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허계(淸虛系) 내부의 교파(敎派)와 선파(禪派)분화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사명 유정(四溟 惟政)과 편양 언기(鞭羊 彦機)의 선교관(禪敎觀) 및 법통(法統) 인식 비교를 통하여- (A Critical Examination on the Concept of Gyopa and Seonpa Appearing within Cheongheo’s Disciple Group : Through Comparing the View of Seon-Gyo and the Perception of Dharma Lineage between Samyeong and)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3.12
29P 미리보기
청허계(淸虛系) 내부의 교파(敎派)와 선파(禪派)분화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사명 유정(四溟 惟政)과 편양 언기(鞭羊 彦機)의 선교관(禪敎觀) 및 법통(法統) 인식 비교를 통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66호 / 171 ~ 199페이지
    · 저자명 : 박진영, 서왕모

    초록

    사명 유정과 편양 언기는 청허 휴정의 대표적인 제자들로, 이들의 문하는 사명파와 편양파라는 청허계의 양대 문파를 이루었다. 그런데 후대 문헌에서 사명은 교파, 편양은선파로 분류된다. 이 글에서는 사명과 편양의 선교관 및 법통 인식을 단서 삼아 사명파와 편양파가 각각 교파와 선파로 대별된 배경을 추론해보고, 그 타당성을 비판적으로검토한다. 선교관에 있어 사명과 편양은 모두 청허의 사상을 이어받아 선교겸수의 관점을 취했다. 다만 사명은 선과 교의 우열을 명확히 밝히지 않은 반면, 편양은 선의 상대적 우위를 표명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법통 인식의 측면에서는 스승 청허가 제시한 계보를 수용하고 임제종 계승의식을 드러냈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사명 문하에서제기된 나옹법통설이 법안종과 국내 법맥 등 다양한 전통을 포괄하는 데 비해 편양이주장한 태고법통설은 임제종과의 관련성에 집중한다. 선과 교의 우열관계에 대한 사명과 편양의 선명성 차이 및 사명파와 편양파 양측의 법통설이 지닌 특징은 교파와 선파의 구분이 생겨나는 데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본다. 이러한 구분에는 편양이청허의 선을 계승한 적통임을 부각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영어초록

    Samyeong Yujeong and Pyeonyang Eongi are Cheongheo Hyujeong’s representative disciples. Theirstudentsformed two majorsectsinCheongheo’s disciple group, called Samyeongpa and Pyeonyangpa. In some later records, Samyeongpa was classified as Gyopa(the doctrinal and theoretical sect), while Pyeonyangpa was regarded as Seonpa(the meditative and practicing sect). We inferred the background of classification of Seonpa and Gyopa and critically examined its validity through comparing Samyeong and Pyeonyang’s view of Seon-Gyo and perception of dharma lineage in this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on and Gyo, both of them considered combination of Seon with Gyo important. Nevertheless, while Samyeong did not clarify the view of th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between Seon and Gyo, Pyeonyang emphasized the relative advantage of Seon. In terms of dharma lineage, it is in common that they accepted the pedigree Cheongheo stated and also expressed the consciousness of successing Linji school. However,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eory of dharma lineage originated from Naong which was raised by Samyeong’s disciples and the other one originated from Taego which was claimed by Pyeonyang.
    These differences between two masters may have served as factors that led to the distinction with Gyopa and Seonpa. That distinction connotes the intetion to emphasize Pyeonyang is the legitimate heir of Cheonghe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