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낯선 시간 속으로』(이인성, 1983)의 정신분석학적 서사 연구 (A Study on the Psychoanalytic Narrative in Into an Unfamiliar Time (Lee In-seong, 1983))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4.06
24P 미리보기
『낯선 시간 속으로』(이인성, 1983)의 정신분석학적 서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8권 / 2호 / 131 ~ 154페이지
    · 저자명 : 이인표

    초록

    이 논문은 이인성의 첫 소설집 『낯선 시간 속으로』를 정신분석학적인 서사로 규명하고자 한다. 정신분석학적인 서사는 일단 자유연상으로 구술된 다양한 심리적 서사를 뜻한다. 이런 서사에는 개연적 환유와 환상적 은유가 혼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서사의 부분적 환상을 종합해 정신 현상의 보편적 상징체계를 표현하는 정신분석학적 서사가 있다. 이 논문은 『낯선 시간 속으로』의 네 개의 서사들을 담화된 순서대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서술자의 자유연상에서 시작된 서사가 환상적 은유를 심화함으로 정신 현상의 보편적 상징체계를 표현한 완미한 정신분석학적 서사로 진화한 궤적을 탐색한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이 특별히 통찰하는 점은 다음 세 가지다. 첫째, 『낯선 시간 속으로』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주요한 기표들을 프로이트의 인격 이론의 맥락에서 규명할 것이다. 이 기표들이 자아, 이드, 초자아로 대별되는 인격의 국소론적 주체들을 상징하는 점을 밝힌다. 둘째, 이 기표들이 점차로 구현해나가는 서사의 상징체계가 라캉의 설명처럼, 인간의 욕망이 대타자의 욕망의 반영임을 표현한다는 점을 밝힌다. 셋째로, 대타자의 욕망을 자각하게 하는 환상적 은유의 상징체계가 『낯선 시간 속으로』에서 작동하는 방식을 정세히 탐색한다. 이로써 이 논문이 이른바 ‘언어로 구조화된’ 무의식적인 욕망을 분석하는 방법론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seeks to identify Lee In-seong’s first novel, Into an Unfamiliar Time, as a psychoanalytical narrative. Psychoanalytic narrative generally refers to a variety of psychological narratives dictated through free association. These narratives contain a mixture of probable metonymy and fantastic metaphors. And there is another psychoanalytical narrative that synthesizes the fragmentary fantasies of these narratives to express the universal symbolic system of mental phenomena. This paper analyzes the four narratives of Into an Unfamiliar Time in the order in which they were written. Through this, we explore how the narrative that began with the narrator’s free associations evolved into a complete psychoanalytical narrative that expressed the universal symbolic system of mental phenomena by deepening fantastical metaphors.
    Through this, this paper has three special insights: First, representative signifiers that appear repeatedly in Into an Unfamiliar Time will be explained in the context of Freud’s personality theory. It is revealed that these signifiers symbolize the elements of personality such as ego, id, and superego. Second, it reveals that the symbolic system of the narrative that these signifiers gradually embody expresses, as Lacan said, that human desire is a reflection of the desire of the Other. Third, we explore in detail how the symbolic system of fantastic metaphors that makes us aware of the desire of the Other operates in Into an Unfamiliar Time. As a result, this paper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methodology for analyzing the so-called “language-structured” unconsciousness and des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