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근삼(李根三, 1923-2007)과 기타모리 가조(北森加藏, Kitamori Kazoh, 1916-1998)의 기독론 비교 연구: 그리스도의 고난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Christologies of Kun Sam Lee and Kazoh Kitamori: Focusing on their Understandings of the Suffering of Christ)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4.08
34P 미리보기
이근삼(李根三, 1923-2007)과 기타모리 가조(北森加藏, Kitamori Kazoh, 1916-1998)의 기독론 비교 연구: 그리스도의 고난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직신학연구 / 47권 / 78 ~ 111페이지
    · 저자명 : 이신열

    초록

    본 논문은 이근삼과 기타모리 가조의 기독론을 그리스도의 고난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비교하는 글이다. 이근삼은 고신대학교의 초대 총장을 역임한 개혁주의 조직신학자로서 그의 기독론은 경륜적 삼위일체론의관점에서 정통 개혁주의적 입장을 표방한다. 그리스도의 사역으로서 그의 고난 이해는 고난의 육체적 차원보다는 정신적이고 영적인 차원이 더강조되는데 특히 이근삼은 그리스도의 죄에 대한 관여라는 주제와 그의고난을 관련시켜 이해한다. 기타모리는 일본의 루터파 신학자로서 『하나님의 고통의 신학 (1946)』을 집필했는데 이 단행본에 나타난 그의 기독론은 삼위일체적 관점보다는 하나님의 내재적 본질로서 그의 고통에 근거한 것인데 이는 삼위일체론에 대한 그의 부정과 관련된다. 이런 신론적 기초는 그리스도의 고난이 그의 기독론 구상에 전 포괄적인 주제로 자리 잡도록 이끌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스도의 고난과 관련된 두 신학자의 견해 차이는 주로 역사적 예수라는 주제로 집결되는데 이근삼은 역사적 예수를 고등비평에 근거한 예수에 대한 재해석에 대해서 부정적 입장을 취하고 위로부터의 기독론이라는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그의 고난을 역사적사실로 수용한다. 이와 달리 기타모리는 역사적 예수를 인정하고 이를 하나님의 고통이라는 관점으로 독특하게 해석한다. 달리 말하면, 기타모리에게 역사적 예수는 하나님의 고통에 대한 현실화 또는 실현으로 나타나며, 예수는 단지 역사 속에 실존했던 인간으로 표현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ompares christologies of Kun Sam Lee and Kazoh Kitamori regarding their understanding of the suffering of Christ. Kun Sam Lee, a systematic theologian, the first President of Kosin University, holds an orthodox Reformed position on christ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conomic Trinity. His understanding of the suffering of Christ is focused more on the mental/spiritual aspect of suffering than the physical. Especially Lee connects the theme of Christ’s intervention with sin to concept of the suffering of Christ. Kazoh Kitamori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presentatives of Japanese Lutheran theology and known for his Theology of the Pain of God (1946). His christology had not been constitu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which he denied, but from the concept of the pain of God as his inner essence. His particular doctrine of God had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the suffering of Christ as the overarching concept in his christology. Regarding the suffering of Christ, main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ologians converge in the subject of historical Jesus. Lee takes negative attitude towards historical Jesus, originating from the higher criticism of Scripture and thus accepts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suffering of Christ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Kitamori, on the contarary, acknowledges historical Jesus while interpreting him in terms of the pain of God. In other words, he is expressed as a realization or actualization of the pain of God and considered Jesus as a mere human being who existed in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직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후