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呑虛 宅成의 생애와 사상 - 한국불교사적 지위와 한국불학사적 위상 - (A Study on the Life and Philosophy of Tanheo Taekseong - Position and Status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2.08
39P 미리보기
呑虛 宅成의 생애와 사상 - 한국불교사적 지위와 한국불학사적 위상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63호 / 41 ~ 79페이지
    · 저자명 : 고영섭

    초록

    呑虛宅成(1913~1983)은 가야산의 退翁性徹(1912~1993)과 함께 지난 20세기 한국불교계의 대표적 지성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해인사를 무대로 포효한 퇴옹 성철이 법보종찰 ‘가야산의 호랑이’였다면, 월정사를 무대로 포효한 탄허 택성은 문수도량 ‘오대산의 사자’였다. 탄허는 敎를 주로 하면서도 禪을 소홀히 하지 않았으며, 성철은 禪을 주로 하면서도 敎를 소홀히 하지 않았다. 이들 두 사람은 동시대를 함께 호흡하면서 敎禪一致 혹은 禪敎兼學으로 언표되는 한국불교의 대표적 ‘인물’이 되었다. 그리고 이들이 살았던 20세기는 극도의 혼란기임에도 불구하고 한국불교계는 한국사회를 계도하는 주체로서의 존재감이 적지 않았다.
    탄허의 인재불사와 역경불사는 산악신앙이 면면이 이어 내려오는 오대산 자락에서 시작되고 마무리되었다. 때문에 그의 저작 속에는 백두대간을 타고 내려오는 오대산의 정기가 깊이 투영되어 있다. 통일신라 이래 오대 산문은 문수보살의 상주처라는 인식을 넘어서 최근에는 우리 사회의 여러 문제들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산문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것이 가능할 수 있었던 것은 스승 한암(漢巖重遠, 1876~1951)의 유지를 이은 탄허가 오대 산문을 새롭게 확립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곳에서 탄허는 오대산 수도원과 영은사 수도원의 운영을 통해 전통을 복원하고 인재를 양성하였다.
    그는 그 역할이 끝나자 역경불사를 통해 또 다른 전통을 복원하기 위해 앞으로 나아갔다. 생명체와 자연계의 관계에 대한 그의 깊은 통찰은 빼어난 선지와 섬세한 예지로 대중들의 삶을 허덕이지 않게 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그들의 허덕이는 삶에 획을 그어줌으로써 새로운 삶의 전기로 삼게 하고자 했다. 이것은 대중들에 대한 그의 자비심이자 보살행에 의해서 가능할 수 있었다. 탄허는 불·도·유 삼교의 소통을 위해 한평생을 진력하였다. 그 결과 그는 대한시대 이래 불교와 유교의 독존적인 회통자가 되었다. 동시에 불교와 도교의 소통자가 되었다. 탄허에게서 불교와 유교의 회통과 불교와 도교의 소통은 그가 불도유 삼교를 차별이 아닌 차이로서 보고자 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평소에 그는 유언과 무언의 분별을 뛰어넘어 본래의 자리를 강조하기 위해 화엄의 언어를 원용하였지만 그는 화엄가 이전에 선사였다. 그에게 화엄은 禪旨를 온전히 전할 수 있는 주요한 기제였다.
    탄허의 向上一路 선풍은 화엄의 십주-십행-십회향-십지-등각-묘각의 수행위와 맞물려 이론과 실천의 체계화 및 求道와 濟度의 구체성을 획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탄허는 의상 이래 지눌을 거쳐 이 땅에 전해져 오는 화엄선의 전통을 면면히 이어온 화엄선의 계승자였다. 그리고 불도유 삼교를 하나의 틀에서 이해하려고 한 탄허의 관점은 삼교 중 불교의 覺을 최상위에 두고자한 性徹과 대비된다. 해서 불도유 삼교를 종합적으로 조감하고 그 차이를 드러내었던 탄허의 문명사적인 안목과 문화사적인 비전은 이 시대의 우리가 흡수해야 할 지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탄허는 한국불교사에서 통일신라시대 최치원의 包含三敎 이래 불도유 삼교를 통섭한 교육자이자 사상가였으며 한국불학사에서 화엄과 선법을 통섭한 화엄선의 수행자이자 선각자였다고 할 수 있다. 우리에게 보여준 탄허 택성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은 다문화 시대와 다종교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이 전통의 계승과 다문화의 포용이라는 과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시사를 주고 있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우리가 이 시대에 탄허를 다시 조명하는 이유 중의 하나일 것이다.

    영어초록

    With Toeong Seongcheol(退翁性徹, 1912~1993), Tanheo Taekseong(呑虛宅成, 1913~1983) has been known as the representative intellectual of Korean Buddhism world in the last 20th century. If Toeong Seongcheol was ancestral temple of Dharma-treasure ‘Gayasan Tiger' around Haeinsa, Tanheo Taekseong roaring around Woljeongsa was a place of enlightenment of Manjusri ‘Odaesan Lion'. Tanheo concentrated on doctrine but did not disregard seon and Seongcheol concentrated on seon but did not disregard doctrine. While coexisting in the same age, two people became the representative people of Korean Buddhism that is mentioned as harmonization of doctrine and seon or combined learning of doctrin and seon. And the 20th century when two people lived was the age of extreme chaos but Korean Buddhism showed the perseverance to lead Korean society.
    Tanheo's Buddha's affairs of a man of talent and Buddha's affairs to translate scripture was begun and completed in the skirt of Odaesan where mountain faith are succeeded. Therefore, the spirit of Odaesan coming from Baekdu-Daegan is contained in his book. Beyond the recognition that Odae mountain school has been the residence place of Manjusri since the age of Unified Silla, recently, the mountain school has been reborn as the school to participate in various problems of Korean society. It was possible because Tanheo who kept the desire of his master Hanam Chungwon(漢巖重遠, 1876~1951) established Odae mountain school newly. Here, Tanheo restored tradition and nurtured talented people by running abbeys in Odaesan and Yeongeunsa.
    After his role, he went forward to restore another tradition through Buddha's affairs to translate scripture. His insight about life and nature enabled people to escape from hard life with outstanding foresight and detailed precognition. By drawing a stroke in their hard lives, he enabled them to have an opportunity to live a new life. It was possible because he had mercy toward people and good conduct. Tanheo devoted himself to the communication among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As a result, he has been an unique communicator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since the age of Daehan. In addition, he has been an communicator between Buddhism and Taoism. When it comes to Tanheo, the communication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or between Buddhism and Taoism was available because he tried to find change rather than discrimination among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He usually quoted the language of Huayan to emphasize with original position beyond the discrimination between speaking and silence and he was a seon master before he became Huayan scholar. For him, Huayan was an important material to deliver dhyana.
    It can be said that Tanheo's one road of elevation(向上一路) seon trend was harmonized with ten abidings-ten practices-ten to turn towards-ten stages-absolute universal enlightenment-wonderful enlightenment of Huayan to acquire the system of theory and practice and the concreteness of seek after truth and salvation. Tanheo was the successor of Huayan seon that has been succeeded from Uisang and Jinul. Tanheo's viewpoint to understand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in one framework is contrasted to Seongcheol's viewpoint to located Buddhism in the top rank. Therefore, Tanheo's civilization eye and cultural vision to see three religions generally and show the difference are the wisdoms that we have to learn.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Tanheo was educator and philosopher who integrated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after combination of three teacings of Choi Chi-Won in the age of Unified Silla and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learning, he was learner and pioneer of Huayan seon who learned Huayan and seon. Tanheo Taekseong's life and thinking way that was shown to us enabled us to know how to solve the issue to succeed tradition and embrace multi-cultures in the age of multi-cultures and multi-religions. It is the reason that we focus on Tanheo again in this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