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농암 이현보(聾巖 李賢輔)의 「분어행(盆魚行)」에 나타난 출처관과 이후 조선 유학 속 선비 표상의 형성 (The Rule of Conduct in Life(出處觀) in Nongam Lee Hyeon-bo(聾巖 李賢輔)’s Poem Bunuhang(盆魚行):The Subsequent Formation of the Confucian Scholar’s Image in Joseon Confucianis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4.06
30P 미리보기
농암 이현보(聾巖 李賢輔)의 「분어행(盆魚行)」에 나타난 출처관과 이후 조선 유학 속 선비 표상의 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경학 / 7호 / 1 ~ 30페이지
    · 저자명 : 이원진

    초록

    퇴계는 농암을 ‘선생’이라 부르고 행장을 지었다. 농암이 ‘리(理)에 대한 사모’를 중심으로 도통을 확립했다고 본 것이다. 농암은 퇴로의 미학을 실천한 도연명과 양소을 모델로 삼아 자신만의 스타일을 발전시켜 조선 유학자들에게 염퇴의 길, 즉 염퇴지사(恬退之士)로서의 모습을 제시했다. 오구라 기조는 저서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에서 조선의 지식인은 양반, 사대부, 선비라는 세 가지 이미지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야당인 사대부는 집권한 양반의 도덕성을 공격한다. 이 공격이 성공하면 양반이 타도되고 사대부가 중심세력이 된다. 그러나 곧 사대부도 귀족화, 보수화, 양반화되며 공격의 대상이 된다. 이러한 유교 정치의 순환은 역동적이며, 이러한 혼란 속에서 선비는 항상 핵심 권력 외부에 남아 두 집단을 모두 공격할 수 있다. 이런 유학자의 이미지 속에서 농암이 독창적으로 만들어 낸 만든 세 번째 벡터는 이 순환 밖에서 작동하는 하강하는 선비의 모습이며, 이는 선비의 활로를 만들어 낸다. 이런 개척에 대해 퇴계는 ‘선생’이라는 칭호를 붙여 존경하였다. 1498년부터 1545년까지 발생한 4대 사화 모두에서 살아남은 농암 이현보는 수많은 사림이 처형당하는 잔혹한 투쟁 속에서도 리(理)를 견지하고 강화했다. 위기와 역경 속에서도 ‘리(理)’는 더욱 빛났다. 사림이 숙청을 견디며 박해를 받으면서도 계속해서 유교적 리의 원리를 발전시키고 옹호했던 모습은 농암이 표상한 염퇴지사의 정신에 힘입어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농암이 말년에 퇴계에게 주었던 시 「분어행(盆魚行)」에 드러난 선비의 표상은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조선사에서 사림이 박해를 피해 지켜낸 도덕은 ‘리’를 향한 하강, 아니 오히려 상승하는 하강이었다. 촘촘한 그물에 갇히지 않고 강호의 넒은 세계를 겨냥한 선비의 모습이었다.

    영어초록

    Toegye referred to Nongam as ‘teacher(선생)’ and wrote his eulogy because Nongam had established a style of Dao centered around longing for ‘Li(理)’. Nongam, taking Tao Yuanming and two Shu(疏廣 and 疏受), who practiced the aesthetics of withdrawal, as his models, developed his own style and subsequently presented to Joseon Confucian scholars the path of withdrawal, that is, the image of a person who retires from the world with dignity (Yeomtoe Jisa, 恬退之士). Previously, Ogura Kijo in his book Korea as a Philosophy noted that there were three image groups among Joseon’s intellectuals: yangban, sadaebu, and seonbi. The sadaebu, being the opposition, attack the morality of the yangban, who are in power. If this attack succeeds, the yangban are overthrown and the sadaebu become the central power. However, even the sadaebu quickly become aristocratic, conservative, and yangban-like. This cycle of Confucian politics is dynamic, and in this turmoil, the seonbi always remain outside the core power, capable of attacking both groups. The third vector, created by Nongam, is the meaning of the descending scholar spirit, which operates outside this cycle. Toegye recognized this power and honored him with the title ‘teacher(선생).’ Nongam Lee Hyeon-bo, who survived the four purges (Sahwa) that occurred from 1498 to 1545, managed to maintain and even strengthen ‘Li(理)’ amid the brutal struggles that saw countless new scholars executed. In times of crisis and adversity, ‘Li’ shone even brighter. Observing the scholars (sarim) endure the four major purges, suffering persecution yet continuing to develop and uphold Confucian principles, is reminiscent of the disciples in the Bible who spread the gospel despite various persecutions, as recorded in the Acts of the Apostles. The morality that the sarim protected in Joseon history by fleeing persecution was a descent towards ‘Li’, which is an ascending descent. It aimed at the broad Mountain-Water Poetry(江湖歌道) without being caught in a dense n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