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안(西安)출토 전불(塼佛)의 제작 배경과 그 의의 (Context and Significance of Moulding Brick Buddha(塼佛) Excavated from Xia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7.06
38P 미리보기
서안(西安)출토 전불(塼佛)의 제작 배경과 그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48호 / 273 ~ 310페이지
    · 저자명 : 肥田 路美 

    초록

    중국 서안 자은사의 대안탑을 중심으로 여러 사지에서 출토된 전불(塼佛)은 인도 불교미술 특히불상의 수용을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전불(塼佛)이라는 것은 점토를 거푸집(틀, 雌型)으로 모양을 떠서 만든 부조형태의 불상이다. 형태를 떠낸 후에 세부를 적당히 다듬은 다음, 햇볕에 말리고 나서 굽는 것이다. 그 중에는 금박(漆箔)이나 채색을 가한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초벌구이 상태이며, 햇볕에 말리기만 해서 완성한 것도 있다. 틀은 일반적으로 점토를 가마에 넣은 후 낮은 온도에서 구워서 만들며, 구리나 돌로 만든 한 것도있지만 기존의 전불을 모형으로 답습한 제작도 성행했다. 거푸집(笵型)과 흙만 있다면 특별한 기술이나 설비도 필요 없으며, 간단하게 같은 형태의 불상을 대량으로 만들 수 있는 점이 전불의 본질적인 특징이다.
    중국 내외의 여러 곳에 소장되어 있는 중국 전불의 대부분은 19 세기 중엽부터 20 세기 전반에 걸쳐 서안과 그 주변, 그 중에서도 대자은사(大慈恩寺)의 대안탑(大雁塔) 부근에서 출토된 것이라고 알려져 있고, 또한 1980 년대부터 시작된 발굴 조사에 의해 서안 시내의 서명사(西明寺), 청룡사(靑龍寺), 실제사(實際寺:溫國寺), 예천사(禮泉寺) 등의 당대(唐代) 절터에서도 다수의 전불이 출토되고있다.
    이들 중에 많은 수가 가로세로 10 ㎝ 정도의 자그마한 크기이며, 저렴한 재료를 이용한 대량 생산품인 탓인지 종래 중국의 학계는 낮은 관심을 보여왔다. 그러나 그 대부분이 7 세기 중엽부터 8 세기에 걸쳐 만들어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고, 초당시대 장안의 불교미술을 알려 주는 희귀한 자료일뿐만 아니라 작은 틀, 저렴한 가격, 다량, 동일한 형태라고 하는 전불 고유의 특성이 당시의 불교신앙이나 조상 활동의 한 국면을 해명하는데 유용한 수단이 되는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1985 년부터 관련 논문을 몇 편 발표한 바 있고, 최근 하기와라하지메(萩原哉)씨, 고토 무네토시(後藤宗俊)씨가 쓴 서안출토 전불의 의의를 둘러싼 논고도 암시하는 바가 크다. 그리고 중국에서도 근래에 들어 황영천 등의 몇몇 논고가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이 논문은 장안에서 성행한 전불 중에 가장 주요한 두 그룹인 「인도불상(印度佛像)」명 전불과 「대당선업(大唐善業)」명 전불을 중심으로 제작 배경과 도상의 유래에 대해서 좀 더 심도 있게 논의 한것이다.

    영어초록

    Moulding brick Buddha (塼佛) excavated in various temple sites around Dayanta(大雁塔)pagoda in Xian Ciensi(慈恩寺) temple in China is the most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theacceptance of Indian Buddhist art, especially Buddha Statue.
    Moulding brick Buddha is a relief‐shaped Buddha Statue made by a mold (雌型) with clay.
    After shaping it, it is trimmed in detail accordingly, then dry it in the sun and then bake it. Someof them are painted with lacquer or paint, but most of them are unglazed and some are finishedonly by drying in the sun. The cast is generally made by putting clay in a kiln and baking it at alow temperature. Even sometimes it was made of copper or stone, it was more popular to remakea cast by the squeeze of former existing moulding results. It is an essential characteristic of themoulding brick Buddha that it does not require any special skill or equipment if there are only amold and clay, and that the Buddha Statue can be mass‐produced in a simple manner.
    Most of Chinese moulding Buddha, which are possessed in China and other countries are saidto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 Xianand its surroundings, in particular Dayanta in Daciensi temple (大慈恩寺). In addition,excavations started in the 1980s, and a lot of moulding brick Buddha are excavated in temple sitessuch as Ximingsi temple(西明寺), Qinglongsi temple(靑龍寺), Shijisi temple(實際寺:溫國寺),Liquansi temple(禮泉寺) in Xian city.
    Many of them are small in size, about 10cm in width, and have been of low interest inacademia in the past because they are mass‐produced products using cheap materials. However,most of them are thought to have been made in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through the 8thcentury. And they are not only rare evidence that tell about the Buddhist art of early TangDynasty capital, but also unique features of moulding brick Buddha which are small frame, lowprice, large quantity, and same form, may be a useful means to explain one aspect of Buddhistbeliefs and ancestral activities at that time.
    In 1985, this author published several papers related to this issue. Recently, the writings about the significance of moulding brick Buddha excavated by Xian written by Hakiwara Hajime andKotou Munetoshi have a great meaning. In China, it is noted that there are some academic paperswritten by Hwang Yeong Cheon.
    This study focuses on the two major groups of moulding brick Buddha in the capital, named「India Buddha Statue(印度佛像)」 and 「Tang Seoneup(大唐善業)」, and has a more in‐depthdiscussion about production contexts and iconographic orig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