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蔚山의 磨崖佛 硏究 (A Study on the Rock-carved Buddha in Uls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0.06
22P 미리보기
蔚山의 磨崖佛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53호 / 29 ~ 50페이지
    · 저자명 : 이승희

    초록

    울산은 『삼국유사』탑상편에 실린 ‘皇龍寺丈六尊像’,의 기록을 통해 불교 전래 초기부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음이 잘 알려져 있다. 이에 비해 울산에 남아있는 삼국시대 불상은 거의 없으며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역시 그렇게 많은 편은 아니다. 마애불 역시 어물동 마애약사여래삼존상과 불당골에 있는 마애여래입상 두 구 뿐이다.
    어물동 마애약사여래삼존상은 마모는 심하지만 전반적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약사상으로 장육상의 거대한 크기, 그 사례가 없는 해와 달이 분명하게 조각된 일광과 월광보살상의 도상적 특징이 확실한 유일한 불상인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제작시기는 분명하게 밝히기 어렵지만 양감있는 신체의 형상과 얼굴이 다소 크게 조각된 점 그리고 수인과 약사삼존상의 자세 등 전체적인 형상에서 통일신라시대 9세기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불당골 마애여래입상은 불당골 서쪽 자연암석에 부조로 양각된 마애불이다. 야외에 그대로 노출된 노천불로 자연 풍화에 의한 표면의 마모와 박락이 전체적으로 매우 심하게 진행된 상태지만 동그랗게 솟은 육계의 표현과 당당함이 강조된 어깨, 잘록한 허리 등의 특징에서 통일신라시대 8세기 늦어도 9세기 초를 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울산은 불교 전래 초기부터 대외 무역항으로서, 경주를 방어하는 군사적 요충지로서 매우 중요했던 지역이었으며 경주에서 해외로 진출하기 위한 외항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불교 신앙 역시 성행하고 많은 사찰이 조성되었지만 현존하는 초기 사찰은 없다. 현존하는 사지는 통일신라시대의 간월사지와 영축사지로서 울산의 전성기 불교문화를 대변한다. 그러나 울산이 지닌 중요성에 비해 남아있는 불교유적과 유물은 극히 적은 편이며, 특히 마애불은 어물동과 불당골의 두 구 뿐이다. 이는 울산이 갖는 지형적인 조건 때문으로 판단되는 점에서 두 구의 마애불은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Ulsan is known to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from the early days of KoreanBuddhism, according to the records of Samguk yusa(Memorabilia of the ThreeKingdoms). On the other hand, few Buddha statues from the Three KingdomsPeriod remain in Ulsan, including two rock-carved images—the Rock-carved Triadof Bhaiṣajyaguru(藥師佛) in Eomul-dong and the Standing Rock-carved Buddha inBuldang-gol.
    Although the Seated Rock-carved Buddha in Eomul-dong is severely worn, it isimportant for being an engraved Bhaiṣajyaguru of the Unified Silla Period with the largezhang liu size(丈六像). Further, it is the only rock-carved image that has unparallelediconography of Sūryaprabha(日光菩薩) and Candraprabha(月光菩薩) with clearly carvedsun and moon above the crowns. The period is estimated to be the 9th century of theUnified Silla according to the overall shape, including the voluminous body, the largeface, the mudrā, and the posture of the Bhaiṣajyaguru triad.
    The Standing Rock-carved Buddha in Buldang-gol is carved into relief on the naturalrock of the west side of Buldanggol. The image is exposed to the open air, whichcaused the severely attrited and exfoliated surface. However, the expressions of domelikeushnisha, imposing shoulders and slim waist suggest the period to be the 8thcentury or at least the 9th century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Ulsan was an essential area from the early days of Korean Buddhism, which resultedin numerous temples built. However,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the area, Buddhistrelics—especially rock-carved images—are rare to find currently. The significance of thetwo remaining rock-carved statues rises he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