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토리텔링 인문치료와 정신분석학 -프로이트의 ‘늑대 인간’ 치료를 중심으로 (Storytelling Humanities Therapy and Psychoanalysis –A Study on Sigmund Freud's Treatment Cas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3.03
30P 미리보기
스토리텔링 인문치료와 정신분석학 -프로이트의 ‘늑대 인간’ 치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36호 / 631 ~ 660페이지
    · 저자명 : 이민용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스토리텔링 인문치료의 관점에서 프로이트의 <늑대 인간> 치료 사례를 연구하고 정신분석학과 내러티브의 치료적 활용, 프로이트의 <환상론>과 내러티브 담화의 치료적 관계를 밝히려는 것이다.
    내러티브에는 치유적 힘이 있다. 스토리텔링 인문치료는 인문치료와 서사학을 통하여 내러티브의 이러한 힘을 이용하는 것이다. 내러티브는 정신분석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 치료의 관점에서 특히 관심을 끄는 정신분석 치료 사례가 프로이트의 <늑대 인간> 치료라고 할 수 있다.
    프로이트는 ‘늑대 인간’이라는 별칭으로 공개한 환자를 치료하면서, 그의 어렸을 적 동물공포증과 강박증을 분석하였다. 프로이트는 이를 위해 환자가 한 살 반 때 목격했다고 생각되는 부모의 성행위 장면 이야기와, 네 살 때 꿈을 꾼 늑대 이야기, 그 전후에 할아버지에게서 들은 늑대 이야기, 그리고 동화책을 통해 접한 <빨간 모자>의 늑대 이야기와 <늑대와 일곱 마리 아기 염소> 이야기 등 현실과 꿈ㆍ설화ㆍ동화 속의 여러 이야기들을 듣고 분석한다.
    내러티브는 스토리와 담화라는 두 가지 필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야기와 담화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면, 스토리가 추상적 원본으로서 기본적인 역할을 하고 이것이 서술자의 인칭과 시점, 관점, 심리적 거리, 시간, 공간, 어투(문체), 어감, 정조 등의 서사담화 요소들을 통해 내러티브로 표현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프로이트는 <늑대 인간>을 치료하는 내러티브 작업에서 기본적으로 스토리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고 있다. 그는 동물공포증을 유발한 늑대 꿈 이야기의 스토리를 분석하고 여기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되는 다른 늑대 관련 이야기들의 스토리도 분석하여 늑대 꿈 이야기의 스토리에 연관시키고 있다. 여기서 프로이트는 특히 이보다 이른 시기인 한 살 반 때 그 환자가 목격했다고 생각되는 부모의 성행위 장면의 이야기가 그의 네 살 때 꿈인 늑대 꿈의 스토리에 미친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로부터 비롯되었다고 생각되는 환자의 동물공포증과 강박증을 설명하려고 한다. 여기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 내러티브의 스토리를 중심으로 스토리들의 상호 영향 관계, 스토리 연결의 틈새와 이음새, 일관된 스토리 등을 탐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늑대 인간’이 아주 어렸을 때 목격했다고 생각되는 부모의 성관계 장면이 실제로 그가 목격한 사실인가, 아니면 그가 나중에 목격한 사냥개의 교접 장면과 같은 다른 유사한 실제 이야기를 통해 떠올리게 된 환상에 불과한 것인가? 프로이트는 이에 대해 어느 한 쪽으로 확정된 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그래서 그 환자의 어린 시절에 있었다고 하는 부모의 성행위 장면이 그의 환상일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그가 목격한 부모의 성행위 사건의 스토리가 늑대 꿈 내러티브의 원본 역할을 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오히려 그 부모의 성행위 장면은 환자의 서사담화 체계에 의해 생성된 스토리가 될 것이다. 여기서 스토리가 서사담화를 통해서 내러티브로 구체적으로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거꾸로 서사담화를 통해서 스토리가 생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프로이트는 그 원초적 장면이 사실인가, 환상인가가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그것이 사실이면 사실로서의 스토리가 원본이 되어 내담자의 내면에 전개되는 내러티브에서 대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고, 사실이 아닌 환상이더라도 이것이 사실에 버금가는 개연성과 믿음에 근거해 있으면 이것 역시 내담자에게 신빙성 있는 내면의 스토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스토리텔링 인문치료에서 중요한 스토리와 서사담화의 관계에 대해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치료적 대안의 서사를 마련하는 데에 건강한 스토리들을 내담자의 내면에 마련해 견지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 과정에서 다른 사실의 내러티브뿐만 아니라 허구적 내러티브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건강한 스토리들을 만들어내는 내담자의 서사담화 구성 능력을 잘 정비해서 마음속에 유지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정신분석학적 바탕 위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into Freud's <Wolf-Man> treatment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storytelling humanities therapy. It tries also to find out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between story and discourse in narratives.
    The narratives have a certain healing power. It is the storytelling therapy that makes use of the healing power of the narrative in the way of humanities therapy and narratology. Narrativ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psychoanalysis. A psychoanalyst listens to the narratives from his client through a free association and provides his/her therapeutic narratives for the client.
    Freud treated Sergei Pankejeff whom he called “Wolf-Man”. He listened to the stories from Sergei's reality and the other stories: the intercourse story of his parents he had seen in 18-months-old, the wolf story he had dreamed in 4-years-old, another wolf story he had heard from his grandfather, and the other wolf stories he had learned from <Red Riding-Hood> and <A Wolf and Seven Little Goats>. After that, he analysed the client's childhood zoophobia and obsession.
    Narrative consists of the two essential ingredients of story and discourse. In the poi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y and discourse, story plays a role as an abstract original and is expressed into a narrative by factors of narrative such as character, time, space, tone or style of writing/speaking. Focusing on story in this view, Freud analysed basically <Wolf-Man> in psychoanalysis treatment. He analysed a wolf story Sergei had dreamed by comparing with the other wolf stories which had contributed to his zoophobia, and then tried to reconstruct the stories. In this process, he especially analysed the effect of intercourse of his parents he had seen in 18-months-old and the results to a wolf story he had dreamed. And by this, he tried to explain his client’s zoophobia and OCD(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It is not clear, whether the intercourse scene he saw was a reality or just an illusion derived from the intercourse scene of dogs. Freud couldn't confidently answer the question. If the memory of the ‘Urszene’ was an illusion, the story couldn't play a role as the original of narrative. In this case, the story would be generated by a patient's narrative discourse. Through this, we understand that a story is not only expressed to narratives by the narrative discourse, but also generated by the narrative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