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행위예술에서의 행위와 주체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요셉 보이스의 <죽은 토끼에게 어떻게 그림을 설명할까?>(1965)를 중심으로 (Une étude psychanalytique du sujet et de l'acte dans l'art en acte: Autour de la performance de Joseph Beuys, Comment expliquer les tableaux à un lièvre mort? (1965))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3.12
18P 미리보기
행위예술에서의 행위와 주체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요셉 보이스의 &lt;죽은 토끼에게 어떻게 그림을 설명할까?&gt;(1965)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정신분석 / 15권 / 2호 / 31 ~ 48페이지
    · 저자명 : 김은준

    초록

    행위예술은 ‘행위’라는 어휘가 지니는 광범위한 의미와 용법으로 인하여 그 범위를 한정하기 어렵다. 하지만 이는 새로운 예술과 새로운 예술론의 시작을 알리는 현대예술의 중요한 기점이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행위예술의 본질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행위예술의 고안자라 할 수 있는 요셉 보이스의 첫 번째 개인전시 <죽은 토끼에게 어떻게 그림을 설명할까?>(1965)를 중심으로 예술에서의 행위 개념의 등장과 그 의의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이를 분석함에 있어 라깡의 주체 이론과 그의 행위에 대한 언급 등을 적용해 볼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프로이트 예술론에 근거한 무의식의 ‘이미지로서의 예술’이 라깡의 주체 개념과 맞닿아있는 ‘행위로서의 예술’로 변모함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예술에서 뿐만 아니라 라깡의 정신분석학에서 행위의 의미를 재발견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Cette recherche est inspirée par un œuvre performatif intitulé Comment expliquer les tableaux à un lièvre mort? (1965) de Joseph Beuys. La question de la définition de l’art posée par cette œuvre est significative mais, nous voudrions nous focaliser sur le fait que l’acte de cette performance prend aussi une place prépondérante. Antérieurement, l’œuvre a été un être qui dévoile l’inconscient de l’auteur en tant que Moi primitif et idéal. L’auteur s’identifie à son œuvre en le considérant comme l’image de son Moi. L’œuvre pouvait avoir l’autorité dominante dans le monde de l’art alors que l’auteur est réduit à “un effet”. Ce rapport n’est qu’imaginaire par l’image déformée et inversée. À travers l’œuvre performative réalisé par l’acte de Joseph Beuys, Cet article va représenter le nouvel aspect de l’art en acte, et pour l’outil d’analyse, introduire le troisième registre de Lacan, le Réel, qui surmonte l’Imaginaire et le Symbolique. Ce qui révèle le désir primitif du sujet d’auteur en surmontant une rencontre binaire imaginaire entre l’auteur et son œuvre mais aussi une rencontre ternaire opprimée par le grand Autre, c’est, selon mes suppositions, le Réel en art. Joseph Beuys voulait se focaliser sur le dialogue entre l’auteur et son œuvre en dépassant la limite du monde de l’art, de l’institution de l’art, et du spectateur. Cela est le désir du sujet, la vérité à laquelle le sujet d’auteur devrait arriver. À travers l’art et l’acte en art, une nouvelle vérité qui s’appelle le désir du sujet apparaît devant nous. De là, le nouveau statut épistémologique de l’art apparaî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