 거치면서 화엄사상, 정토신앙, 약사신앙이 성행하였다. 북제 말에 조
    성된 大住聖窟(589년)은 삼불 형식에 노사나불(이후 비로자나불)과 아미타불이 등장하는 가장 이른 예이
    다. 삼세불에 서방아미타불이 등장하면서 삼세불은 시간적 개념에서 벗어나 공간을 함유하게 되었다. 그
    리고 이 결합은 비로자나불(노사나불)과 일체를 이루는 시공간을 초월한 석가불을 매개로 이루어졌다.
    공간을 포괄하게 된 삼세불은 이후 약사신앙이 성행하면서 공간적 삼세불로 발전해 나간 것으로 생각된
    다.
    삼세불에 약사불이 포함된 것은 당대부터다. 당대에는『藥師琉璃光如來本願功德經』이 유통되면서 약
    사불이 널리 신앙되었다. 약사신앙의 유행으로 약사불은 아미타불과 함께 서방과 동방의 정토를 상징하
    는 존재로 인식되었다. 종밀이 저술한『圓覺經道場修證儀』는 당말 약사불과 아미타불이 삼세불로 정착
    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자료만으로는 원대에 공간적인 삼세불이 갑자기 성행하게 된 배경을 명료
    하게 설명 할 수 없다. 이에 관한 의문은 앞으로 많은 자료 발굴과 연구를 통해 규명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hat the various forms and conceptions of Samsebul(三世佛: means three buddhas in
    Kor.) of Joseon Dynasty(朝鮮, 1392-1897). The category of Samsebul is difficult to define for the
    various compositions. So in this study are three forms. First is the form of being composed of
    Sakyamuni(釋迦佛), Amitabha(阿彌陀佛) and Bhaisajyaguru(Medicine, 藥師佛) Buddha, and second
    is the form of having Vairocana(毘盧遮那佛) as a main buddha as being under continuously debated.
    Third is the lately-noticed form of having Sakyamuni, Amitabha and Maitreya(彌勒佛) Buddha.
    The form of Samsebul, are composed of Sakyamuni, Amitabha and Bhaisajyaguru Buddha, has
    been typed at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the early. About the fashioned-ground at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ByeolChukSangJakBeop(別祝上作法)’of 『GongYangUiMun(供養儀文)』that the
    present writer has focused on. This ritual is to pray for the longevity and happiness of three
    Honors(King, queen and prince) at Royal court as being connected to Samsebul. So there would be
    justification for the continuous protection and patronage of the Royal court and besides that’s why
    the faith of Samsebul was so fashionable at that time.
    Samsebul has Vairocana as a main Buddha has two types by the right and left buddha. One is
    Vairocana, Amitabha and Maitreya Buddha, the other is Vairocana, Amitabha and Bhaisajyaguru
    Buddha. This type has lasted from the end of Goryeo Dynasty(高麗, 918-1392) to the 17th century of
    Joseon. Because a main buddha is Vairocana, so this is accepted as Samsinbul(三身佛means three
    bodies of buddha in Kor.) or SamsinSamsebul(三身三世佛, means three bodies of buddha and three
    realms of buddhas in Kor.). But in this study make sure to check for being understand as ‘Samsebul’
    at that time through the record of the hanging board on the body of first story from the Ten-storied
    Pagoda of Gyeongcheonsa(敬天寺10層石塔) made at 1348 and the records about temple’s history
    from Girimsa(祇林寺).Samsebul has Sakyamuni, Amitabha and Maitreya Buddha has made from the
    end of Goryeo Dynasty to the 17th century of Joseon. At the painting of the Diamond Sutra(金剛經)
    made at 1363, make sure that these three buddhas has concerned Samsebul with time symbolizing the
    concept -past, present and future. Also on the record of Samsebul statues(made at 1459) from
    BoGwangJeon(寶光殿) of Hakrimsa(鶴林寺), three buddhas were described as Saba(娑婆, means
    Sakyamuni’s world in kor.), Guknak(極樂, means Amitabha’s world in kor.) and YongHwa(龍華,
    means Maitreya’s world in kor.). So the present writer was about to make this define ‘Samsebul with
    time-space’.
    As the above-mentioned, the various Samsebul shown up at the end of Goryeo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originated from China. According to the established-theories, the various these
    has two concepts, one is Samsebul with time and the other is with space. In this study made
    Samsebul consisting of Sakyamuni, Amitabha and Maitreya Buddha define Samsebul with time-space,
    and made to study the change of the icon and concept of ‘Samsebul with time’and ‘Samsebul with
    space’which been based on Sutra.
    In China, from Northern Ch’i Dynasty(北齊, 550-577) through Sui Dynasty(隋, 581-618) and T’ang
    Dynasty(唐, 618-907), the faith of Hwaeom(華嚴), Jeongto(淨土) and Medicine(藥師) have been in
    fashion steadily. D’azhushengqu(大住聖窟) which been made at 589 of the end of Northern Ch’i
    Dynasty is the most early example which shown up as Rocana(盧舍那佛, after this, Vairocana shows
    up instead) and Amitabha in the form of three buddhas. As Amitabha which has the western paradise
    has shown up on this Samsebul, finally Samsebul has contained additionally the concept ‘space’on
    himself to free from the concept ‘time’. This makeup have been composed by the medium of
    Sakyamuni rising above time and space and being in a body with Vairocana. Samsebul containing the
    concept ‘space’might have extended to the Samsebul with space by the fashion of Medicine faith
    after this.
    It is from the T’ang Dynasty of China that the period Samsebul has Bhaisajyaguru buddha. At then,
    Bhaisajyaguru was in faith by the fashion of Sutra of『 YakSaYouRiGwangYeoRaeBonWonGyeong(藥師
    琉璃光如來本願功德經)』. So because of this, Bhaisajyaguru has been regarded as symbolizing the
    eastern paradise with Amitabha of western paradise. At 『WonGakGyeongDoRyangSuJungIu(圓覺經道
    場修證儀)』by Jongmil(宗密) shows that Bhaisajyaguru and Amitabha come to makeup as Samsebul
    in the end of T’ang dynasty. But this article could not been explain any more to Samsebul with space
    was in fashion in Yuan Dynasty(元, 1271-1368) of China suddenly. The present writer expect that the
    doubts on this which is to be studied further from this time forward through many articles and studies.
    The change from ‘Samsebul with time’to ‘Samsebul with space’have been changed gradually.
    The fashioned concept and faith of the those days acted on such a change. The present writer was
    focus to study of the motivation which have leaded the change, so it is that the various characters of
    Buddha. In short, among Samsebul that the characteristics is unclear or less examples to be faithful
    have been alternative to new-fashioned familiar Buddha, new-shown up Buddha leaded an another
    change, has been changed to‘ Samsebul with space’which is different from‘ Samsebul with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