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신불일원의 보신불적 해석의 모색 (An Interpretation of Dharmakāya Buddha and Il-Won from the View of Sambhogakāya Buddh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08.02
28P 미리보기
법신불일원의 보신불적 해석의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38호 / 28 ~ 55페이지
    · 저자명 : 정순일

    초록

    신앙의 대상에 대한 호칭은 소태산의 생애 내내 변화를 거듭해 왔다. 원래 그의 신앙관은 결코 이법신앙에 머무는 것이 아닌 신앙감과 귀의감이 충분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말년에 형성된 법신불신앙은 그러한 경향에서 멀어질 우려가 없지 않았다. 더구나 소태산의 사후 정비된 『원불교교전』에서 신앙의 대상에 대한 명칭을‘법신불사은’으로 정함으로써 그러한 요소들은 더욱 제한되는 경향으로 흐를 우려를 가지게 되었다.
    이를 원래의 소태산의 정신으로 돌아가고 원불교의 신앙적 아이덴티티를 다시 세워 본래의 법신불 단독의 호칭으로 돌아가며, 그에 대한 교학적 뒷받침으로써 보신불적 성격을 보완하면 철학성과 신앙성을 함께 아우르며 절대성과 상대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호칭으로 정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것은 불타 사후 형성된 삼신불신앙 중에서 보신불의 사유를 염두에 두고 원불교의 법신불일원을 고찰하면 우주만유의 본원으로써의 향하문과 일체중생의 본성으로써의 향상문을 조화시킬 수 있는 양면성을 다 갖추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신불은 향상문적 성격으로 보면 우리 각자의 서원에 따라 저 불과에 이르는 수행의 길이다. 그 길은 제불조사 범부중생의 본성이므로 가능하며 원불교에서는 수행문에 해당한다. 또한 향하문적 성격으로 보면 무한한 자비의 품으로 한없는 은혜를 발현하여 감싸고 호렴하여 저 부처님 품에 안김에 참회하고 감사하는 길이다. 이 길은 우주만유의 본원이므로 가능하며 원불교에서는 신앙문이다. 보신불의 대명사인 아미타불이 무한한 수명과 지혜를 지녀 ‘법칙’으로 우주를 전개하고, 무한한 빛과 덕상을 지녀 ‘은혜’로써 우주를 생성 화육하는 것과 대비시킬 수 있다.

    영어초록

    The name of faith on object has been changing during the life of Sot'aesan. His view of faith was originally not only confined at principle and law, but sufficient of faith and devotion. However, the faith of Dharmakāya Buddha which was established at later day of his life was afraid to be apart from his original view. Moreover, in the Scriptures of Won-Buddhism compiled after the death of Sot'aesan, settlement of the name of faith as 'Dharmakāya Buddha and the Fourfold Grace(法身佛四恩)' remains apprehension for those elements might be limited.
    It seems to be able to newly settle the name which includes the philosophy and the faith, and satisfies the absolute and the relative, by reverting to the sole name of 'Dharmakāya Buddha (法身佛)' and supplementing the character of Sambhogakāya Buddha for its theoretic support, which is returning to original spirit of Sot'aesan, reestablishing the religious identity of Won-Buddhism.
    Considering the idea of Sambhogakāya Buddha in Tri-kāya Buddha faith established after the nirvāna of Buddha, Dharmakāya Buddha and Il-Won of Won-Buddhism can be interpreted as it contains harmonious aspects of both, the upward gate, the original nature of universe and the downward gate, the original character of living being.
    The upward gate character of Sambhogakāya Buddha is the way of practice to reach buddhahood according to our own vows. The way is possible to practice for original character of all Buddhas, masters and sentient living beings, and is applied to the Gateway of Practice in Won-Buddhism. Its downward gate character is the way to penitence and gratitude for being embraced in bosom of Buddha who revealing, covering and protecting the innumerous graces by the heart with endless compassion. This way is the original nature of universe, and is applied to the Gateway of Faith. It can be compared to Amitaba Buddha, a representation of Sambhogakāya Buddha, who develops the universe with 'law' for having endless life and wisdom, and generates and creates the universe with 'grace' for having innumerous light and virt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