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董其昌 南北宗論의 내원과 의의 - 중국문화적 배경과 禪宗의 南北分宗을 중심으로 - (Origin and Significance of South and North Principal Theory of Dong Gi Chang- centering on Chinese Cultural Background and South/North Division of Zen Buddhism -)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08.02
54P 미리보기
董其昌 南北宗論의 내원과 의의 - 중국문화적 배경과 禪宗의 南北分宗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19호 / 143 ~ 196페이지
    · 저자명 : 염중섭

    초록

    南北宗論은 董其昌을 중심으로 하여 제창된 중국회화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이론이다. 남북종론 이후 중국회화사 및 중국문화권에 있어서의 회화는 수 세기에 걸친 남북종론의 지대한 영향 하에 놓이게 된다.하나의 이론체계가 자체적인 생명력을 가지고서 수 세기에 걸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은 그 속에 시대적 요청이 잘 반영되어 있다고 밖에는 볼 수가 없다. 그러므로 본 고찰은 남북종론에 내재한 중국문화적인 내원을 규명함으로서 이에 대한 타당성 있는 해법도출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이러한 문제접근에 입각하여 먼저 본 고찰에서는 남북종론의 내원에 관한 중국문화적 배경에 관해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남북종론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확보하고 있는 儒·道의 측면에 관해 고찰한 이후, 마지막 끝으로 남북종론의 형성에 있어서 가장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선종의 南北分宗論과의 관련성에 대한 타당성 있는 모색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이와 같은 고찰을 통해서 남북종론이 단순히 한 시대를 대변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중국문화의 거대한 흐름에 있어서 시대적 요청을 반영한 측면이 있다는 것을 보다 분명히 하고, 또한 선종과의 관계도 단순히 모방을 통한 주장이 아닌 중국문화적인 종합적 관점에서의 주체적인 수용이었다는 것을 밝혀 보고하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이러한 연구의 진전이야말로 중국회화사 및 중국문화권의 회화사 고찰에 있어서 충분한 필연성을 담지한다고 할 수가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South/North Principal Theory advocated by Dong Gi Chang(董其昌) is a very important theory in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Since the presentation of South/North Principal Theory, the Chinese painting history and the paintings in Chinese cultural areas came to be under the predominant influence of South/North Principal Theory for several hundred years.
    If a theoretic system had maintained its own vitality and exerted a huge influence for several centuries, it should be admitted that it had well reflected the needs of time in it. So, this paper tried to clarify the Chinese cultural origin in the South/North Principal Theory and in turn to extract a plausible solution on it.
    On the basis of this approach, this paper tried to search the Chinese cultural background for the origin of South/North principal theory. Then, were investigated the aspects of Confucianism and Taoism that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South/North principal theory, and finally a reasonable interpo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th/North principal theory and the Zen Buddhism which exerted the greatest impact on the formation of South/North principal theory.
    Through this consideration, it tries to clarify that the South/North principal theory was not just an accidental product of one era but an inevitable reflection of demand of the time in the huge stream of Chinese culture, and that, in the relationship with Zen Buddhism, it was not just an imitation of Zen but an active assimilation in the synthetic perspective of Chinese cul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the progress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a lot to the development of study on the painting history of China and Chinese cultural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