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잔의 정물화와 불일치 (Cézanne’s Still life and Inconsistenc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7.09
23P 미리보기
세잔의 정물화와 불일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86권 / 3호 / 421 ~ 443페이지
    · 저자명 : 최행준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세잔의 정물화를 불일치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논증에 성공한다면 세잔의 정물화는 첫째, 그림을 그리는 절대적 주체가 조작한 일치를 해체하고 둘째, 불일치를 통해 실체를 그리려는 시도라는 것이 드러날 것이다. 세잔의 수많은 작품, 말들 그리고 일화들은 인상주의 그리고 입체파와의 관계 속에서 선택적으로 선별되고 강조된다. 인상주의와의 관계 속에서 세잔은 변화하는 표면이 아니라 변치 않는 구조를 그리려 한 작가였고, 입체파와의 관계 속에서 세잔은 모든 대상을 구, 원기둥, 육면체, 원뿔로 환원하고 해체한 작가로 이해된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세잔을 설명하기에 충분한 말도 아니다. 나는 기존의 연구가 인상주의 또는 입체파와의 관계 속에서 세잔을 선택적으로 강조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세잔의 정물화를 불일치의 회화로 논증하기 위해 본 논문은 첫째, 몇 가지 간단한 시각 실험을 통해서 감각들의 차이를 살펴보고 세잔의 정물화에서 볼 수 있는 전통적 시각 방식의 해체를 합리적으로 서술할 것이다(Ⅱ장). 이를 통해 세잔이 왜 우에서 좌로 계단식으로 내려오는 테이블을 그릴 수밖에 없었는지, 왜 병이 수직이 아니라 기울어 서 있는지 설명될 것이다. 둘째 세잔이 사과 그림에서 발견한 색채와 명암 간의 불일치와 이 불일치를 무시하지 않는 방식으로 실체를 그리려는 시도를 서술할 것이다(Ⅲ장). 이를 통해 왜 세잔의 사과는 구가 아니라 원인지, 색채와 명암의 불일치 속에서 세잔이 얻은 것은 무엇인지 논증할 것이다. 셋째, 일치의 패러다임과 불일치의 패러다임의 대비 속에서 세잔의 시도가 갖는 함의를 논증할 것이다(Ⅳ장). 감각으로 매개되는 주체와 객체 관계에서 객체의 존재권리는 주체에 의해 강압적으로 통일된다. 그러나 세잔의 시도는 감각의 차이를 드러냄으로써 감각 자체와 존재 자체에 접근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감각 측면에서 감각 자료와 감각 기관의 상호작용 그리고 존재 측면에서 대상 존재와 화가 존재의 상호작용이 모두 존중된다. 이러한 존중의 결과는 불일치인데, 세잔은 이 불일치를 통해 실체에 접근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세잔의 정물화에서 객체의 다층적인 권리주장은 주체에 의해 강압적으로 통일되지 않고, 주체도 하나의 존재로서 권리를 상실하지 않는다. 나는 세잔의 정물화가 개별자의 권리가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인류 정신사의 흐름 속에서 이를 시각적 화면으로 그려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Cézanne’s still life as a concept of inconsistency. If I succeed in the argument, Cezanne still life will be revealed as follows: First, deconstruction of consistency which absolute subject who draws picture manipulates. Second, attempting to draw reality through discrepancies. Cézanne's numerous works, speeches and anecdotes are selectively screened and emphasized in relation to Impressionism and Cubism. In relation to Impressionism, Cézanne was an artist who paints not an altered surface but an unchanging structure. In relation to Cubism, Cézanne is understood as a artist who reduced and dismantled all objects into spheres, cylinders, cubes and cones. It is not wrong, but it is not enough to explain Cezanne. I think that existing research is the result of selectively emphasizing Cézanne in relation to impressionism or cubism.
    In order to argue Cezanne's still life as a inconsistent painting,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difference of sensations through several simple visual experiments and rationally describes the dismantling of the traditional visual form seen in Cezanne still life. (Chapter Ⅱ) This will explain why Cézanne was forced to draw a cascading table from left to right and why the bottle is tilted rather than vertical. second, Cezanne will describe the inconsistency between color and shading found in apple paintings and attempts to draw reality in a way that does not ignore the discrepancy (Chapter III). This will explain why Cézanne's apples are not spheres but circles, and what Cézanne has gained in discrepancies in color and shading. Third, I will demonstrate the implications of Cézanne's attempts in paradigm of consistency and paradigm of inconsistency (Chapter Ⅳ).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that are mediated by sense, the existence right of object is forcibly unified by subject. However, Cézanne 's attempt seems to have approached the sense itself and the existence itself by revealing the difference of sensation. In terms of sense, both the interaction of sensory data and sensory organs, and in terms of being, both the interaction of being as object and being as artist are respected. The result of this respect is inconsistency. Cézanne seems to have attempted to approach reality through this inconsistency. In Cezanne's still life, the multi-layered claim of the object is not coerced by the subject, and the subject does not lose the right as a being. I think that Cezanne 's still life depicted this in a visual screen in the flow of human spirituality in which the individual' s rights are specifically revea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한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