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양회화에서 ‘불사지사(不似之似)’의 형신(形神) 의미 고찰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Hyungshin(embodied gods, 形神) of Bulsajisa(不似之似)’ in the Oriental Painting)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6.06
23P 미리보기
동양회화에서 ‘불사지사(不似之似)’의 형신(形神) 의미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미술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 8권 / 8호 / 77 ~ 99페이지
    · 저자명 : 김순섭

    초록

    동양 회화예술은 고대부터 근대까지 ‘객관 속의 현상’과 ‘대상의 본질’을 진실 되게 드러내고자 한 상보적 관계의 예술이다. 왜냐하면 서양회화의 형상은 실물을 그대로 드러낸 재현의 예술이라면 동아시아 회화는 재현예술이라도 그렇게 된 원리, 조짐인 형이상학적인 ‘도(道)’, ‘기(氣)’, ‘신(神)’ 등 철학과 미학 개념이 함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기, 신 은 동양철학에서 유가, 주역, 노・장자 등 다양한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나 대체적으로 형이상학적 의미인 ‘무형(無形)’의 산물이다. 그것이 무형의 산물이기 때문에 형을 빌려서 표현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동양회화는 겉으로 드러난 형식보다 그 형식을 있게 하는 근원적인 본질을 중요시 하였다. 그러나 또 형을 벗어나 대상의 본질을 표현할 수 없는 문제이기도 하다. 나아가 대상의 신에서 사람의 정신성에 초점을 둔 ‘불사지사(不似之似)’ 표현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동양에서 형과 신의 관념은 사람이 자신을 인식하고자 한 기본 관념에서 출발한 것이다. 형과 신은 선진시대의 철학에서 ‘혼백(魂魄)’과 ‘귀신(鬼神)’의 정도로 인식되었으나 위진남북조시대에 이르러 사람의 정신과 육체로 형성된 존재임을 가리키는 개념이 되었다. 특히 노・장자(老莊子) 철학이 이러한 문예사적 인식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노・장자 사상이 문인 사대부의 인생과 심미 관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시대가 지남에 따라 특히 노・장자 사상의 신, 도, 기 개념이 철학, 예술 분야에서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며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경향이 동양회화에서 고개지의 인물화론인 ‘전신(傳神)’과 사혁의 ‘기운(氣韻)’ 나아가 예찬의 불구형사(不求形似), 석도의 불사지사인 중신론(重神論)으로 표현되었다. 결론적으로. 동양 회화에서 대상 사물의 사실적 묘사보다 대상의 신에 중점을 두었고 나아가 화가 개인 정신적 표현을 중요시 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유들이 불사지사에 영향을 주어 시각의 자유로운 형상을 표현하는데 까지 발전한 것이다.

    영어초록

    East Asian painting art has been in complementary relation to truly realize the phenomenon of objectivity and the essence of the object since the ancient times tillthe modern times. While embodiment of western painting is the art of reproduction that reveals the object as it is, however East Asian painting contains the metaphysical philosophy of Do(道), Gui(氣), Spirit(神), such as the principle and sign and esthetic concept that was anticipated, nevertheless it is the reproduction art. Accordingly, Do, Gui, Shin, etc. could not but express by borrowing form with the intangible(無形) products. Such cause is the reason why god(神) was more highly regarded than shape(形), also, the matter that could not express god without shape. Furthermore, it was also the starting point of expressing Bulsajisa(不似之似: similarity that do not looks like) that focused on spirituality without emphasizing accuracy of shape.
    The idea of shape and god in the East Asia began from the basic concept that a human intended to cognize oneself. Among the philosophical history in the advanced era, shape and god were the point of discussion regarding soul(魂魄) and ghost(鬼神). However, embodied god came to be philosophically perceived as the formation of spirit and body of human during Wijin North and South Dynasties era. Particularly, it significantly influenced literary history due to the influence of Lao-tzu and Chuang-tzu.
    Chuang-tzu idea greatly influenced life and esthetic concept of literary person nobility directly, also, his concept of Shin, Do, Gui implies various meanings in philosophical art as time goes by. Based on this tendency, this research intended to aesthetically consider Jungshinron(重神論), Bulsajisa expression of Gu Kaizhi's figure painting theory and furthermore landscape theory which were expressed in the esthetics of pain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