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북 서부지역에서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전개 과정 (The Development Process of Baekje Stone Chamber Tomb in the Western Region of Jeonbuk)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3.02
33P 미리보기
전북 서부지역에서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전개 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73권 / 102 ~ 134페이지
    · 저자명 : 김낙중

    초록

    이 글에서는 전라북도 서부 해안과 평야지대에서 횡혈식석실분이 등장한 시점부터 사비기에 능산리 유형의 전형적인 백제 석실이 확산되기까지 주요 지역별로 석실의 수용 양상과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석실 조영과 백제와의 관계, 지역사회의 구조를 추론해 보았다.
    금강하류 남안 및 만경강유역권에서는 한성기 말에 해상교통과 관련된 해안과 금강 하류에서 먼저 횡혈식석실묘가 등장하였다. 웅진 천도 후 금강수로 이용과 관련하여 금강 남안 일대에 집중적으로 조영되었으며, 내륙으로 일부 확산되었으나 이곳의 석실분에서는 분구묘 전통이 일부 남았다. 6세기 중후반의 정황은 명확하지 않으나 7세기 이후 미륵산 일대를 중심으로 무왕의 익산 개발 과정에서 최고 위계의 석실분군이 나타났다. 금강 하류 남안과 금마 이동의 내륙에는 최고 위계의 석실은 소수 개별적으로 축조되고 군집분의 석실은 등급이 떨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정읍 등 중방성 권역에서도 웅진기 후반에 횡혈식석실분이 등장하지만 군집분이 조성되는 것은 웅진기 말이나 사비기 초다. 사비기에 들어와 전형적인 능산리식 석실이 가장 밀집한 중심지로 부상하여 중방 고사성의 위상을 잘 보여주며, 고분군의 규모, 석실의 형식 등으로 보아 중방성 내에서도 지역마다 위상이 달랐음을 알 수 있다.
    고창 지역은 영산강유역권의 묘제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데, 한성기 말에 분구묘에 횡혈식석실이 도입되며 고총을 웅진기 전반까지 유지하였으나 사비기에 들어와서는 고창 예지리 고분 등을 제외하면 전형적인 능산리식 석실이 군집한 모습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looked at the acceptance patterns and development process of stone chambers in each major region, from the time when stone chamber tombs appeared to the spread of typical Baekje stone chambers in the Sabi period in the western region of Jeollabuk-do. Based on this, the relationship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stone chamber and Baekje, and the structure of the local community were inferred.
    In the south bank of the lower Geum River and the Mangyeong River Basin, at the end of the Hanseong period,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first appeared on the coast and the lower part of the Geum River related to maritime traffic.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Ungjin, it was built intensively in the southern part of the Geum River in relation to the use of the Geum River waterway. stone chambers have spread inland, but some of the traditions of mounded tombs remain in the stone chamber tombs here. After the 7th centur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Iksan by King Mu, centering on the Mireuksan area, a group of stone chamber tombs of the highest stature appeared. In the southern areas of the lower Geum River and inland areas, stone chambers of the highest rank are built sporadically, and stone chambers in groups show a pattern of falling in grade.
    Even in the Jungbangseong area centered on Jeongeup, the stone chambers appeared in the late Ungjin period, but the cluster tombs were created in the late Ungjin period or the early Sabi period. In the Sabi period, this place emerged as the center where typical Neungsan-ri style stone chambers were most concentrated, showing the status of Jungbangseong well. On the other hand, judging from the size of the tomb group and the style of the stone chamber, it can be seen that the status was different for each region within Jungbangseong.
    The Gochang area is similar to the Yeongsan River basin in terms of tomb construction. At the end of the Hanseong period, a transverse stone chamber was introduced to the mound tomb. The large tomb was maintaine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Ungjin period. However, in the Sabi period, except for the Gochang Yeji-ri tomb, typical Neungsan-ri stone chambers clustered have not yet been confirm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